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점단속 대상은 ①범죄단체 등 조직적 마약류 유통행위 ②마약류 제조·밀수 등 공급 행위 ③클럽 및 유흥업소 내 마약류 범죄 ④인터넷(다크웹)·가상자산 이용 마약류 범죄 ⑤외국인 마약류 범죄 ⑥양귀비·대마 밀경 행위 등이었다.
검거 인원(494명)은 전년 동기(284명) 대비 73.9%, 구속 인원(83명)은 전년 동기(63명) 대비 약 3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투약·소지 등이 44.1%(218명)로 가장 많았고, 판매책이 35.4%(175명), 밀경사범 19.2%(95명)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34.4%(170명)로 가장 높게 나왔다. 특히 10대의 경우 36명으로 전년 동기(5명) 대비 7배 증가했으며, 다이어트약 구매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전체 마약류 사범 중 인터넷 사범은 20.6%(102명), 클럽·유흥업소 일대 마약류 사범은 19.6%(97명), 외국인 사범은 7.5%(37명)를 차지했다. 클럽 마약류 사범(97명) 전년 동기(12명) 대비 8배 증가, 인터넷 마약류 사범(102명)은 전년 동기(27명) 대비 3.7배 증가했다.
또한 총 19건(1억 4100만원 상당)을 기소 前 몰수·추징보전 해 마약 유통 사범들의 자금 원천 차단에도 일조했다.
대구경찰청은 상반기 집중단속 종료와 동시에 하반기 집중단속(8월~11월)을 강도 높게 전개해 연중 상시 단속체제를 유지하고,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예방에도 집중해 마약류 범죄가 우리 사회에서 근절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키로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