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소장 "사재출연 지분 대부분은 이미 담보로 잡혔던 것…책임졌다고 보기 어려워
재무악화에도 불구 계열사 지분 매각해 이익을 챙기기도…도덕적 해이 심각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구심점 역할 강력한 리더십 필요"
무리한 대우건설 인수합병 등 문어발식 경영에 따른 후유증으로 그룹 위기를 몰고 온 경영실패의 장본인으로 낙인찍히면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이 지난 1일부로 그룹회장으로 전격 복귀했다. 박 회장의 이번 복귀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지 15개월 만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 회장의 복귀에 대해 "박 회장의 경영복귀는 그룹의 구심점 역할을 해 줄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며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 등 산적한 현안을 앞두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안팎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고 밝혔다.
금호 안팎에서는 올해 초부터 시작된 기업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그룹 경영위기를 초래한 옛 경영진이 복귀함에 따라 비판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아시아나항공 노동조합과 금호타이어노동조합 등 노조들은 박 회장의 경영복귀에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지회 측은 "경영실패 책임자는 '경영복귀' 하고, 채권단은 MOU체결을 파기하고, 사기꾼(채권단, 경영진)들 놀음판에 돈대주는 꼴이 됐다"며 "2010년 임?단협 조기교섭으로 임금40%삭감, 단협개악, 생산량증가 등으로 워크아웃의 모든 고통은 오로지 현장조합원에게 전가, 조합원만 봉이 됐다"고 반발했다.
앞서 금호타이어노조는 지난 8월 10일 성명서를 통해 "금호타이어는 대우건설 인수로 5000억원의 투자 손실과 해외공장의 무분별한 확장으로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워크아웃에 돌입하게 된 것"이라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총체적 부실의 책임은 그 책임자인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명예회장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경제계 전문가들도 박 회장이 다시 경영에 나서는 것은 재벌가의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 추궁 미진
이와 관련해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상조, 한성대 교수, 이하 경개연)는 "금호그룹 총수일가가 계열사 주식과 자산을 담보로 맡기는 대신 채권단으로부터 경영권 유지를 보장받았다고 하나 부실경영 및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 추궁이 미진한 상황에서 다시 복귀하는 것에 대해 박삼구 회장 본인은 물론 채권단의 도덕적 해이를 강력하게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경개연은 "먼저 총수일가가 출연한 사재가 부실경영의 책임에 상응하는 것이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전제하고, "지난해 12월 30일 산업은행과 금호그룹은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면서 총수일가가 보유하고 있던 계열사 지분 일체를 넘기고 그 처분권을 채권단에 위임하기로 했다"며 "그러나 해당 지분 대부분은 이미 금융기관에 담보로 잡혀있는 것들이었으며 그밖에 집은 사재 출연 대상에서 빠져 있었고, 선산과 임야 등 다른 부동산도 합쳐봐야 5억원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면서 부실 경영에 대한 책임 보다는 경영권 확보에 더 관심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금호타이어-비컨 간의 이면계약 사건에 대한 조사 역시 아직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면서 "금호타이어는 2008년 8월 페이퍼컴퍼니인 비컨과 이면계약을 맺고 금호타이어 홍콩법인을 통해 US $106950000을 대해 당시 2대주주였던 쿠퍼타이어&러버컴퍼니가 보유하고 있던 지분 10.71%를 매입하고, 마치 새로운 투자자가 나타나 지분을 인수한 것처럼 공시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
경개연은 "금호타이어는 2009년 4월 이후, 비컨의 지분인수 자금조달 목적으로 홍콩법인이 발행한 전환사채 상환 등을 위해 US $120000000을 홍콩법인에 대여하면서 그 목적을 '차입금 상환'이 아닌 '시설자금'이라고 허위기재했다"며 "금호타이어는 결국 2009년 말 결산에서 홍콩법인이 비컨에 대여한 US $106950000 중 US $83926000을 대손상각하고 지분법 손실로 반영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경개연은 금융감독원에 공문을 보내 금호타이어의 허위공시, 회계기준 위반, 자사주 취득제한 규정 위반 혐의 등을 조사하고 제재조치 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감독원은 '조사 중' 이라고만 답변하고 있을 뿐 4개월이 지나도록 아무런 결과를 내놓고 있지 않은 상황이이다. 만약 금호타이어의 법령위반이 확인된다면 당시 대표이사였던 박삼구 회장은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게 경개연의 주장이다.
