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SK에코플랜트-美 네바다주, 전기차 폐배터리 등 신성장동력 협력 논의
SK에코플랜트가 미국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요충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네바다주와 협력을 강화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14일 리사이클링 전문 자회사 테스(TES)의 라스베이거스 공장에서 조 롬바르도(Joe Lombardo) 미국 네바다주 주지사와 비즈니스미팅을 가졌다고 밝혔다.이날 미팅에서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롬바르도 주지사는 SK에코플랜트 및 테스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력을 비롯해 전기·전자폐기물(E-waste) 사업과 글로벌 네트워크 등에 대해 깊은 논의를 나눴다. 함께 테스 라스베이거스 공장을 둘러보는 시간도 가졌다.테스 라스베이거스 공장은 약 3700㎡ 규모의 ITAD(IT Asset Disposition, IT자산처분서비스) 전용 공
-
[생활경제 이슈] 신라면세점, 인천공항 탑승동 매장 새단장 外
호텔신라가 운영하는 신라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 탑승동 매장을 새단장하며 샤넬 코스메틱을 포함한 주요 화장품 브랜드들이 총집합한 매장을 오픈했다. 신라면세점이 탑승동에 문을 연 이번 화장품 복합매장은 총 61개 브랜드로 구성됐다. 샤넬 코스메틱을 비롯해 디올 코스메틱, 에스티 로더, SK-II, 랑콤, 설화수 등 주요 브랜드들이 모두 오픈해 탑승동 유일의 ‘코스메틱 토탈 솔루션 매장’으로 재탄생했다.이외에도 △조말론, △라메르, △톰포드, △지방시, △클라란스, △겔랑 등 고객에게 인기가 높은 브랜드들도 빠짐없이 입점했으며, △르라보, △펜할리곤스 퍼퓸, △앳킨슨 퍼퓸 등의 니치 퍼퓸 브랜드들이 탑승동에 최초로 문을 열
-
[IT이슈] 몰테일, 지난해 일본 직구 매출 17% 증가 外
커넥트웨이브(119860)의 해외법인 몰테일은 지난해 엔저로 확대된 일본 직구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17%, 직구 건수는 13%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이는 2022년부터 이어져온 엔저 현상으로 한층 더 치열해진 일본 직구 플랫폼과의 경합 속에서 달성한 성과로 다양한 구매 인프라 및 서비스와 경쟁력 있는 상품 소싱 능력을 인정받은 결과다.현재 몰테일은 일본 도쿄에 구축한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배송 및 구매대행(다해줌, 사줘요) 서비스와 함께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자사몰 플랫폼 비타트라 일본과 테일리스트 등을 운영하고 있다.특히 이번 몰테일의 일본 직구 성장세에는 오랫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
SK네트웍스, AI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 ‘업스테이지’ 투자
SK네트웍스가 경쟁력 있는 AI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행하고 시너지 제고에 나선다. 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고객사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프라이빗(Private) LLM’ 시장을 선도하는 ‘업스테이지(Upstage)’에 25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업스테이지가 조성하는 시리즈 B 라운드에 리드 투자자로 참여한 것이다.SK네트웍스에 따르면 업스테이지는 AI 솔루션 개발 및 공급과 관련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타트업으로, 대규모언어모델(LLM)과 비교해 정보 보안과 영역별 특화 등에 강점을 지닌 ssLLM(small scale LLM) 시장에서 앞선 기술력을 자랑한다. 특히 기업 내부 데이터만을 활
-
LS그룹 구자은 회장, 美 CES서 "AI 폭풍 대비 가능한 사업체계 갖출 것"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지난해에 이어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4’ 현장을 찾았다. 구 회장은 2018년부터 CES에 참여해 왔으며,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고는 매년 참관해 왔다.11일 LS그룹에 따르면 이번 CES에는 구 회장뿐만 아니라, ㈜LS 명노현 부회장, SPSX(슈페리어 에식스) 최창희 대표와 함께 LS전선, LS일렉트릭, LS MnM 등의 주요 계열사 CTO 및 지난해 그룹의 우수 신사업 아이디어 및 연구 성과를 낸 ‘LS 퓨처리스트’ 등 20여 명이 동행했다.구 회장은 첫날 유레카 파크를 먼저 방문해 벤처 및 스타트업들의 혁신 기술을 관람하고, 이튿날인 10일 두산, HD현대, LG, 삼성, SK 등 국내 대표
-
[생활경제 이슈] 신세계푸드 자회사 ‘베러푸즈, 美 ‘클리브랜드 애비뉴’ 투자 유치 外
