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시민 필리버스터>에는 김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성주 정의당 미래정치센터 소장,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위원장, 박근용 참여연대 공동사무처장, 이태호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장유식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소장,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용혜인 노동당 청년학생위원장, 박주민 변호사를 포함해 지금까지 50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가했으며 최대 2시간 이상 발언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발언대에 나선 시민들은 시 낭송과 각종 보고서 및 의견서 낭독, 노래 발언 등을 통해 국회를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테러방지법’의 문제점을 알리고 있다.
이들단체는 “국회 본회의장뿐만 아니라 국회 밖 거리에서도 ‘테러방지법’에 대한 반대 의견은 넘치고 있다”며 “시민들의 이러한 적극적인 참여는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후퇴시키려는 박근혜 정부와 여당에 대한 시민 불복종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러한 의사 표현에도 불구하고 국회가 ‘테러방지법’ 제정 시도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시민들의 저항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국정원 권한만을 크게 강화할 ‘테러방지법’은 폐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인권단체연석회의 소속 단체 등을 포함한 45개 시민사회단체는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에 반대하는 발언을 하고 싶은 시민들, 이들을 지지하고자 하는 시민 누구나 와서 <시민 필리버스터>에 와서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24일까지 취합된 ‘테러방지법’ 제정반대 <시민 서명>은 25일 1차로 국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서명에 참여한 시민들이 남긴 의견들은 <시민 필리버스터>에서도 낭독될 예정이다.
‘테러방지법’ 제정 반대 시민사회단체들은 “국회에서 야당 의원들의 필리버스터가 계속되는 한, 시민사회 역시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을 최대한 막기 위해 국회 밖에서도 지속적으로 시민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발언의 자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