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5일 부산신항 1부두 크레인 위에서 전기 작업을 하던 노동자의 추락사고가 발생한지 한 달만에 재발된 이번 사망사고는 단순 안전사고로 넘길 수 없는 부산항만의 구조적 문제점을 보여주는 인재로, 관계기관의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2016년부터 최근 5년간 부산항에서 7명이 숨지고 61명이 부상을 입는 등 전국 4대 항만에서 발생한 인명사고의 대다수가 부산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항은 해수청, 항만공사. 부두운영사, 노조등 다양한 기관이 공존해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항만근로자도 하청, 재하청 구조로 작업이 진행되어 사고유형별 원인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라는 부산항운노조의 자체분석에도 볼 수 있듯이 안전 컨트롤타워 및 노후시설 개선방안 등의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부산시당 박미순 부대변인은 24일자 성명에서 “부산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항만도시로 부산신항 외에도 감만, 신선대부두 등 많은 노후시설이 운영되는 바 관계기관과 노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하역노동자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근본적 해결방안 마련을 촉구한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