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대통령실·국회

김기식 “3조3000억 ‘한전 부지’ 현대차 10조5500억 낙찰…정몽구 황제경영 탓”

“매년 1조 세제감면을 받으면서 부동산 매입 10조 쓰는 현대차그룹에 정부가 세제 혜택 줄 필요 없다”

2014-09-18 23:37:26

[로이슈=신종철 기자] 헌대자동차그룹이 18일 서울 삼성동 한전 부지를 감정가 보다 3배를 훌쩍 넘는 10조 5500억원을 제시해 낙찰 받은 것과 관련,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정몽구 회장의 황제경영 집착에 의한 결과”라면서 “매년 약 1조의 세제 감면을 받고 있으면서 부동산 매입에 10조를 쓰는 현대차그룹에 더 이상 정부가 세제 혜택을 줄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먼저 현대차그룹은 이날 강남의 마지막 노른자 땅이라는 삼성동 한전 부지를 입찰가격 10조 5500억원을 제시해 삼성전자를 제치고 낙찰 받았다. 이는 한전이 제시한 감정가 3조3000억원의 3배를 넘는 어마어마한 액수다. 삼성전자는 현대차그룹보다 적은 4조 5000억원을 입찰가로 써 낸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부지의 면적은 7만9342㎡인데, 3.3㎡(1평)당으로 계산하면 1평에 4억3879만원에 달하는 엄청난 입찰가이다.

▲김기식새정치민주연합의원(사진=홈페이지)
▲김기식새정치민주연합의원(사진=홈페이지)
김기식 의원은 논평에서 “단일 자산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이자, 재계순위 1, 2위 간의 경쟁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은 삼성동 한전부지 쩐의 전쟁은 현대자동차의 승리로 끝났다”며 말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현대차그룹은 한전 부지 인수를 통해 가장 절실한 문제였던 ‘양재 사옥 공간 협소’ 문제를 해결하고, 삼성동 한전 부지 일대를 거대한 ‘자동차 도시’로 만들어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걸맞는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부지 매입의 명분으로 세웠지만, 부지활용 방안이 무엇이든, 미래가치가 어떠하건 4조원 대에 살 수 있는 것을 10조 5천억에 샀다는 것은 매우 비상식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대차 그룹이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어떻게 포장해도 합리적인 경영적 판단이라 할 수 없고, 정몽구 회장의 반드시 사겠다는 집착에 의한 결과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이런 비상식적 결정이야말로 재벌경영, 황제경영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라고 혹평했다.

김기식 의원은 “대기업들이 사내유보금으로 100조씩 쌓아두고 있고, 현대자동차 그룹의 경우도 114조원의 사내유보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전 부지에 공동으로 입찰한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모비스의 현금성자산은 총 39조 6480억에 달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한편 정부로부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각종 조세감면제도에 따라 매년 약 1조의 세제 감면을 받고 있다”며 “부동산 매입에 10조씩 쓰는 대기업에 대해 더 이상 정부가 세제 혜택을 줄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가 지방세 조세감면 축소, 주민세 자동차세 인상 등으로 지방세 1조 4천억을 인상하고, 담배세 인상으로 2조 8천억 세수를 확보하는 등 서민증세를 추진하면서 대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제도를 현행대로 유지하겠다고 하는 것은 한전 부지 매입을 통해서도 더 이상 명분이 없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박근혜 정부는 대기업에 편중된 조세감면제도를 전면적 재검토해 폐지 축소해야 한다”며 “말로는 ‘민생’을 이야기하면서 부자감세 철회와 특혜성 조세감면제도의 폐지 없이 서민증세를 계속 추진한다면 반서민ㆍ친재벌 정권임을 스스로 자임하는 것”이라고 압박했다.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