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5가구 중 1가구는 ‘월세살이’…수요자, 주거 안정성 찾아
우리나라는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남의 집에 세들어 사는 세입자들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행정구역별 주택점유형태를 살펴본 결과, 2019년 기준 우리 국민의 자가비율은 58%로 나타났다. 이외 42%는 각각 ▲전세 15.1% ▲보증금 있는 월세 19.7% ▲보증금 없는 월세 3.3% ▲무상 3.9%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과 비교해 자가비율이 2.4%p(55.6%→58%) 증가할 때 전세비율은 7.3%p(22.4%→15.1%) 하락했으며, 월세비율은 5.8%p(17.2%→23%) 증가했다는 점이다.업계 전문가는 “월세 비중의 확대는 세대 분할과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볼 수도 있지만, 자가비율 보다도 월세비율의 증가폭이 두배가
-
[분양캘린더] 11월1주, 다가오는 입동에도 청약 시장 ‘활기’
11월 첫째 주 청약시장은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리얼투데이 조사에 따르면 전국 19개 사업장 9,125가구(오피스텔·임대 포함, 도시형생활주택·행복주택 제외)가 청약 접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최대 이슈인 경기도 과천시 과천지식정보타운 3개 블록(S4·S5·S1)에서 1,698가구가 청약을 받는다. 주요 단지로는 ‘과천 푸르지오 어울림 라비엔오(679가구)’, ‘과천 르센토 데시앙(584가구)’, ‘과천 푸르지오 오르투스(435가구)’ 등이다. 지방에서도 대구 수성구 ‘호반써밋 수성’, 경북 구미 ‘구미 아이파크 더샵’, 세종시 ‘세종 한림 풀에버’ 등 주요 지역에서 1순위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이어 견본주택
-
주택시장, ‘직주근접’ 단지가 상승세 ‘주도’
직주근접 단지들이 각광받고 있다.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업무지구로 출퇴근이 편리한 직주근접 단지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 산업단지나 업무지구 주변 단지들은 탄탄한 배후수요가 바탕이 되는데다가 실수요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는 만큼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직주근접형 단지는 분양시장에서도 인기다. 지난해 1순위 청약경쟁률 TOP5를 기록한 단지들을 확인해본 결과 모두 직주근접형 단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에 공급된 ‘르엘 대치’가 1순위에서 212.1대 1의 경쟁률로 전국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 양상을 보였다. 뒤를 이어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3차’(20
-
자연과 예술이 단지에 ‘쏙’…조경, ‘단지 가치’ 좌우
아파트 선택의 절대적인 기준이 교통과 학군 등 입지에만 국한됐던 것과 달리 조경이나 건폐율, 녹지율 등 단지 내 환경도 주거선택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모양새다. 비슷한 외형의 아파트라고 해도 실제 살아가는 공간에서의 생활은 조경과 커뮤니티 구성 유무에 따라 평가 받고 있어서다. 최근 지어지는 신축 아파트는 구축 아파트에서 볼 수 없는 조경 공간 설계로 입주민들의 심리적 안정을 꾀한다. 미술관 및 전시관에서 볼 수 있었던 작품이 아파트 안으로 들어오는 가하면, 단지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단지 내에서 지친 심신을 달랠 수 있게 하는 곳이 신축 아파트가 됐다. 여기에 우수한 조경 공간과 넓은 주차 공간을 갖춘데 이어 도서관
-
11월, 전국 5만2643가구 일반분양…대단지 물량 ‘눈길’
올해 분양시장이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가운데 11월에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공급될 전망이다. 특히 수도권 및 지방에서는 2,000여가구가 넘는 대단지 물량들이 각각 예정돼 있어 눈길을 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1월 전국에서는 4만7,418가구(1순위 청약 기준, 임대 포함·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되며 이 중 4만2,643가구가 일반분양 될 예정이다. 수도권의 일반분양 물량은 2만3,690가구(55.6%)를 차지했고 지방은 1만8,953가구(44.4%)인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10월 일반분양 실적 대비(28일 기준, 전국 1만214가구·수도권 5,804가구·지방 4,410가구) 4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11월 전국의 일반분양
