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CGV가 2006년 중국을 시작으로 글로벌에 진출한 이후, 중국에서 역대 7월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CGV중국은 지난 7월 박스오피스 기준 2.3억 위안(약 410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수치이며, 2019년 7월 실적과 비교해도 29% 증가한 것이다. CGV중국의 상영관별 박스오피스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7월 CGV중국의 상영관별 박스오피스는 21만7천 위안(약 3천9백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 성장했다.
이러한 성과는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와 더불어 6월 개봉작인 ‘소실적타’의 흥행 지속 및 신규 로컬작 ‘장안삼만리’, ‘팔각롱중’, ‘봉신 제1부’ 등의 흥행에 힘입었다. 사회적 관심 이슈를 현실적으로 다룬 ‘소실적타’, 가족들이 같이 즐길 수 있는 ‘장안삼만리’, ‘팔각롱중’, 총제작비 30억 위안을 투자한 여름 대작 ‘봉신 제1부’ 등 최근의 중국 콘텐츠는 다양한 소재와 짜임새 있는 스토리 전개로 관객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중국 전체 영화 시장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도 CGV중국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중국은 올해 초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 이후 2019년 시장 대비 관람객이 1분기는 약 70%, 2분기는 약 80%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완연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6월부터 8월까지 이어지는 여름 성수기 실적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전체 영화 시장의 역대 여름 성수기 박스오피스 최대 실적은 2019년 177억 위안이었으나, 올해는 8월 첫째 주까지의 실적이 150억 위안으로 집계되며, 180억 위안 이상의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하반기에도 CGV중국의 실적 개선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실화 배경의 로컬 콘텐츠 ‘고주일척’이 8월 중국 극장가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 4일 개봉한 할리우드 기대작인 ‘메가로돈2’도 CGV중국의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올해 중국에서는 추석에 해당하는 중추절과 개국일을 기념하는 국경절이 겹쳐 오는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약 8일간의 연휴가 있다. 연휴 기간에는 ’폭열점’ 등 로컬 기대작들의 개봉이 예정돼 있다.
세계적인 회계·경영컨설팅 업체 PwC도 앞으로의 중국 영화 시장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지난 6월 PwC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영화 시장이 전 세계 최대의 영화 시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부진했던 중국의 박스오피스 관객수가 올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어 2027년에는 2019년 관객수(17억 명)를 넘어선 18억 명 이상의 관객이 영화관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CGV 정승욱 중국법인장은 “최근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늘면서 적극적인 영화 홍보·마케팅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양질의 콘텐츠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며, “영화 상영 부문의 수익성 개선과 함께 한국 및 중국 시장의 장점을 잘 살려 매점과 광고 부문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법으로 실적 개선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콰트, 상반기 구독 매출 전년비 314% 증가
엔라이즈는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홈트레이닝 플랫폼 콰트(QUAT)가 상반기(2023년 1월~6월) 전체 구독 매출이 전년 대비 314% 증가하며 대폭 성장했다고 10일 밝혔다.
7월 신규 구독 매출도 역대 최고를 달성했다. 내부 실적 집계 결과(거래액 기준) 전년 대비 175% 성장했고, 같은 기간 월간 활성 구독 이용자 수(MAU)는 2.5배 늘었다. 1:1 맞춤형 운동 상담 서비스, 개인화 알고리즘을 통한 운동솔루션 추천 등 고민 해결에 집중한 제품 개선과 고객 니즈에 맞춘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마케팅 효율도 크게 개선됐다. 7월 광고비 대비 효율(ROAS)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고객 획득 비용(CAC)은 24% 줄여 비용 절감에 성공했다. 단기적인 성과나 규모에 집착하지 않고, 고객 만족에 집중해 건강한 성장 기반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버넥트, K-Display 2023 전시회에서 XR 테마관 소개 기업에 선정
코스닥 상장사인 글로벌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테크 기업 버넥트(438700)가 오는 16일부터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Display 2023)’에 XR 테마관 소개 기업으로 선정되어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버넥트는 코엑스 A홀 정중앙에 자리잡은 XR 테마관 부스에서 원격 현장관리 △리모트(Remote), 디지털 정보 제작 및 시각화 △메이크(Make)&뷰(View), 3차원 디지털 트윈 △트윈(Twin) 등 XR 솔루션과 △MS 홀로렌즈 △리얼웨어(RealWear) 등 다양한 스마트글라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버넥트는 XR 솔루션이 실제 디스플레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참관객들이 직접 시연하고 체험해볼 수 있도록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등의 장비를 제작하는 한화정밀기계에서는 버넥트 XR 솔루션을 원격 지원 대응 및 현장 XR 매뉴얼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CGV중국은 지난 7월 박스오피스 기준 2.3억 위안(약 410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수치이며, 2019년 7월 실적과 비교해도 29% 증가한 것이다. CGV중국의 상영관별 박스오피스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7월 CGV중국의 상영관별 박스오피스는 21만7천 위안(약 3천9백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 성장했다.
