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장, 자치경찰부장, 여성청소년과장, 아동청소년계장, 여청수사지도계장, 여청수사대장, 서부서 여청수사팀장, 학대예방경찰관(APO), 시청 청소년과장, 교육청 생활문화과장, 각 구·군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대구·북부·남부관장이 참석했다.
아동학대 관련 유관기관(경찰-아동학대전담공무원-교육청-아동보호전문기관) 간의 현장대응 강화방안 논의(동행출동, 통합사례회의 설치 등)로 공고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서다.
최근 정인이 사건을 계기로 대응 시스템 전반에 대한 국민적 불신 초래, 이러한 안타까운 사건이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국민의 눈 높이를 고려해 유관기관 간 협력과 현장대응 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고 대응시스템 전반에 대하여 미비점 등을 개선·보완하기 위함이다.
먼저 대구지역 학대피해아동 보호·지원 및 범죄예방에 앞장서 준 유관기관(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학대전담공무원)과 학대예방경찰관 현장대응 유공자 김효민 상담원 등 총 9명에 대해 대구광역시경찰청장 감사장·표창을 전달(수여)했다.
현재 아동학대를 포함한 사회적 약자 보호는 경찰이 당면한 최대 현안일 뿐 아니라 범정부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최대 과제라 할수 있다. 대구경찰은「우리의 관심, 다함께 진심, 모두가 안심」슬로건 아래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총력적인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경찰은 수사와 예방에 관한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가지고 있고 대구시, 교육청, 아동보호전문기관에는 피해아동보호를 위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각 기관과의 협업으로 창출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아동학대 사건은 신고 출동시 경찰과 전담공무원과의 동행출동으로부터 시작해 사후 지자체 중심의 통합사례회의를 거쳐 관련 전문가와 다각적인 협의 구증과 보호조치 필요성 판단하는 등 유관기관 간의 공동대응 및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중첩적인 프로세스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김진표 대구경찰청장은 "아동학대 현장 대응 체계 강화는 경찰이나 어느 한 기관만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에 기관 간 체계적 협력 필요하다"며 "간담회를 통해 완성도 높은 현장대응 체계 구축이 이루어 지길 바라며, 대구경찰 또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