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성호의원(경기 양주시)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자료와 한국투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국 시장에 상장된 대마업체인 캐노피 그로스(Canopy Growth), 오로라 카나비스(Aurora Cannabis), 크로노스 그룹(Cronos Group)에 지난 2년간 약 200억원을 투자했다가 반토막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2일 한국투자공사(KIC)는 나랏돈으로 대마 관련 주식을 매입하는 것은 국민의 법 감정에 어긋난다는 지적에 사회책임투자를 고려했다고 주장하며 대마업체 주식에서 이익이 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KIC는 투자이익의 근거자료를 요청한 정 의원에게 포트폴리오 정보노출 우려를 이유로 거래내역 공개가 어렵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KIC의 설명과는 달리 미국 SEC에는 KIC가 투자한 모든 미국주식이 분기별로 공개되어 있다.
이에 정 의원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투자공사의 해명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위 3개 종목 중 한국투자공사가 가장 많이 투자한 주식은 캐노피 그로스(Canopy Growth)다. 이 회사는 의료용 대마뿐만 아니라 여가용 대마(Recreational cannabis) 또한 생산하는 업체로 대마 업계의 1, 2위를 다투는 회사다. KIC는 이 업체에 2019년 1분기 중 약 1,800만 달러(한화 약 200억원)를 투자했다. 그러나 공사가 매입한 뒤 주가는 1년 넘게 흘러내렸다. 이익이 나고 있다는 KIC의 해명과는 달리 매입 당시 최고 50달러에 육박하던 주가는 올 2분기 기준 16달러로 반토막이 난 것이다.
이러한 분석에 KIC는 그제서야 손실을 인정하는 한편 전반적인 투자에서 이익이 나고 있으므로 개별 종목의 손실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KIC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 손실은 한화 약 1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정성호 의원은 “국가마다 가치관과 사회적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사회책임투자도 그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며, “국민의 법 감정이나 상식에 어긋나는 투자가 이뤄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한국투자공사 국정감사의 목적은 국민의 세금이 올바르게 투자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므로 공사는 국정감사에 성실히 임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투자공사도 2018년 최희남 사장 취임 이후 ESG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나, 마리화나 투자는 금지하지 않았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