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신종철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서기호 정의당 의원은 17일 “헌법재판소가 청소용역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도 주지 않다가, 국회의 지적을 받은 후 미지급 임금을 지급하고, 앞으로 기획재정부 등 행정부에서 마련한 ‘용역근로자 보호지침’에 따르기로 결정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반면 서기호 의원은 “대법원에도 같은 지적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원은 최저임금법을 위반하거나 위반을 턱걸이로 면할 정도의 임금만을 지급하며 청소용역 문제를 강 건너 불 보듯 하고 있다”며 “이번 헌재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와 의지에 박수를 보내면서 동시에 대법원의 각성과 조속한 개선을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서기호 의원은 지난 7월 법사위 헌법재판소 결산심사 당시 “헌법재판소가 청소용역노동자들에게 근로계약서와 달리 더 많은 시간의 근로를 시키면서도 그에 따른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최저임금을 위반했다”고 지적하면서 개선을 촉구했다.
이에 헌법재판소는 자체적으로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청소용역 운영ㆍ관리 실태를 조사했다.
이후 용역업체와의 협의 끝에 지난 9월 18일 2013년까지 최근 3년간의 미지급임금 약 1억2300만원을 청소노동자들에게 지급 완료했다. 또한 용역계약을 실제 근로시간에 맞게 변경함으로써 10월 1일부터는 개인당 월 30만원의 임금을 인상하는 등 조속한 조치를 취했다.
아울러 현재 2014년 미지급 임금에 대한 협의를 진행해 거의 완성돼 가는 단계에 있다고 서기호 의원에게 밝혀왔다.
하지만 서기호 의원은 헌법재판소의 조치에 만족하지 않고, 청소노동자의 임금 기준단가를 기획재정부 예규에 따른 시중노임단가(보통인부노임)로 적용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고, 결국 ‘보통인부노임이 기본급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답변을 받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