금호그룹 지배주주 일가는 그룹의 재무상황이 악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계열사를 통해 이익을 챙기고 소유지분을 처분하기도 했다.
2005년말부터 총수일가가 100%지분을 보유해온 금호개발상사(주)는 금호타이어(주)에 원재료를 공급하는 회사로 총매출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계열사 매출을 통해 꾸준히 영업이익을 늘려 왔다. 이에 따라 총수일가는 2005년 배당금으로 투자금액을 모두 회수했으며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당기순이익의 90%에 달하는 배당을 받기도 했다. 이후 박삼구 회장 등 총수일가는 2008년 1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금호개발상사(주)의 지분 전부를 금호피앤피화학(주)과 금호알에이시(주)에 넘겼다.
이에 대해 경개연은 "이는 총수일가가 핵심계열사의 사업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회사에 출자한 후 계열사의 몰아주기 거래를 통해 성장시키고 결국은 그 지분을 다시 계열사에 매각하여 이익을 실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특히 금호개발상사(주)의 지분 매각은 그룹 전체의 재무상태가 크게 악화되고 드디어는 채권단 관리에 들어간 상황에서 진행된 것이어서 총수일가의 도덕적 해이는 물론 이를 방치한 채권단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개연 김상조 소장은 박삼구 회장의 경영 복귀에 대해 "부실·불법 경영에 대한 책임이 막중한 박삼구 회장이 슬그머니 다시 경영에 복귀하는 것은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라고 할 수 있다"며 "(박삼구 회장은) '책임경영'을 위해 다시 경영에 복귀한다고 강변했으나 '책임경영'은 이런 경우에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김 소장은 "채권단은 박삼구 회장의 경영복귀를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고 전제하고, "워크아웃도 종료되지 않는 상황에서 회사의 부실경영을 초래했던 장본인에게 다시 경영권을 넘겨준다는 것은 그동안 진행되어온 구조조정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외부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신뢰를 이미 상실한 경영자가 부실기업을 성공적으로 구조조정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박삼구 회장의 복귀는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을 또 다시 소액주주 및 종업원들에게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재무악화에도 불구 계열사 지분 매각해 이익을 챙기기도…도덕적 해이 심각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구심점 역할 강력한 리더십 필요"
무리한 대우건설 인수합병 등 문어발식 경영에 따른 후유증으로 그룹 위기를 몰고 온 경영실패의 장본인으로 낙인찍히면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이 지난 1일부로 그룹회장으로 전격 복귀했다. 박 회장의 이번 복귀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지 15개월 만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 회장의 복귀에 대해 "박 회장의 경영복귀는 그룹의 구심점 역할을 해 줄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며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 등 산적한 현안을 앞두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안팎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고 밝혔다.
금호 안팎에서는 올해 초부터 시작된 기업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그룹 경영위기를 초래한 옛 경영진이 복귀함에 따라 비판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아시아나항공 노동조합과 금호타이어노동조합 등 노조들은 박 회장의 경영복귀에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지회 측은 "경영실패 책임자는 '경영복귀' 하고, 채권단은 MOU체결을 파기하고, 사기꾼(채권단, 경영진)들 놀음판에 돈대주는 꼴이 됐다"며 "2010년 임?단협 조기교섭으로 임금40%삭감, 단협개악, 생산량증가 등으로 워크아웃의 모든 고통은 오로지 현장조합원에게 전가, 조합원만 봉이 됐다"고 반발했다.
