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손동욱 기자] 4ㆍ16 세월호 참사 이후 피해자 법적 지원 및 진상조사 활동을 펼쳐온 대한변호사협회(협회장 위철환)가 오는 23일 그간의 활동 등을 정리한 ‘세월호 백서’를 발간한다.
이번 세월호 백서에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사고의 원인과 경과사실을 기록하고, 세월호 특위의 중요활동을 영역별로 정리했으며, 세월호 특위 전체 활동일지와 활동 관련 참고자료를 부록으로 수록했다.
제1부 개관에서는 세월호 참사의 사고원인, 진행 경과 및 드러난 문제점 등을 조망했다.
참사의 정확한 원인과 진상은 현재 진행 중인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내용과는 별도로 수사 및 재판결과, 감사원의 감사결과, 각종 세미나 자료, 백서의 내용을 근거로 간략히 정리해 뒀다.
제2부 영역별 세월호 특위 활동 내역에서는 △법률상담 활동 △언론대응 활동 △입법 활동 △현장지원 활동 △형사재판지원 활동 △진상조사 활동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를 살폈다.
이 밖에도 세월호 참사 이후 지금까지 우리사회에서 진행된 다양한 진상규명 작업도 한눈에 볼 수 있다.
대한변협은 4ㆍ16 세월호 참사 발생 직후 구조현장인 진도 팽목항에 소속 변호사를 파견하는 한편 전국 변호사를 대상으로 공익법률지원단을 모집해 총 514명의 변호사가 피해자 및 가족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피해자 측에 비해 자금과 조직, 법적능력 등이 뛰어났던 선사, 정부, 언론사 등의 귀책사유를 밝혀냈고, 유가족들의 의사를 반영한 ‘4ㆍ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도 했다.
이번 세월호 백서를 발간한 위철환 변협회장은 “앞으로 같은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월호 참사의 원인과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위 변협회장은 “변협의 이번 활동은 국가적 재난사태에 협회 차원에서 독립된 조직을 구성해 조직적으로 대응한 첫 사례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지원 및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활동의 경위와 성과를 잘 정리함으로써 앞으로 변협이 대규모 사고나 위험사태 시에 이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월호 백서에서는 지금까지 밝혀진 사고의 원인과 경과사실을 기록하고, 세월호 특위의 중요활동을 영역별로 정리했으며, 세월호 특위 전체 활동일지와 활동 관련 참고자료를 부록으로 수록했다.
제1부 개관에서는 세월호 참사의 사고원인, 진행 경과 및 드러난 문제점 등을 조망했다.
참사의 정확한 원인과 진상은 현재 진행 중인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내용과는 별도로 수사 및 재판결과, 감사원의 감사결과, 각종 세미나 자료, 백서의 내용을 근거로 간략히 정리해 뒀다.
제2부 영역별 세월호 특위 활동 내역에서는 △법률상담 활동 △언론대응 활동 △입법 활동 △현장지원 활동 △형사재판지원 활동 △진상조사 활동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를 살폈다.
이 밖에도 세월호 참사 이후 지금까지 우리사회에서 진행된 다양한 진상규명 작업도 한눈에 볼 수 있다.
대한변협은 4ㆍ16 세월호 참사 발생 직후 구조현장인 진도 팽목항에 소속 변호사를 파견하는 한편 전국 변호사를 대상으로 공익법률지원단을 모집해 총 514명의 변호사가 피해자 및 가족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피해자 측에 비해 자금과 조직, 법적능력 등이 뛰어났던 선사, 정부, 언론사 등의 귀책사유를 밝혀냈고, 유가족들의 의사를 반영한 ‘4ㆍ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도 했다.
이번 세월호 백서를 발간한 위철환 변협회장은 “앞으로 같은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월호 참사의 원인과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위 변협회장은 “변협의 이번 활동은 국가적 재난사태에 협회 차원에서 독립된 조직을 구성해 조직적으로 대응한 첫 사례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지원 및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활동의 경위와 성과를 잘 정리함으로써 앞으로 변협이 대규모 사고나 위험사태 시에 이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