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소형아파트의 거래량 비율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의 37.2%를 차지했던 전용 60㎡이하 아파트 거래량은 10월 39%로 증가하더니 12월에는 40%를 넘겼다. 게다가 올해 2월에는 전체 거래량의 절반가량인 47.6%가 소형아파트의 거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달에는 소형아파트의 거래량이 국민주택형으로 불리는 중소형아파트 거래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전국의 전용 60㎡이하 아파트의 거래량은 총 2,774건이다. 이는 전용 60~85㎡ 아파트 거래량인 총 2,403건 보다 많다. 이처럼 소형아파트가 중소형 아파트 거래량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17년 4월 이후 2년여 만의 일이다. 또한 가격에서도 서울의 전용 60㎡이하 아파트는 지난 1년간 15.5%가 증가하며, 전용 60~85㎡(13.1%), 전용 85㎡초과 타입(11%)의 상승세를 웃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인기에 청약시장에서도 소형아파트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실제 올해 수도권 분양 아파트의 최고 청약경쟁률을 지난 1월 평균 279.5대 1을 기록한 ‘e편한세상 청계 센트럴포레’ 전용 51㎡ 타입이 차지했으며 이 외에도 홍제 해링턴 플레이스 전용 39㎡타입(57.14대 1) 등 소형 타입이 선전했다.
이처럼 부동산 규제 정책의 여파로 주택시장에서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올 봄에도 전국에서 전용 60㎡이하 소형 타입을 선보이는 단지가 잇따라 나와 많은 관심이 예상된다.
서울에서는 대우건설이 4월 사당3구역을 재건축해 분양하는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에 소형아파트를 선보인다. 일반분양가구 153가구(전용 41~84㎡) 중 117가구가 전용 60㎡ 이하 물량이다. 전용면적별 가구 수는 ▲41㎡ 1가구 ▲51㎡ 48가구 ▲59㎡ 68가구다. 단지는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인 이수역 가까워 서울 주요 도심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동작초, 동작중, 경문고 등 초중고교가 모두 도보 5분 내 거리에 있는 우수한 교육환경을 자랑한다.
또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은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11-1번지 외 6필지에 분양하는 주상복합 ‘청량리역 해링턴 플레이스’에 소형아파트를 선보인다. 아파트 220가구(전용 59~150㎡) 중 22가구가 전용 59㎡타입 물량이다.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함께 들어서는 주상복합단지로 오피스텔은 전용 29~52㎡, 총 34실로 구성된다. KTX∙분당선∙1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이 지나가는 청량리역을 도보권으로 이용 가능한 초역세권 단지다.
수도권에서는 포스코건설이 4월 남양주 진접읍 부평2지구에 공급하는 ‘남양주 더샵 퍼스트시티’에 소형아파트를 선보인다. 총 1,153가구(전용 59~84㎡) 중 285가구가 전용 59㎡로 구성된다. 단지는 진접지구에 10년 만에 나오는 새 아파트로, 특히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1순위라면 만 19세 이상 누구나 청약할 수 있고 전매도 6개월이면 가능하다.
지방에서는 삼성물산이 5월 부산진구 연지2구역을 재개발 해 분양하는 ‘래미안 연지2구역’에 소형아파트를 선보인다. 일반분양 1,360가구(전용 51~126㎡ TH) 중 전용 60㎡ 이하 물량은 186가구로 전용면적별 가구 수는 ▲51㎡ 30가구 ▲59㎡ 156가구다. 단지는 부산시민공원과 부산어린이대공원, 초연근린공원, 백양산 등이 가까워 도심 속 숲세권 단지로 조성될 계획이다. 연지초가 아파트와 인접하고 있으며, 초연중, 초읍중, 부산진고 등도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