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신한은행, 유튜브 콘텐츠 ‘쉽.사.빠. 신한은행’ 론칭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공식 유튜브 채널 ‘FUNhan Bank’에 오리지널 시리즈 ‘쉽.사.빠. 신한은행’을 론칭한다고 22일 밝혔다.‘쉽.사.빠. 신한은행’은 쉽고, 사용 편리하고, 빠른 신한은행의 줄임말로 업무 관련 고객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과 필수 금융상식 등을 은행 직원이 직접 출연해 각 2분 내외의 짧은 영상으로 소개하는 콘텐츠다.각 파트별로 ‘쉽게 이용하는 신한은행’에서는 ▲환전할 때 적용 환율이 다른 이유 ▲예•적금 담보대출 받는 법 등의 은행 이용 관련 콘텐츠를, ‘사용 편리한 신한 쏠(SOL)’에서는 ▲은행 방문 없이 통장 만들기 ▲앱 만으로 ATM에서 현금 찾기 등의 앱 사용 관련 콘텐츠로 구성했다.마지막
-
핀다 “대출관리 받는 2030세대, 연체율 절반에 그쳐”
핀테크 선도 기업 핀다(대표 이혜민·박홍민)가 경제적 압박에 시달린 청년들의 소액대출 신청 건수가 늘어나는 가운데 핀테크 앱을 통해 꼼꼼한 대출관리를 하고 있는 이들이 80%에 육박한다고 26일 밝혔다. 핀다 사용자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급격히 확산된 지난 2월 말부터 10월말까지 2030세대의 500만원 이하 소액 대출금액은 90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체 세대의 증가폭이 50배인 점을 고려하면, 두 배에 가까운 증가세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 실업률이 10%를 돌파한 시점인 지난 6월부터는 그동안 완만했던 대출실행금액 상승곡선이 가팔라졌다. 2030세대 10명 중 8명은 자신의 대출을 관리하며 연체율을
-
[창간기획] 文정부, 23번 부동산대책 발표…시장 평가는 ‘실패’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3년간 ‘집값안정’이라는 숙제를 풀기 위해 총 23번의 부동산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정부의 의지와는 달리 오히려 집값 상승세를 부추기는 도화선이 됐고, 급기야 전세시장으로 옮겨 붙어 전세난을 불러일으켰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이러한 시장혼란을 참다못한 국민들은 ‘집값을 원상회복시켜 달라’는 청원까지 냈다. 정부가 지금껏 내놓은 규제 일변도의 정책에 대해 시장에서는 이미 실패로 결론내린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또다시 24번째 대책을 내놓을 모양새다. ◆ 투기과열지구 확대에 LTV·DTI 강화 등 해볼 것 다해봐현 정부는 지난 2017년 6월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대응방안
-
역대 최저금리 속 6.17규제 피한 수익형부동산, 어떻까?
정부가 아파트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연이어 내놓자 한동안 위축됐던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기대감이 돌고 있다. 아파트의 투자 진입 장벽이 높아진 상황에서 역대 최저 기준금리로 시중의 풍부한 유동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옮겨갈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에 분양한 오피스텔이나 상업시설, 도시형생활주택 등 수익형부동산에 수요자가 크게 몰리며 단기간에 완판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6월 현대건설이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일원에 공급한 ‘힐스테이트 의정부역’ 오피스텔은 계약 당일 100% 완판됐다. 지난 11일 진행한 청약에서 60실 모집에 8702명이 몰려 평균 145.0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바
-
[로&스탁] 헬릭스미스, 본격 미국 후속 임상 앞두고 글로벌 전문가 영입...후속 정비 완료
헬릭스미스가 임상시험에 필요한 핵심 부문들 중 3개 분야를 담당할 전문가를 확정해 임상 조직을 재정비했다고 14일 밝혔다. 헬릭스미스가 영입한 글로벌 전문가는 윌리엄 프랭크(William Frank) 박사로, 템플대학교 의대를 졸업한 내과 전문의이다. 대학에서 소화기내과장 역임 후 스미스 클라인, 산도즈, 시바-가이기, 노바티스, 산타루스, 바이탈 쎄라피즈, 레트로핀 등 유수 제약기업은 물론 바이오텍 업체에서 메디칼 디렉터 혹은 부사장 등으로 임상개발 전반에서 수십년 경력을 쌓은 임상 개발 및 운영 분야 전문가로 알려졌다. 제인 고슬린 (Jane Gorsline)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서 박사를 받고, 브라운대학애서 조교수를 하
-
[신년사]저축은행중앙회 박재식 회장 “규제 완화 위해 노력해야”
저축은행중앙회 박재식 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저축은행에 대한 규제를 전면 재검토해 형평에 맞지 않거나 불합리한 규제에 대해 금융당국에 건의하고 개선해 지속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박재식 회장은 2020년 올 한해 저축은행을 둘러싼 경영환경은 밝지만은 않다"며 "각종 규제도입 영향과 경기침체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고 오픈뱅킹 등 디지털금융 경쟁 가속화로 저축은행의 경쟁력 약화가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과 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저축은행 자영업자 컨설팅 지원 등 사회공헌사업을 확대·추진해 나가고 고객별 맞춤형 광고를 통해 저축은행에 대
-
제2금융권, 내일부터 DSR 도입
내일부터 제2금융권에 'DSR(Debt Service Ratio·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관리지표가 도입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7일부터 제2금융권도 DSR을 적용받는다. 지난해 10월 은행권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한데 이어 제2금융권 역시 본격적으로 대출 규제를 받게 된 것이다.DSR이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전세보증금담보대출, 유가증권담보대출 등 모든 가계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은 정해진 평균 비율에 맞춰 대출을 제한해야 한다. 소득에 비해 빚이 많은 차주의 대출을 줄여 부실을 막고 가계대출 건전성을 높이려는 차원이다.이번 도입에 따라 차등 적용된 평균 DSR비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7일 12: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7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079.79p, +9.01p, +0.44%)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전기,전자 (1.33%), 비금속광물(0.84%)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철강,금속(-0.70%), 종이,목재(-0.43%)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715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440개, 12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DSR(+14.94%), 한솔테크닉스(+13.48%)이며, 하락 종목은 ARIRANG 고배당주채권혼합(-3.58%), DB(-3.56%) 이다.