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왜 개발인재 확보에 적극 나설까. ‘혁신’은 사람에게서 비롯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설문결과에 따르면 혁신 성과 달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신기술에 대한 빠른 수용’을 꼽은 기업이 1년 전보다 22% 늘었다. 기술 수용을 위한 인재 확보는 당연하다.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IoT,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을 몰고 올 신기술의 파고에 직면한 상황에서 신기술을 받아들이고,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고도로 숙련된 인재가 절실하다.
이상과 현실은 괴리가 있다. 지난 10월 13일 세계경제포럼(WEF)과 KAIST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의 미래와 포용적 성장’이라는 지식 축제를 열었다. 이 세미나에서 패널들의 다양한 견해가 제시됐는데, 그 중 신기술 인력 부족 사태를 지적하는 발언이 많았다. 신기술을 다룰 줄 아는 사람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업은 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출시를 위해 실험을 거듭하고, 이 과정에서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는 대안이 제시됐다.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과 불가분의 관계다. 그래서 전통기술에 신기술을 접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인더스트리 4.0’을 표방하며 4차 산업혁명을 적극 준비한 독일이 기존 제조업에 신기술을 융합한 모델을 구축한 게 대표적이다. 위드이노베이션(여기어때),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직방 등 국내 내노라하는 O2O 기업들이 기존 산업과 신기술 융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흐름은 전 산업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 의지도 강하다. 지난 10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사람 중심’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산업변화를 이끄는 실체적 정책 위에 ‘사람’ 중심의 소프트웨어적 혁신을 더한다는 포부다.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핵심으로 불리는 기술을 주도하고, 활용 가능 인재를 대폭 양성하고, 시장에 투입하는 것이다. 실제 4차산업혁명위원회 25명의 위원 중 18명의 민간위원 자리는 AI, 로봇공학 등 현장 경험으로 무장한 분야별 전문가들로 채워졌다. 이렇듯 우리 삶의 변화를 이끌 4차 산업혁명은 ‘사람’부터 비롯된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