[로이슈 편도욱 기자] ◆신한은행, KS-CQI 콜센터 품질지수 은행권 최초 7년 연속 1위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1 KS-CQI 콜센터 품질지수’ 조사에서 은행권 최초로 7년 연속 1위를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KS-CQI(Korean Standard Contact Service Quality Index)는 국내 콜센터 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서비스경영학회가 공동으로 개발해 콜센터의 상담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하는 조사이다.
신한은행은 한국표준협회 자체 모니터링 및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본원적 서비스 ▲물리적 환경 ▲신뢰성 ▲친절성 ▲적극성 등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조사 대상 전체 기관(52개업종 217개 기업 및 기관) 중 TOP10 최우수 기업에 선정되었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고객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기반 상담’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지난 7월엔 ‘AI상담사 쏠리’ 2단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행해 운영 중에 있고 ‘AI상담사 쏠리’ 구현으로 올해 신설된 ‘컨택센터 혁신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AI상담사 쏠리’는 하루에 걸려오는 4만~8만건의 고객상담 업무의 약 50%를 AI쏠리가 응대하고 이 중 25%를 상담사 연결없이 AI가 대체해 AI상담사 쏠리 2단계 프로젝트 이전 약 27초였던 고객대기 시간이 6초로 78% 단축돼 고객이 신속하고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신한은행,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와 주거래은행 협약 체결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이사장 정복영)와 주거래은행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6년까지 1회용컵 보증금 운영에 관한 제반 금융업무를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신한은행은 전담 팀을 구성해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와 함께 ‘1회용컵 보증금 제도’ 사업을 진행한다. 특히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의 보증금 관리 시스템 및 ‘소비자 전용 보증금 앱’ 개발을 지원하고 신한 쏠(SOL)에도 동일한 기능을 탑재해 1회용컵을 편리하게 구매ㆍ반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3월 경쟁 입찰을 통해 공공기관 자금관리시스템 구축 경험과 노하우, 환경 보존 및 ESG 관점에서의 책임의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보증금을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운영ㆍ관리할 수 있는 전담은행으로 선정됐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이하 COSMO)는 유리병, 1회용 컵 등의 회수ㆍ재사용 및 재활용을 촉진해 환경보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6월 10일 설립된 보증금 제도 전문 수행기관이다.
정부 정책에 따라 내년 6월 10일부터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1회용 컵에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부과하고 컵 반환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1회용컵 보증금 제도’가 시행되며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는 제도의 주체로 1회용컵 사용량을 억제하고 컵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진옥동 은행장은 “시대의 핵심가치인 환경보존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전 국민이 동참하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며 “신한은행은 안정적인 보증금 반환 플랫폼을 통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패러다임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복영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 이사장은 “유럽 등 많은 국가들이 세계 최초로 시행되는 1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며 “COSMO와 신한은행이 긴밀히 협력해 차별화된 성공 케이스를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수출입銀,‘21년 연간수출액 역대 최대인 6,300억 달러 전망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방문규, 이하 ‘수은’) 해외경제연구소는 28일 2021년 연간 수출액이 전년 대비 23% 증가하여 역대 최대치인 6,3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7% 증가해 1,650억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은은 이날 발표한 '2021년 3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4분기 전망‘에서 4분기 수출선행지수*가 네 분기 연속 전년동기 대비 상승하고 있어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겠으나, 상승 폭이 축소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수은 관계자는 “원유·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출물가가 상승하고 있지만, 기저효과 감소와 공급망 및 물류 차질 등의 영향으로 수출 증가세는 완화될 전망이다 ”면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항만 물류 적체가 장기화되고,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소비위축과 전력난에 따른 중국 경기둔화가 심화될 경우 수출 증가율은 전망치를 하회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1 KS-CQI 콜센터 품질지수’ 조사에서 은행권 최초로 7년 연속 1위를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KS-CQI(Korean Standard Contact Service Quality Index)는 국내 콜센터 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서비스경영학회가 공동으로 개발해 콜센터의 상담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하는 조사이다.
신한은행은 한국표준협회 자체 모니터링 및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본원적 서비스 ▲물리적 환경 ▲신뢰성 ▲친절성 ▲적극성 등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조사 대상 전체 기관(52개업종 217개 기업 및 기관) 중 TOP10 최우수 기업에 선정되었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고객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기반 상담’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지난 7월엔 ‘AI상담사 쏠리’ 2단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행해 운영 중에 있고 ‘AI상담사 쏠리’ 구현으로 올해 신설된 ‘컨택센터 혁신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AI상담사 쏠리’는 하루에 걸려오는 4만~8만건의 고객상담 업무의 약 50%를 AI쏠리가 응대하고 이 중 25%를 상담사 연결없이 AI가 대체해 AI상담사 쏠리 2단계 프로젝트 이전 약 27초였던 고객대기 시간이 6초로 78% 단축돼 고객이 신속하고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신한은행,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와 주거래은행 협약 체결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이사장 정복영)와 주거래은행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6년까지 1회용컵 보증금 운영에 관한 제반 금융업무를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신한은행은 전담 팀을 구성해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와 함께 ‘1회용컵 보증금 제도’ 사업을 진행한다. 특히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의 보증금 관리 시스템 및 ‘소비자 전용 보증금 앱’ 개발을 지원하고 신한 쏠(SOL)에도 동일한 기능을 탑재해 1회용컵을 편리하게 구매ㆍ반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3월 경쟁 입찰을 통해 공공기관 자금관리시스템 구축 경험과 노하우, 환경 보존 및 ESG 관점에서의 책임의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보증금을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운영ㆍ관리할 수 있는 전담은행으로 선정됐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이하 COSMO)는 유리병, 1회용 컵 등의 회수ㆍ재사용 및 재활용을 촉진해 환경보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6월 10일 설립된 보증금 제도 전문 수행기관이다.
정부 정책에 따라 내년 6월 10일부터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1회용 컵에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부과하고 컵 반환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1회용컵 보증금 제도’가 시행되며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는 제도의 주체로 1회용컵 사용량을 억제하고 컵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진옥동 은행장은 “시대의 핵심가치인 환경보존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전 국민이 동참하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며 “신한은행은 안정적인 보증금 반환 플랫폼을 통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패러다임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복영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COSMO) 이사장은 “유럽 등 많은 국가들이 세계 최초로 시행되는 1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며 “COSMO와 신한은행이 긴밀히 협력해 차별화된 성공 케이스를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수출입銀,‘21년 연간수출액 역대 최대인 6,300억 달러 전망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방문규, 이하 ‘수은’) 해외경제연구소는 28일 2021년 연간 수출액이 전년 대비 23% 증가하여 역대 최대치인 6,3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7% 증가해 1,650억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은은 이날 발표한 '2021년 3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4분기 전망‘에서 4분기 수출선행지수*가 네 분기 연속 전년동기 대비 상승하고 있어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겠으나, 상승 폭이 축소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수은 관계자는 “원유·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출물가가 상승하고 있지만, 기저효과 감소와 공급망 및 물류 차질 등의 영향으로 수출 증가세는 완화될 전망이다 ”면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항만 물류 적체가 장기화되고,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소비위축과 전력난에 따른 중국 경기둔화가 심화될 경우 수출 증가율은 전망치를 하회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