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리보세라닙, B형 간염보균 간암 환자에서도 효과 입증
에이치엘비는 B형 간염을 보유한 소라페닙 저항성 간암 환자에 대한 리보세라닙(중국명: 아파티닙)의 임상시험에서 높은 유효성이 입증되었다고 밝혔다.국제학술지(Therapeutic advances in medical oncology) 최신 호에 게재된 관련 논문에 따르면 중국의 광저우에서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리보세라닙 복용 군의 OS(전체생존기간)는 7개월, 대조군(supportive care)의 OS는 4개월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고, 간 이외로 전이가 된 환자에게서도 매우 유효함이 드러났다.간암은 수술이 1차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고, 고주파 열치료술과 같은 국소치료술, 경동맥 화학색전술, 방사선치료, 전신항암요법 등
-
에이치엘비의 이뮤노믹, COVID 백신 개발 key Player로 선정
전세계적으로 코로나가 재확산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마켓 리서치 회사인 ARC(Analytical Research Cognizance)가 14일자 <글로벌 COVID-19 백신 분석 리포트>에서 에이치엘비의 미국 자회사인 이뮤노믹 테라퓨틱스를 Global Key vaccine player 중 하나로 분석했다. 이 리포트에 언급된 회사는 총 36개로, 여기에는 현재 관심을 모으고 있는 옥스포드(Oxford) 대학과 사노피 파스테르(Sanofi Pasteur)/GSK, 얀센(Janssen), 모더나(Moderna) 등이 포함되어 있다. ARC가 리포트에서 언급한 이뮤노믹 테라퓨틱스의 백신 개발에 대해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백신 분야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뮤노믹 테라퓨틱스는 지난
-
에이치엘비파워, 6분기 연속 흑자 기록
에이치엘비파워(대표:김종원·임창윤)가 지난 1분기에 이어 올 2분기에도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에이치엘비파워는 반기 실적공시에 따르면 별도기준 2020년 매출 142억 5139만원과 영업이익19억 2192만원을 기록, 6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6.67%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소폭 개선됐으며, 반기 순이익도 17억 5,055만원으로 2019년 상반기 12억 795만원 대비 44.92% 증가했다. 지난해 사업구조 개편으로 역대 최대규모의 영업이익을 실현한 에이치엘비파워는 올해에도 영업이익이 지속되면서 현금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또한 부채비율이 전기말 기준 67.95%에서 35.58%로 낮아지는
-
에이치엘비, 간암 1차 치료제 글로벌 3상 한국 식약처 IND 승인
에이치엘비는 중국 항서제약(Hengrui Medicine)과 엘레바(Elevar therapeutics)가 함께 진행 중인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병용요법으로 간암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 대한 IND를 한국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간암 1차 치료제 글로벌 임상 3상은 총 5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중국, 미국, 유럽, 대만 등에서 진행 중이고 이번에 한국이 추가됐다. 한국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등 10곳에서 진행될 예정이다.이번 임상시험은 캄렐리주맙과 리보세라닙의 전체 생존 기간(OS),무진행 생존 기간(PFS)을 1차 평가 지표로 하며, 기존의 간암 1차 치료제인
-
엘레바, 미국 태너제약 그룹과 치료목적용 의약품 공급 계약 체결
엘레바가 미국 태너제약 그룹(Tanner Pharma Group)과 시판 승인 전 치료목적으로 아필리아(성분명 파클리탁셀)를 공급하기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태너제약 그룹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샬럿(Charlotte)에 위치해 미국을 비롯해 유럽, 남미 등 전 세계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제약유통 전문기업이다. 태너제약 그룹과의 이번 계약을 통해 엘레바는 아필리아가 미국을 제외한 아직 승인되지 않은 국가의 암 환자들에게 아필리아를 효과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이번 아필리아의 공급계약 체결은 각국의 ‘지정환자 프로그램(named patient program)’ 또는 ‘사전접근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 정책 덕분이다.