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5월 23일 9: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23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063.25p, -1.61p, -0.08%) 하락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음식료품(0.34%), 비금속광물(0.34%)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통신업(-1.37%), 의료정밀(-0.60%)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38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378개, 256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유니온(+9.68%), 나노메딕스(+9.50%)이며, 하락 종목은 DSR제강(-5.81%), 신원우(-4.93%)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5월 22일 15:30)
[로이슈 심준보 기자] 22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064.86p, -3.79p, -0.18%)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약품(1.00%), 운수장비(0.09%)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의료정밀(-1.42%), 종이,목재(-1.33%)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500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687개, 12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쌍방울(+30.88%), DSR(+29.98%)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유니온머티리얼(-8.57%), 보해양조(-8.28%) 이었다.
-
삼성전자 '2019 환경안전 혁신 Day' 개최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부품관계사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9일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부품연구동(DSR)에서 환경안전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2019 환경안전 혁신Day’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DS부문 주관으로 열린 이날의 행사는 각 사의 대표이사와 사업부장, 제조센터장, 해외 생산법인장, 환경안전부서 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과 임원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기 위한 의지를 다졌다. 참석자들은 ‘혁신적이면서 안전한 사업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강연과 각 사의 환경안전 분야 우수 혁신 사례를 발표하고 전시물을 관람하며 노하우를 공유했다.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2월 20일 9: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20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216.74p, +11.11p, +0.50%) 상승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전기,전자 (1.07%), 비금속광물(0.77%)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은행(-0.36%), 통신업(-0.07%)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551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32개, 252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까뮤이앤씨(+4.89%), 삼아알미늄(+3.64%)이며, 하락 종목은 부광약품(-7.01%), DSR제강(-3.37%) 이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2월 18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18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212.93p, +5.57p, +0.25%)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화학(1.72%), 은행(0.71%)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전기,가스업(-1.19%), 의료정밀(-0.95%)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695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465개, 12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DSR(+17.64%), 유엔젤(+8.26%)이며, 하락 종목은 페이퍼코리아(-6.72%), 성신양회우(-4.92%)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2월 13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13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201.48p, +1.48p, +0.07%)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3.38%), 섬유의복(2.21%)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운수장비(-2.02%), 증권(-1.82%)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687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509개, 105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인팩(+25.03%), 코아스(+17.24%)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DSR(-9.90%), IHQ(-8.80%)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2월 13일 12: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13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197.39p, -2.61p, -0.12%)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섬유의복(1.84%), 화학(0.90%)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증권(-1.94%), 운수장비(-1.23%)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580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573개, 135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인팩(+13.39%), SK증권우(+12.95%)이며, 하락 종목은 DSR(-7.21%), 두산(-7.05%) 이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