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핀테크
-
[금융이슈] 카카오페이, ESG위원회 정식 출범 등
◇카카오페이, ESG위원회 정식 출범 카카오페이는 작년 5월 설립된 ESG추진위원회가 이사회 내 위원회로 정식 설치되었다고 29일 밝혔다. 위원장에는 신원근 대표이사(CEO)가 선임됐다. 신원근 대표는 향후 ESG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카카오페이만의 비즈니스 특성을 살린 ESG 경영을 주도한다. 이에 카카오페이 ESG위원회는 이사회 하에 ESG 경영전략 수립과 리스크 관리에 힘쓰고, 올해부터 발간되는 지속가능경영 및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통해 주주·투자자·사용자·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다. 나아가, 국내외 ESG 평가 대응에 적극 임하고 작년부터 운영해왔던 금융 소외계
-
위메이드 '위믹스' 싱가포르 거래소 '비트닷컴' 상장
위메이드는 싱가포르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닷컴’에 자사의 가상자산 ‘위믹스’를 상장한다고 28일 밝혔다. 위메이드에 따르면 비트닷컴은 싱가포르 디지털 금융 서비스 플랫폼인 매트릭스포트가 운영중인 가상자산 거래소다. 위믹스는 비트닷컴 테더(USDT) 마켓에 상장된다. 상장되는 위믹스는 위믹스3.0 메인넷 기반 위믹스 코인이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상장을 기념해 거래 수수료 할인 이벤트와 에어드랍 이벤트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IT이슈] 코인원, 고객 목소리 녹여 거래소 서비스 고도화 外
코인원(대표 차명훈)이 올해 과제로 삼은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 과정에서 고객의 목소리를 폭넓게 반영함으로써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코인원 고객센터는 모든 채널을 통해 인입된 고객상담 종료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실제 서비스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집・분석함으로써 코인원이 제공 중인 고객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해 개선하고 있다. 코인원 관계자는 "온・오프라인 4개 채널을 통한 365일 24시간 민원 응대 시스템 구축과 전화상담 통화 연결이 안 된 고객 대상 100% 당일 콜백 서비스 도입 등이 대표적이다"라며 "그 결과, 최근 1년간 고객센터 이용자들의 평가를 종합한 결과 91.5%의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
크래커랩스 '제2의 카카오페이 사태' 일으킬 뻔...크러스트 강준열 대표도 사임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이 거버넌스카운슬인 크래커랩스의 일방적인 클레이 매도로 내홍을 겪고 있다. 기존 클레이튼 운영사인 크러스트 강준열 대표도 최근 사임하며 클레이튼 재단과 클레이튼 생태계의 향후 전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크래커랩스는 크립토 윈터에도 긍정적 변화와 함께 유틸리티 토큰인 KLAY에 있어서도 상승세를 보이던 클레이튼 생태계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 8일,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카운슬(GC)인 크래커랩스가 다수의 계좌를 통한 이른바 ‘믹서’ 방식으로 보유한 클레이 코인을 대량 매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클레이튼 재단측이 보유한 물량을 소
-
[IT이슈] 네이티브, 실시간 정보 대화 기능 출시 外
(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16일 자사의 한국어 챗GPT 대화 서비스 ‘네이티브’에 실시간 정보 대화 기능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챗GPT는 사용자의 의도에 잘 맞는 답변을 하지만 2021년 9월까지만 학습돼 그 이후 정보를 모르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었다. 네이티브는 이 문제를 자체 기술로 해결해 이날 서비스에 내장했다.체인파트너스 관계자는 "네이티브는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지금 서울 문래동 날씨"와 같은 실시간 질문에도 답을 하도록 개선됐다"라며 "같은 질문을 챗GPT에 물어보면 “2021년 정보까지만 알고 있다”는 대답이 나온다"라고 전했다. 이어 "네이티브는 심지어 삼성전자를 ‘삼전'으로 줄여 물어봐도 답을
-
[IT이슈] 네오핀, 이더리움(ETH) ‘계정 추상화’ 적용 外
글로벌 씨디파이(CeDeFi) 플랫폼 네오핀은 이더리움 '계정 추상화' 업데이트 ERC-4337을 네오핀 플랫폼에 적용한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리브랜딩을 단행하며 씨디파이(CeDeFi) 플랫폼 강화 및 글로벌 도약에 나선 네오핀은 ERC-4337을 선도적으로 적용,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지갑 UX(이용자 경험)/UI(이용자 환경)을 개선하며 공격적으로 사업 확장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규제 준수를 통한 신뢰도 확보를 기본 바탕으로 빌트인 다중서명, 소셜 지갑 복구, 새로운 서명 알고리즘 등 ERC-4337의 핵심 기능을 구현해 이용자 경험과 안정성을 대폭 높이며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전략이다.네오핀 관계자는 "ERC-4337은