-
이뮤노믹, 미국 리플리캣 바이오와 공동개발 협약 체결
에이치엘비가 인수한 미국의 이뮤노믹 테라퓨틱스(Immunomic Therapeutics)가 리플리캣 바이오사이언스(Replicate bioscience)와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이뮤노믹의 면역 백신플랫폼 기술인 UNITE와 리플리캣 바이오의 RNA치료 플랫폼인 SynRGY를 결합하여 COVID-19백신 및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앱스타인 바이러스(EBV) 관련 암 치료백신을 공동개발 한다는 게 이번 계약의 주요 내용이다.리플리캣바이오는 자가복제 RNA(self-replicating RNA)에 대한 플랫폼 기술인 SynRGY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 약물내성이 있는 암에 대해 면역세포를 인지시키는 기술을 활용하여 암과 감염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이
-
이뮤노믹, AACR서 세포암 치료제 동물실험결과 발표
에이치엘비가 인수한 이뮤노믹테라퓨틱스가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0)에서 면역 백신 플랫폼 기술인 UNITE를 활용한 메르켈 세포암(Merkel cell carcinoma) 치료제인 ITI-3000의 동물시험 결과를 발표한다고 12일 밝혔다.메르켈 세포암은 피부암 중 하나로 암세포가 급속히 자라고 전이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많은 경우 머켈세포 폴리오마 바이러스(polyomavirus)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ITI-3000은 메르켈 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폴리오마 바이러스의Large T antigen(LT)를 UNITE 플랫폼의LAMP1(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을 활용하여 만든 항암치료 백신이다.이번 연구결과는 ITI-3000의 마우스 비임상시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6월 5일 9:00)
[로이슈 암호화폐 시황분석팀] 5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닥(743.65p, +1.28p, +0.17%) 상승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인터넷(0.89%), 운송(0.78%)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운송장비·부품(-1.24%), 유통(-0.29%)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563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99개, 359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피씨디렉트(+8.57%), 유비케어(+7.84%)이며, 하락 종목은 에이치엘비(-10.79%),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8.30%) 이다.
-
[로&스탁] 에이치엘비 엘레바, 마크 겔더 박사 영입...글로벌 임상·시판 앞당긴다
에이치엘비와 엘레바가 글로벌 임상시험과 시장출시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글로벌 제약사 출신 마크 겔더 박사를 엘레바의 의학담당(Medical Affairs) 부사장으로 영입했다고 26일 밝혔다.마크 겔더 부사장은 버지니아 의과대학에서 내과와 산부인과를 전공하고, 특히 부인과 암 분야의 임상시험 연구자로 참여하면서 많은 연구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화이자(Pfizer),와이어스(Wyeth), 바이엘(Bayer) 등 글로벌 빅파마에서 의학담당으로 17년간 근무하며 항암제 개발에 참여하고 다양한 제품의 승인과 출시를 주도해왔다.마크 겔더 부사장은 엘레바의 글로벌 임상 조직을 이끌며 리보세라닙과 아필리아의 시장출시, 임상시험 등의 전반적인
-
에이치엘비 투자사 나노젠, 베트남 정부로부터 코로나19 백신 독점 연구개발 기관 선정
넥스트사이언스가 투자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내 유일한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나노젠이 베트남 과학기술부(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로부터 코로나19 백신 개발 관련 독점 연구개발 기관으로 선정 됐다고 21일 밝혔다. 나노젠의 코로나19 백신개발을 위한 비용은 베트남 정부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고, 영장류를 포함한 비임상시험은 베트남 국립위생역학연구소와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나노젠은 1997년 설립한 베트남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 2012년 간염치료제인 페그인터페론(Peg-Interferon)개발에 성공해 베트남 국민들의 간염 보급율을 줄이는데 이바지했다. 또한 현재 우수한 연구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