-
올 청약경쟁률 상위권 절반 ‘10대 건설사’…1순위 90% 육박
우수한 아파트 품질과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청약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보이는 브랜드 아파트가 올해 청약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올해 막바지를 향해 가는 분양시장에서 브랜드 아파트들이 수요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10월 넷째주) 전국에서는 348개 단지 12만3,931가구의 일반공급 물량에 292만2,239명의 청약자들이 몰려들었다.청약 단지별 성적을 살펴보면 537.0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고덕 아르테스 미소지움’과 470.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혁신도시 에코르 1단지’ 등이 가장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중견사들의 약진이
-
HDC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 ‘반정 아이파크 캐슬’ 분양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은 10월 경기도 화성시 반정동에 짓는 ‘반정 아이파크 캐슬’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수원시 영통생활권을 공유할 수 있는 데다 영통 아이파크 캐슬 1~3단지를 잇는 브랜드타운으로 조성되는 만큼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 반정 아이파크 캐슬은 총 2개 단지로 4단지는 지하 2층~지상 17층, 14개동, 전용면적 59~105㎡ 986가구, 5단지는 지하 3층~지상 19층, 20개동, 전용면적 59~156㎡ 총 1,37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별로는 △59㎡ 361가구 △75㎡ 704가구 △84㎡ 1,156가구 △103㎡ 2가구 △105㎡ 124가구 △112㎡ 2가구 △119㎡ 3가구 △121㎡ 3가구 △130㎡ 7가구 △156㎡ 2가구 등이다.단
-
부채비율 증가세…안정성 갖춘 ‘민간임대 아파트’ 노려볼까?
최근 주택시장에 빚 많은 전세주택이 증가하면서 보증금 반환이 확실한 민간임대 아파트가 대안으로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20일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발급된 HUG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운데 부채비율이 80~100%에 이르는 주택은 전체의 43.66%(전국 5만6,033가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위기주택 비율이 39.59%였던것과 비교하면 8.75%나 급등한 셈이다.부채비율이 높은 집은 유사시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확률이 커 세입자에게 위험부담이 될 수 있다. 임대인이 빚을 못 갚아 주택이 경매에 넘어가면 낙찰금에 대한 권리는 세입자
-
“그래도 서울”…소형 주거공간, 작지만 확실한 선택지
연일 오르는 아파트값 상승 소식에 자본금이 넉넉치 않은 수요자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다. 서울 내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낮은 지역에 10억원이 넘는 아파트들이 실거래가 신고가 속출하면서 서울 전 지역이 10억원 시대에 돌입하는가 하면, 지난 9월에는 서울 평균 아파트 값이 10억312만원으로 집계되며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높아진 가격 부담으로 서울에서 내 집 마련하기도 힘들어진데다, 당첨 가능한 청약 가점 커트라인도 치솟고 있어 젊은 실수요자들의 신규 아파트 청약 당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직장이나 학교 문제로 서울에 터전을 잡고 싶은 수요자들에게 ‘서울 입성’은 좀처럼 실현되기 어려운 꿈같은 일로 남게
-
[분양캘린더] 10월4주, 전국 6305가구 청약…풍성한 가을 분양시장
지난주 경기 과천시 지식정보타운(지정타) 3개 블록(S4·S5·S1), 하남 감일지구 주상복합의 사이버 모델하우스가 오픈하면서 본격적인 가을 시장이 펼쳐지고 있다. 과천 지정타는 ‘준강남’ 입지인 데다 분양가도 주변 시세 대비 저렴하고 중복청약이 가능해 높은 경쟁률이 예고됐다. 여기에 수도권 주요 단지와 ‘레이카운티’의 성공으로 관심이 고조된 부산에서도 청약일정이 진행되어 분양시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10월 넷째 주에는 전국 12곳에서 6,305가구(오피스텔·임대 포함, 도시형생활주택·행복주택 제외)의 청약접수가 실시된다. 이 가운데 6곳, 4,663가구가 경기 물량이다.경기에서는 ‘대곡역 롯데캐슬 엘클라씨’ 와 부산
-
현산·포스코, ‘구미 아이파크 더샵’ 분양…42층 랜드마크 대단지