-
[IT이슈] 오지스, 오르빗 브릿지 신규 메인넷 메타디움 연결 外
오지스가 오르빗 브릿지에 21번째 메인넷으로 메타디움 연결을 완료했다. 또한, 메타디움 토큰(META)은 오르빗 브릿지를 통해 톤 생태계에 진출하며 멀티 체인 기반 성장의 첫 발판을 마련했다. 오지스 관계자는 "오르빗 브릿지(Orbit Bridge)는 오지스가 2020년 자체 개발한 크로스체인 브릿지이다"라며 "오지스의 독보적인 크로스체인 기술은 분절화한 메인넷, 플랫폼, 유저 등을 연결해 블록체인 생태계의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오르빗 브릿지는 글로벌 7위(DefiLlama 브릿지 TVL 기준)에 랭크될 만큼 뛰어난 사용성과 안전성을 기반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메타디움(Metadium)은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
[IT이슈] 밀크파트너스 ‘겟플러스’와 파트너십 체결 外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대표 조정민)가 말레이시아에 이어,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확장에 나선다.밀크파트너스는 1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현지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인도네시아 로열티 포인트 통합 플랫폼 ‘겟플러스(GetPlus)’와 포인트 전환 서비스 오픈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밀크파트너스 관계자는 "겟플러스는 △DANA(인도네시아 대표 전자 결제 지갑 서비스), △BCA(인도네시아 최대 규모 민간 은행), △Blibli(이커머스), △Ticket닷컴(OTA) 등 인도네시아 주요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온·오프라인 250개 이상 기업들과 활발한 포인트 통합 및 교환 서
-
[IT이슈] 포블, 한국경제TV 디지털자산평가 코레이팅 공동 IR 참여 外
가상자산 거래소 포블(대표 안현준)이 지난 9일 한국경제TV 디지털자산평가 서비스인 코레이팅 공동 IR 행사에 참여했다. 지난 9일 한국경제 TV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유망 프로젝트 발굴과 투자자 보호 및 건전한 투자문화 조성 구축을 위해 진행됐다.포블, 프로비트, 플라이빗, 플랫타익스체인지, 코어닥스, 후오비코리아 등 총 6개 코인마켓 거래소 및 IR 참여 재단들이 함께했으며 블록체인 유망 프로젝트 발굴이 주요 골자인 만큼 비즈니스 모델은 물론 토큰 이코노미 등을 심도 있게 확인했다.포블 관계자는 "국내 유망 프로젝트 발굴로 가상자산 업계 생태계 성장과 얼어있는 투심을 잡고 투명한 투자환경을 조성하려는 움
-
[IT이슈] 포블,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과 ST 상품 개발 MOU 체결 外
가상자산 거래소 포블(대표 안현준)이 23일 간편 투자 플랫폼 기업인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대표 정인영)과 다양한 형태의 토큰증권(ST) 상품 개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은 간편투자 플랫폼인 “핀트(fint)”를 통해 AI 간편 투자, 결제 서비스, 마이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국내 1위의 투자일임 고객수를 보유하고 있다.포블 관계자는 "양사는 이번 상품 개발을 통해 디지털 생태계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시중에 나와있는 ST 관련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논의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안현준 대표는 “포블과 디셈버앤컴퍼니는 IT 기
-
[IT이슈] 오지스, 올비트닷컴 베타 서비스 출시 外
블록체인 기술 기업 오지스의 출발점 ‘올비트’가 ‘올비트닷컴’으로 부활한다. 오지스가 10일, ‘올비트닷컴’의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비트닷컴은 오지스가 개발한 클레이튼 기반의 프로 차트 서비스이다. 올비트닷컴은 오지스의 대표 AMM-DEX이자 클레이튼 생태계 내 70% 이상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클레이스왑과 완전한 호환성을 갖추었다. 오지스 관계자는 "올비트닷컴은 온체인 거래 데이터 기반의 가상자산 가격 및 전문 트레이딩 뷰 차트를 제공한다"라며 "올비트닷컴에서는 클레이튼 체인 내 최대 유동성을 보유한 DEX 클레이스왑에서 발생한 실제 거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 가격을 도출하고, 전문적인 트레이딩 뷰 차트 솔루
-
[IT이슈] 메가톤 파이낸스 토큰 MEGA, MEXC 상장한다 外
메가톤 파이낸스의 메가 토큰(MEGA)이 9일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MEXC에 상장한다. 메가톤 파이낸스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오지스가 2월 톤(The Open Network) 메인넷에 론칭한 AMM-DEX이다. 메가톤 파이낸스는 오픈 직후 톤 생태계 내 90% 이상의 도미넌스를 달성하며, 글로벌 웹3 커뮤니티의 큰 관심을 모았다.오지스 관계자는 "금번 ‘글로벌 MEXC’ 리스팅은 메가톤 파이낸스 거버넌스 토큰인 메가의 첫 거래소 상장이다"라며 "MEXC는 전 세계 200여 개 국가에서 1,400 종류 이상의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며, 1,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대형 거래소다"라고 전했다. 거래는 9일 오후 5시부터 MEXC의 메