신세계푸드의 글로벌 대안식품 전문 자회사 ‘베러푸즈(Better Foods)’가 미국 벤처캐피탈 ‘클리브랜드 애비뉴(Cleveland Avenue)’의 투자를 유치했다. ‘베러푸즈’는 신세계푸드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대안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최대 시장으로 손꼽히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22년 미국에 설립한 대안식품 전문 자회사다. 2022년 법인 설립 이후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현지에 운영조직을 구성하고, 생산 및 온 ‧ 오프라인 판매 확대를 위한 비즈니스 파트너를 발굴해 왔다. 미국 시카고에 기반을 둔 ‘클리브랜드 애비뉴’는 맥도날드 CEO를 역임한 ‘돈 톰슨’이 2015년 설립한 글로벌 벤처캐피
-
[생활경제 이슈] 피자헛, 1월 ‘SKT 0 day’ 프로모션 진행 外
한국피자헛이 갑진년 새해를 맞아 SK텔레콤 T 멤버십 고객을 대상으로 1월 ‘SKT 0 day’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SKT 0 day’ 프로모션은 만 13세부터 34세까지의 VIP, GOLD, SILVER 등급에 해당하는 T 멤버십 고객들에게 0이 들어가는 10일, 20일, 30일 온라인 포장 주문 시 최대 48%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할인 혜택이 담긴 쿠폰은 각 날짜에 SKT T멤버십 앱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쿠폰은 발급일로부터 5일간 사용 가능하며, 기간 연장은 불가하다. 0 day 혜택은 T day, VIP Pick, 이달의 every day 혜택과 중복으로 사용할 수 있다.쿠폰 사용 방법은 피자헛 홈페이지 또는 앱 접속 후 세트메뉴 내 ‘0 day 세트’를 선택하여, 결제단계
-
[IT이슈] SK매직,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 등 3개 제품 ‘CES 2024 혁신상’ 수상 外
SK매직(대표 김완성)이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4(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 등 총 3개 제품이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SK매직은 지난 2020년 CES에 처음 참가한 이래 혁신적인 기술력과 디자인 경쟁력 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올해는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 등 총 3개 제품이 CES혁신상을 수상했으며, 기술, 디자인, 고객가치 등 모든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올해는 국내 정수기 브랜드 중 유일하게 SK매직이 CES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과 혁신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지난 5월 출시한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는 출시 보름 만에 판매량 1만대
-
[산업 이슈] 한화, ‘맑은학교 만들기’ 대상 학교 선정 완료, 학습환경 개선 위한 노력 지속 外
한화가 추진하고 있는 환경친화적 학습환경 개선 사회공헌활동 ‘맑은학교 만들기’ 사업이 3년차를 맞아 전국의 6개 학교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학교는 △용인 나곡초등학교, △부천 일신초등학교, △정읍 정읍남초등학교, △거제 상동초등학교, △보은 동광초등학교, △창원 반송초등학교 6개교다. 매년 교사 및 학부모의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지원 학교의 수도 1차년도 4개, 2차년도 5개, 3차년도 6개로 증가했다.한화는 환경재단,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지난 2023년 10월 16일부터 약 한달간 ‘맑은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 신청을 받았다. 환경공학과 교수, 장학사 등을 포함한 전문 자문단의 심사, 현장 방문 및 교직원과의
-
[IT이슈] 펄어비스, ‘CES’ 삼성D 부스에서 검은사막, 붉은사막 영상 시연 外
펄어비스(대표 허진영)가 9일(현지 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서 ‘검은사막’과 ‘붉은사막’ 영상을 시연한다고 밝혔다. 펄어비스는 2년 연속 삼성디스플레이와 함께 CES에 참가해 북미 이용자들을 만난다.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신제품 모니터 2종(31.5형 UHD, 27형 QHD 360Hz)을 통해 검은사막 ‘아침의 나라’와 ‘붉은사막’의 게임 트레일러를 선보인다. 올해 10년을 맞는 검은사막은 북미 유럽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022년 글로벌 게이머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던 조선을 모티브로 한 신규 콘텐츠 ‘아침의 나라’를 미국 LA에서 첫 공개했다. 아침의 나라는 글로벌 콘텐츠 평점 집계 사이트 ‘메
-
[IT이슈] 한컴, 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에 전략적 투자 단행 外