앞서 금호타이어노조는 지난 8월 10일 성명서를 통해 "금호타이어는 대우건설 인수로 5000억원의 투자 손실과 해외공장의 무분별한 확장으로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워크아웃에 돌입하게 된 것"이라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총체적 부실의 책임은 그 책임자인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명예회장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경제계 전문가들도 박 회장이 다시 경영에 나서는 것은 재벌가의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 추궁 미진
이와 관련해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상조, 한성대 교수, 이하 경개연)는 "금호그룹 총수일가가 계열사 주식과 자산을 담보로 맡기는 대신 채권단으로부터 경영권 유지를 보장받았다고 하나 부실경영 및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 추궁이 미진한 상황에서 다시 복귀하는 것에 대해 박삼구 회장 본인은 물론 채권단의 도덕적 해이를 강력하게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경개연은 "먼저 총수일가가 출연한 사재가 부실경영의 책임에 상응하는 것이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전제하고, "지난해 12월 30일 산업은행과 금호그룹은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면서 총수일가가 보유하고 있던 계열사 지분 일체를 넘기고 그 처분권을 채권단에 위임하기로 했다"며 "그러나 해당 지분 대부분은 이미 금융기관에 담보로 잡혀있는 것들이었으며 그밖에 집은 사재 출연 대상에서 빠져 있었고, 선산과 임야 등 다른 부동산도 합쳐봐야 5억원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면서 부실 경영에 대한 책임 보다는 경영권 확보에 더 관심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금호타이어-비컨 간의 이면계약 사건에 대한 조사 역시 아직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면서 "금호타이어는 2008년 8월 페이퍼컴퍼니인 비컨과 이면계약을 맺고 금호타이어 홍콩법인을 통해 US $106950000을 대해 당시 2대주주였던 쿠퍼타이어&러버컴퍼니가 보유하고 있던 지분 10.71%를 매입하고, 마치 새로운 투자자가 나타나 지분을 인수한 것처럼 공시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
경개연은 "금호타이어는 2009년 4월 이후, 비컨의 지분인수 자금조달 목적으로 홍콩법인이 발행한 전환사채 상환 등을 위해 US $120000000을 홍콩법인에 대여하면서 그 목적을 '차입금 상환'이 아닌 '시설자금'이라고 허위기재했다"며 "금호타이어는 결국 2009년 말 결산에서 홍콩법인이 비컨에 대여한 US $106950000 중 US $83926000을 대손상각하고 지분법 손실로 반영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경개연은 금융감독원에 공문을 보내 금호타이어의 허위공시, 회계기준 위반, 자사주 취득제한 규정 위반 혐의 등을 조사하고 제재조치 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감독원은 '조사 중' 이라고만 답변하고 있을 뿐 4개월이 지나도록 아무런 결과를 내놓고 있지 않은 상황이이다. 만약 금호타이어의 법령위반이 확인된다면 당시 대표이사였던 박삼구 회장은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게 경개연의 주장이다.
금호그룹 지배주주 일가는 그룹의 재무상황이 악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계열사를 통해 이익을 챙기고 소유지분을 처분하기도 했다.
2005년말부터 총수일가가 100%지분을 보유해온 금호개발상사(주)는 금호타이어(주)에 원재료를 공급하는 회사로 총매출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계열사 매출을 통해 꾸준히 영업이익을 늘려 왔다. 이에 따라 총수일가는 2005년 배당금으로 투자금액을 모두 회수했으며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당기순이익의 90%에 달하는 배당을 받기도 했다. 이후 박삼구 회장 등 총수일가는 2008년 1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금호개발상사(주)의 지분 전부를 금호피앤피화학(주)과 금호알에이시(주)에 넘겼다.
이에 대해 경개연은 "이는 총수일가가 핵심계열사의 사업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회사에 출자한 후 계열사의 몰아주기 거래를 통해 성장시키고 결국은 그 지분을 다시 계열사에 매각하여 이익을 실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특히 금호개발상사(주)의 지분 매각은 그룹 전체의 재무상태가 크게 악화되고 드디어는 채권단 관리에 들어간 상황에서 진행된 것이어서 총수일가의 도덕적 해이는 물론 이를 방치한 채권단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개연 김상조 소장은 박삼구 회장의 경영 복귀에 대해 "부실·불법 경영에 대한 책임이 막중한 박삼구 회장이 슬그머니 다시 경영에 복귀하는 것은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라고 할 수 있다"며 "(박삼구 회장은) '책임경영'을 위해 다시 경영에 복귀한다고 강변했으나 '책임경영'은 이런 경우에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김 소장은 "채권단은 박삼구 회장의 경영복귀를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고 전제하고, "워크아웃도 종료되지 않는 상황에서 회사의 부실경영을 초래했던 장본인에게 다시 경영권을 넘겨준다는 것은 그동안 진행되어온 구조조정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외부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신뢰를 이미 상실한 경영자가 부실기업을 성공적으로 구조조정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박삼구 회장의 복귀는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을 또 다시 소액주주 및 종업원들에게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