-
[IT이슈] 오지스, 엘리시아와 파트너십 체결 外
오지스가 실물자산 토큰화 프로젝트 엘리시아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생태계를 확장한다. 8일, 오지스와 엘리시아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블록체인 생태계 교류를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양사는 특히, 오지스가 최근 출시한 톤(The Open Network) 메인넷 기반의 AMM-DEX 메가톤 파이낸스를 중심으로 협력을 시작한다.오지스(Ozys)는 풀스택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로 크로스체인 기술과 글로벌 규모의 디파이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외 웹3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엘리시아(ELYSIA)는 실물 자산과 가상 자산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이다. 엘리시아는 실물 자산을 실물자산 토큰(RWA Token)으로 만들어 온 체인
-
[IT이슈] 네오핀, 오지스와 파트너십 체결 外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은 블록체인 기술기업 오지스와 글로벌 도약 및 생태계 확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네오핀과 오지스는 글로벌 도약을 위한 강력한 공동 협력을 추진하며 상호 구축 중인 생태계를 교류하고 확장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디파이(DeFi, 탈중앙 금융), 지갑 등 양사의 블록체인 기술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우선 협력을 진행한다.네오핀 관계자는 "6일 오후 12시, 최근 오지스가 톤(The Open Network) 메인넷에 성공적으로 출시한 AMM-DEX(자동화된 시장메이커-탈중앙거래소) 메가톤 파이낸스에서 네오핀 토큰(NPT)과 톤 코인(TON)의 유동성 풀(NPT-TON)이 형성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
WSJ "테더, 은행계좌 만들려고 서류위조에 유령회사 활용했다"
가상화폐 테더가 은행 계좌를 만들기 위해 문서를 위조하고 유령회사를 이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에 따라 가상화폐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테더 운용사인 테더홀딩스와 자매회사 비트파이넥스가 은행 계좌를 만들기 위해 각종 편법을 동원한 정황을 담은 내부 이메일을 공개했다. 미국 은행 웰스파고은 2017년 3월 테더가 이용하던 다수의 대만 계좌의 거래 처리를 중단한 바 있다. 이에 테더 측은 은행 계좌를 유지하거나 새로 개설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WSJ는 "테더는 다른 회사와 해당 기업 임원의 명의를 사용하는 등의 수법으로 새 은행 계좌를 열었다"고 지적
-
[IT이슈] 하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이스크라와 파트너십 체결 外
인터체인 플랫폼 하바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이스크라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하바 관계자는 "이스크라는 다수의 P2E(플레이 투 언) 게임을 출시하고 커뮤니티의 모든 유저들이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받아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중심의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이다"라며 "라인 블록체인 총괄을 맡았던 이홍규 대표 외에도 넷마블, 디즈니 등에서 경력을 쌓은 업계 베테랑들이 합심해 시작한 프로젝트다"라고 전했다. 하바는 여러 체인에서 발행된 NFT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 유틸리티를 확장하고 가치를 증가시키는 인터체인 플랫폼이다. 최근 한강벤처스, 엑스플라, 보라, 마마벤처스 등에서 약
-
[IT이슈]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7월 중 엑스플라 합류한다 外
컴투스(대표 송재준, 이주환)는 자사 소환형 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이하 크로니클)'이 올해 7월에 P2O(Play to Own) 시스템을 적용하고 XPLA(이하 엑스플라) 생태계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컴투스 관계자는 "오는 3월 9일 글로벌 출시를 예고한 '크로니클'은 풍부한 콘텐츠와 탄탄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세계 전역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이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 게임 내 활동으로 발생한 가치를 이용자가 함께 소유하는 P2O 게임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컴투스는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크로니클’을 통한 Web 3.0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7월을 기점으로 P2O 시스템을 업데이트해 엑스플라에 온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