이러한 성과는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와 더불어 6월 개봉작인 ‘소실적타’의 흥행 지속 및 신규 로컬작 ‘장안삼만리’, ‘팔각롱중’, ‘봉신 제1부’ 등의 흥행에 힘입었다. 사회적 관심 이슈를 현실적으로 다룬 ‘소실적타’, 가족들이 같이 즐길 수 있는 ‘장안삼만리’, ‘팔각롱중’, 총제작비 30억 위안을 투자한 여름 대작 ‘봉신 제1부’ 등 최근의 중국 콘텐츠는 다양한 소재와 짜임새 있는 스토리 전개로 관객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중국 전체 영화 시장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도 CGV중국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중국은 올해 초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 이후 2019년 시장 대비 관람객이 1분기는 약 70%, 2분기는 약 80%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완연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6월부터 8월까지 이어지는 여름 성수기 실적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전체 영화 시장의 역대 여름 성수기 박스오피스 최대 실적은 2019년 177억 위안이었으나, 올해는 8월 첫째 주까지의 실적이 150억 위안으로 집계되며, 180억 위안 이상의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하반기에도 CGV중국의 실적 개선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실화 배경의 로컬 콘텐츠 ‘고주일척’이 8월 중국 극장가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 4일 개봉한 할리우드 기대작인 ‘메가로돈2’도 CGV중국의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올해 중국에서는 추석에 해당하는 중추절과 개국일을 기념하는 국경절이 겹쳐 오는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약 8일간의 연휴가 있다. 연휴 기간에는 ’폭열점’ 등 로컬 기대작들의 개봉이 예정돼 있다.
세계적인 회계·경영컨설팅 업체 PwC도 앞으로의 중국 영화 시장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지난 6월 PwC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영화 시장이 전 세계 최대의 영화 시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부진했던 중국의 박스오피스 관객수가 올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어 2027년에는 2019년 관객수(17억 명)를 넘어선 18억 명 이상의 관객이 영화관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CGV 정승욱 중국법인장은 “최근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늘면서 적극적인 영화 홍보·마케팅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양질의 콘텐츠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며, “영화 상영 부문의 수익성 개선과 함께 한국 및 중국 시장의 장점을 잘 살려 매점과 광고 부문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법으로 실적 개선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콰트, 상반기 구독 매출 전년비 314% 증가
엔라이즈는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홈트레이닝 플랫폼 콰트(QUAT)가 상반기(2023년 1월~6월) 전체 구독 매출이 전년 대비 314% 증가하며 대폭 성장했다고 10일 밝혔다.
7월 신규 구독 매출도 역대 최고를 달성했다. 내부 실적 집계 결과(거래액 기준) 전년 대비 175% 성장했고, 같은 기간 월간 활성 구독 이용자 수(MAU)는 2.5배 늘었다. 1:1 맞춤형 운동 상담 서비스, 개인화 알고리즘을 통한 운동솔루션 추천 등 고민 해결에 집중한 제품 개선과 고객 니즈에 맞춘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마케팅 효율도 크게 개선됐다. 7월 광고비 대비 효율(ROAS)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고객 획득 비용(CAC)은 24% 줄여 비용 절감에 성공했다. 단기적인 성과나 규모에 집착하지 않고, 고객 만족에 집중해 건강한 성장 기반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버넥트, K-Display 2023 전시회에서 XR 테마관 소개 기업에 선정
코스닥 상장사인 글로벌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테크 기업 버넥트(438700)가 오는 16일부터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Display 2023)’에 XR 테마관 소개 기업으로 선정되어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버넥트는 코엑스 A홀 정중앙에 자리잡은 XR 테마관 부스에서 원격 현장관리 △리모트(Remote), 디지털 정보 제작 및 시각화 △메이크(Make)&뷰(View), 3차원 디지털 트윈 △트윈(Twin) 등 XR 솔루션과 △MS 홀로렌즈 △리얼웨어(RealWear) 등 다양한 스마트글라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버넥트는 XR 솔루션이 실제 디스플레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참관객들이 직접 시연하고 체험해볼 수 있도록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등의 장비를 제작하는 한화정밀기계에서는 버넥트 XR 솔루션을 원격 지원 대응 및 현장 XR 매뉴얼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