에이치엘비 진양곤 회장, 글로벌 파마 도약 위한 포부 밝혀
진양곤 에이치엘비 회장이 에이치엘비의 글로벌 파마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19일 밝혔다.진양곤 회장은 이날 오전 온라인으로 공개된 '2020바이오 코리아 인베스트페어' 기업설명회를 통해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4가지 항목인 강력한 신약, 개발능력, 자본, 속도에 대해 에이치엘비의 준비상황을 상세히 전했다.그는 “중국에서 5년째 위암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리보세라닙은 연구논문이 총 481편이 발표돼 수많은 적응증에 대해 탁월한 효능 데이터를 확보한 검증된 신약”이라며 "에이치엘비가 원개발사인 어드벤첸으로부터 글로벌권리를 인수함에 따라 올해 4분기 중국 항서제약으로부터 리보세라닙의 로열티 수입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
[로&스탁]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ASCO서 16건 임상결과 발표
에이치엘비가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의미있는 총 16건의 리보세라닙(중국명 아파티닙) 임상시험 내용이 발표된다고 14일 밝혔다.에이치엘비의 미국 법인인 엘레바는 선양낭성암종(ACC)의 임상시험 2상에 대한 내용을 포스터 발표한다. 재발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종에 대해 리보세라닙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글로벌 임상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이다.지난 3월 첫 환자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병원(UC San Francisco)에서 등록되었고, 한국의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의료원, 국립암센터에서도 환자모집 중이다. 선양낭성암은 희귀암으로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리보세라닙
-
[로&스탁] 에이치엘비 진양곤 회장, 유상증자 전액 참여
진양곤 에이치엘비 회장이 2대주주인 알렉스 김 엘레바 대표, 3대주주인 이현아 씨와 유상증자에 배정된 비율 전액을 참여한다고 12일 밝혔다.에이치엘비는 진양곤 회장이 보유한 에이치엘비 지분 9.12% (394만4595주) 가운데 1.09%(47만주)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블록딜 물량 대부분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수했고, 외국인 물량중 상당부분이 유상증자 초기부터 투자를 원했던 미국계 자산운용사에 배정됐다.주식 매각은 진양곤 회장이 2008년 에이치엘비의 경영을 시작한 이후 12년만에 처음으로 에이치엘비가 진행중인 유상증자에 전액 참여할 목적이다.에이치엘비 관계자는 "이번에 최대주주가 유증에 전액
-
[로&스탁]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국책과제 선정…신약개발 기금 유치
넥스트사이언스 자회사 단디바이오사이언스가 2020년 보건복지부의 국책과제를 수주, 총 20억5000만원(2년 9개월) 규모의 신약개발 기금을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관련 기술(물질)은 지난 3월 국내외 원천 기술 특허를 획득한 상태다.박영민 대표는 “개발 중인 펩타이드 기반의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슈퍼박테리아) 치료제 신약 기술(DD-S052)이 보건복지부의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의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이어 박 대표는 "이번 과제는 3년 내에 해당 다제내성 그람음성균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미국 FDA 신약허가를 위한 IND(임상시험계획승인)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
-
[로&스탁] 에이치엘비, 아필리아 미국 FDA와 pre-NDA 미팅
에이치엘비는 지난 3월 글로벌 판권을 확보한 '아필리아(Apealea)'에 대해 엘레바와 개발사인 오아스미아(Oasmia pharmaceutical AB)가 4월 30일(미국 현지시간) FDA와 난소암 신약허가신청을 위한 사전미팅(pre-NDA meeting)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에이치엘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이번 미팅은 전화로 진행됐으며, FDA와 논의된 내용을 충실히 준비해 NDA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아필리아는 파클리탁셀(paclitaxel)의 3세대 개량 신약으로 오아스미아의 독점 기술 플랫폼인 'XR17'을 사용해 개발된 항암제로, 유럽에선 올해 1월 난소암 치료제로 공식 시판허가를 받은 약물이다.에이치엘비 미국법인인 엘레바의 알렉스 김 대표이사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