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제주항공이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따른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공기에 대한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나섰다.
우선 제주항공은 3일부터 중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승객이 내리는 즉시 소독에 들어간다. 지금까지 항공기 운항종료 후 매일 소독을 실시했지만 앞으로는 편당 소독을 실시한다. 소독에 필요한 시간은 약 2시간 정도 소요되며, 다음 편의 승객 탑승은 소독 후 건조, 환기를 마친 이후에 이뤄진다.
아울러 승무원들은 비행 전 발열, 기침 등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발견 시 바로 업무에서 제외하는 등 기존 방역조치도 더욱 엄격히 적용한다.
항공기에는 체온계 및 손세정제 등을 비치해 필요 시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감염병 예방에 대한 안내방송도 한·영·중 3개 국어로 실시해 승객들의 경각심을 제고하고 있다. 제주항공의 모든 방역 조치는 사내 위기대응센터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2020년 경영방침으로 ‘안전’의 기준을 ‘고객이 만족하는 수준’까지 높이기로 한 바 있다”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대응 역시 안전에 대해 높아진 내부 기준에 부합하도록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우선 제주항공은 3일부터 중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승객이 내리는 즉시 소독에 들어간다. 지금까지 항공기 운항종료 후 매일 소독을 실시했지만 앞으로는 편당 소독을 실시한다. 소독에 필요한 시간은 약 2시간 정도 소요되며, 다음 편의 승객 탑승은 소독 후 건조, 환기를 마친 이후에 이뤄진다.
아울러 승무원들은 비행 전 발열, 기침 등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발견 시 바로 업무에서 제외하는 등 기존 방역조치도 더욱 엄격히 적용한다.
항공기에는 체온계 및 손세정제 등을 비치해 필요 시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감염병 예방에 대한 안내방송도 한·영·중 3개 국어로 실시해 승객들의 경각심을 제고하고 있다. 제주항공의 모든 방역 조치는 사내 위기대응센터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2020년 경영방침으로 ‘안전’의 기준을 ‘고객이 만족하는 수준’까지 높이기로 한 바 있다”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대응 역시 안전에 대해 높아진 내부 기준에 부합하도록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