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측정결과는 LH 주요사업에 투입된 비용 중 사회성과 창출에 투입된 비용을 의미하는 ‘INPUT 사회성과’와 기업활동을 통해 파생되는 사회적 편익을 기반으로 하는 ‘OUTCOME 사회성과’ 등 2가지를 측정한 후 결과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2018년 기준 LH는 총 사업비 15조2000억원 중 임대주택 건설·매입,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 및 임대주택 시설개선 등 8조2000억원의 재원을 사회성과 창출을 위해 투입(INPUT 사회성과)했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 주거비 절감, 중소기업 성장효과 및 임대주택 주거안전강화 등의 분야에서 5조3000억원의 OUTCOME 사회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LH는 설명했다.
이번 LH의 사회성과 측정은 공공부문의 다양한 경영활동을 통해 창출되는 무형의 가치를 계량화하여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LH는 측정기준 등을 보완해 향후 기업활동에 사회적 가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박상우 LH 사장은 “관련 기관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측정기준 및 성과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여 전략적 의사결정도구로서 활용도를 높이고, 공공부문의 대표적인 사회성과 측정모델로 고도화 하겠다”고 밝혔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