HDC현대산업개발과 포스코건설은 오는 23일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1구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짓는 ‘구미 아이파크 더샵’의 모델하우스를 오픈하고, 본격 분양에 나선다. ‘구미 아이파크 더샵’은 지상 최고 42층, 12개동, 전용면적 39~101㎡, 총 1,610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1,314세대가 일반에 분양된다. 일반분양 분의 전용면적별 세대수는 △59㎡ 552세대 △74㎡ 64세대 △84㎡ 639세대 △101㎡ 59세대 등 다양한 평면으로 구성돼 있다. 경부선 구미역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원평1·2·3구역 중 가장 먼저 분양되는 단지이며 지역 최고 42층, 축구장 약 2배 크기(약 1만6,000㎡)의 대규모 공원을 갖춘 랜드마크 대단지로 공급된다. ‘구
-
심각한 전세난 속 ‘임대 아파트’가 대안될까?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전세대란에 전세민들의 시름이 날로 커지고 있다. 지난 7월 31일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 여파로 인해 전세매물이 급격히 줄어든 데다 아파트 전세금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자금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개정된 이후에는 전세거래가 줄어드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전국 아파트 전세 거래량을 살펴보면, 7월 4만9,520건이던 전세 거래는 8월 3만5,265건으로 28.78% 감소했고, 9월 역시도 전달 대비 31.71% 줄어든 2만4,081건만이 거래됐다. 지난해 동기간(2019년 7~9월) 총 12만3,338건 거래된 것과 비교해도 11.73% 감소한 수치다. 또
-
매매거래비율 3개월 연속 내리막…전·월세 시장 가속화?
계속된 규제 속에서도 가파른 매매가격 상승세를 보이며 패닉바잉 사태를 불러일으킨 전국 아파트 매매비율이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전·월세 시장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나라 아파트매매거래량 자료에 따르면 8월 전체아파트 거래량 중 매매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55.56%(10만6,969건 중 5만9,429건)로 나타났다. 이는 64.72%(15만8,348건 중 10만 2,482건)의 매매거래량 비율을 기록한 6월 보다 9.16%p 낮아졌으며, 6월 이후 3개월 연속 전체 아파트 거래량중 매매비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특히 최근 아파트 매매가격의 폭발적인 상승세를 기록한 서울의 경우 지난 6월 아파트 매매거래비율이 70.47%(1만5,761건 중
-
포스코건설, 하반기 최대어 부산 대연8구역 ‘단독’ 수주
포스코건설이 공사비 9000억원 규모의 하반기 부산 재개발 최대어 대연8구역 시공권을 단독으로 따냈다. 18일 포스코건설은 이날 대연8구역 재개발조합이 시공자 선정을 위해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한 조합원 총회에서 639표(54.15%)를 얻어 경쟁사인 HDC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 컨소시엄(541표·45.87%)을 98표 차이로 따돌리고 최종 시공자로 낙점됐다. 이날 총회에는 전체 조합원 1195명 중 118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그동안 포스코건설은 ‘단독입찰’, ‘유리한 사업조건’ 등을 앞세워 조합원들의 표심을 공략했다.실제로 단독입찰을 통해 아파트 브랜드 ‘더샵’으로 지역의 랜드마크를 세우겠다며 강조했고, 공사비도 경쟁사보
-
재개발·재건축 단지, 1순위 마감률 5년째 상승 ‘고공행진’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분양되는 단지가 부동산 시장에서 고공행진 중이다. 이는 편리한 교통환경부터 학군, 생활 편의시설까지 모두 갖춰져 완성된 인프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건설사의 참여가 많아 브랜드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가격 상승 요인으로 이어지기도 한다.반면 신도시나 대규모 택지지구에 지어지는 단지의 경우, 교통 및 생활 인프라를 새로 구축하기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입주 후 겪는 불편함이 예상돼 초기 입주를 꺼리는 일이 종종 있다.이 때문에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단지는 실수요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2015년 1월~2020년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