한글과컴퓨터(030520, 대표 변성준·김연수, 이하 한컴)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42Maru, 대표 김동환)’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 한컴의 이번 투자는 엘지유플러스, 하나증권 등과 함께 포티투마루의 시리즈B 투자에 참여한 것으로, 지난해 11월 포티투마루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양사 간 사업적 시너지 확대를 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한 이후, 이번 지분 투자를 통해 AI 기술 확보 및 경쟁력을 강화하며 본격적인 AI 사업 전개에 나선다. 포티투마루는 딥러닝 기술에 기반을 둔 딥 시맨틱 QA(Question Answering) 플랫폼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AI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삼성, LG, SK, 현대기아차, CJ
-
[산업 이슈] SK, CES서 탄소감축·AI 세계 최정상 기술 공개 外
SK그룹이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탄소감축과 AI기술을 공개한다.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SK경영진들은 글로벌 기업들과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및 외연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SK는 9~12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 Las Vegas Convention Center) 센트럴홀에서 기후위기가 사라진 넷제로 세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을 관람객들이 체험할 수 있는 560평 규모의 테마파크 콘셉트의 ‘SK그룹 통합전시관’과 다양한 AI 기술 리더십을 소개하는 160평 규모의 ‘SK ICT 패밀리 데모룸'을 별도 운영한다.‘SK그룹 통합전시관’은 SK㈜, SK이노베이션,
-
구자근 의원, “한전 적자 폭증…민간발전사 이익 1.4조 증가”
최근 국제에너지 가격이 급등해 한전의 영업적자는 2021년 5.9조에서 2022년 32.6조로 5.5배 폭증했다. 그런데 민간 발전사들은 연료비 원가 상승과 무관하게 영업이익을 1조3670억 거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자중기위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경북 구미시갑)이 전력거래소 등을 통해 민간 직도입 LNG(Liquefied Natural Gas) 발전사가 운영하고 있는 발전기 원가와 전력 판매가격 등을 분석한 결과 사실로 밝혀졌다. SK 발전 계열사인 ‘파주에너지’는 2021년 933억 수준의 영업이익이 2022년 2499억으로 2.6배 늘었다. 여기에 GS 계열사인 ‘GS EPS’도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121억에서 6090억으로 2.9배 가까이 증가했다. 게
-
[IT이슈] 아프리카TV, BJ·임직원과 함께 ‘따뜻한 겨울나기 연탄나눔’ 봉사활동 진행 外
아프리카TV가 BJ·임직원과 함께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아프리카TV는 지난 4일(목) BJ(Broadcasting Jockey, 1인 미디어 진행자)와 임직원이 함께 구룡마을에서 에너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연탄나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난 2020년부터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과 함께 올해로 4회째 진행됐다.‘따뜻한 겨울나기 연탄 나눔’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봉사활동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구룡마을 내 연탄 사용 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봉사활동에는 지난 12월부터 모집된 BJ와 임직원이 참여해 연탄 3,000장을 전달했다.'아프리카TV 이민원 소셜미디어사업부문장은 “아프리카TV BJ
-
서울 등 수도권, 1월 중 1만4000가구 분양 ‘봇물’
갑진년 새해 수도권 분양시장은 지난해 미처 분양을 하지 못한 물량들이 더해지며 연초부터 비교적 많은 물량이 쏟아질 전망이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월 중 수도권에서는 총 13개 단지를 통해 1만4291가구가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 이 중 조합원분을 제외한 일반분양 물량은 7248가구(민간아파트 기준. 임대 포함)다.지역별로는 △서울 2개 단지 총 3714가구(일반 489가구) △인천 3개 단지 총 4070가구(일반 3850가구) △경기 8개 단지 총 6507가구(일반 2909가구) 등이다. 올 분양시장은 지난 연말 중견건설사의 워크아웃 소식이 전해지며 지난해 초와 마찬가지로 무거운 분위기 속에 문을 열었다. 지난해 초반의 경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