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정부가 안전과 생계 모두를 생각하는 상생방역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키로 약속했다. 또한 장내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전국적 대유행으로 응급 상황이 반복된다면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모든 조치에 적극적으로 협조키로 했다.
최근 강화된 방역 조치로 헬스장‧필라테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은 비말 감염 위험성이 높다는 이유로 전면 폐쇄됐지만, 골프장‧스키장 등 야외체육시설이나 태권도장·발레학원 등은 교육 시설이라는 이유로 제한적 운영을 허용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헬스장 업계는 "헬스장이 집단감염의 발원지라면, 다른 집합시설도 마찬가지"라며 "똑같은 실내체육시설에도 누구는 운영되고, 누구는 운영이 안 되는 이유가 뭔지 설명조차 듣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요연 김재섭 연구원은 "정부의 오락가락 방역 조치는 피트니스 업계의 생존권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피트니스 업계의 생존권 보장하고 국민이 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환경 만들도록 간곡히 호소한다”고 전했다.
요연 하태경 소장은 "법을 달리 적용해 실내체육시설 운영자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합리적인 대안과 기준을 마련하여 국회 차원에서 협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