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대웅제약, ‘삼페넷’ 런칭 유방암 전문의 심포지엄 개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지난 22일부터 23일 양일간 서울 롯데 시그니엘호텔에서 ‘삼페넷’의 런칭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삼페넷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조기 및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로, 지난해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아 올해 3월 국내에 출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삼페넷의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자리로 삼페넷의 3상 임상 결과를 소개하고유방암 치료법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세션들로 구성됐으며, 전국 유방암 전문의 100여명이 참석했다.대구가톨릭병원 박성환 교수와 원자력병원 노우철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국제성모병원 이학민 교수가 ‘바이오시밀러 (Bi
-
대웅제약, 나보타 제 2 공장 ‘cGMP’ 승인 기념 ‘NABOTA SEOUL 2018’ 심포지엄 개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NABOTA SEOUL 2018’ 심포지엄을 오는 7월 5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NABOTA SEOUL 2018’은 나보타 제 2 공장 cGMP 승인을 기념해 미국으로부터 연자들을 초청하여 미국 보툴리눔 톡신 최신 트렌드 및 나보타의 선진국 임상 결과를 발표하는 등 국내외 학술정보 교류의 장으로 마련된 글로벌 심포지엄이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는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 에볼루스의 최고 메디컬 책임자(CMO) 루이 아벨라(Rui Avelar, MD)가 내한해 미국의 저명한 피부과의사인 크리스틴 로마인(Kristine Romine, MD) 함께 강연에 나선다.닥터 루이 아벨라는 심포지엄에서 나보타의 미국,
-
대웅제약, 나보타공장 EU GMP 승인 획득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의 나보타공장이 지난 5월 미국 FDA의 cGMP, 캐나다 연방보건부(Health Canada)의 GMP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지난 18일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으로부터 EU GMP 승인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대웅제약은 지난해 6월 통합허가절차(Centralized procedure)를 통해 EMA에 나보타 신약허가신청(Marketing Authorization Application)을 제출했고, 7월 허가신청이 접수됐다. 그 후 지난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5일간 경기도 향남에 위치한 나보타 제2공장의 실사를 진행한 바 있다. EMA의 공장실사는 EMA에 소속된 각 국가의 규제기관 중 한 곳에서 실시하게 되는데, 이번 나보타 공장의 실사는 영
-
대웅제약, 연구조직 개편.. "신약개발에 힘싣는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신약개발 가속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지난 5월부터 연구조직 정비에 돌입해 6월초에 조직 개편을 마쳤다고 18일 밝혔다.이번 연구조직 개편은 핵심전략을 기반으로 하나의 연구과제를 분명한 목표로 삼아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기존 기능 중심의 팀 조직을 익스트림 팀 체제로 전환하고, 기존 연구본부장 중심의 조직을 센터장 체제로 변경하여 전문성을 강화한 것이 골자다.이에 따라 대웅제약 연구조직은 신약센터, 바이오센터, 신제품센터와 CTO전략팀, 비임상개발팀의 3센터 2팀 체제로 운영되며, 각 센터 내 익스트림 팀이 신설됐다. 신약센터는 △APA항궤양제 △SGLT2당뇨치료제 △PRS항섬유화제 등 6개의 익스
-
'페이셜 피트니스 파오(PAO)' GS홈쇼핑 론칭
뷰티&헬스 전문 기업 코리아테크(대표 이동열)가 오는 10일 GS홈쇼핑의 최유리 쇼호스트와 함께 싸이(PSY)의 얼굴 근육 운동기구 ‘페이셜 피트니스 파오(PAO)’ 론칭 방송을 진행한다.'이번 파오의 론칭 방송은 쇼호스트 최유리가 메인 진행자로 나선다. 최유리는 2013년부터 6년째 쇼호스트로 맹 활약 중이며, 지난 2016년부터는 GS홈쇼핑에서 ‘뷰티’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용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AHC와 이니스프리, 대웅제약 이지듀 등 GS홈쇼핑의 주력 뷰티 제품을 맡아 소개하며 GS홈쇼핑의 간판 뷰티 전문 쇼호스트로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최유리는 방송 전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소비자에게 진정성 있게 알리는 쇼호스트로 잘 알
-
제약업계 본격 야외 활동 시즌, 아무리 설레도 ‘비상약’ 만큼은 꼭 챙겨야?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며, 야외 활동에 나서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이 그렇듯 설레고 가벼운 마음을 안고 집 밖으로 나서지만, 야외 활동인 만큼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비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특히, 야외 관광지는 필요한 비상약을 쉽게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족과의 즐거운 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기본적으로 벌레물림, 상처, 소화불량 관련 비상약품 정도는 꼭 챙기는 것이 좋다.산행이나 풀숲이 우거진 곳으로 야외 활동을 떠난다면 벌레물림을 방지하기 위한 모기 기피제 혹은 벌레물림 치료제가 필수다. 모기나 진드기 등은 심각할 경우 일본 뇌염을 비롯해
-
대웅제약, 메퀴타진 복합 비염치료제 ‘코메키나’ 출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4일 국내 일반의약품 최초로 메퀴타진 성분의 복합 비염치료제 ‘코메키나’를 출시했다고 밝혔다.‘코메키나’는 항히스타민제인 메퀴타진과 코막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슈도에페드린, 콧물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벨라돈나, 항염 • 항알러지의 효과가 있는 글리시리진산, 그리고 무수카페인을 결합한 복합제다.코메키나는 기존 항히스타민 복합제에 주로 사용되던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등의 항히스타민 성분 대비 졸음 부작용이 덜한 메퀴타진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동시에 무수카페인을 추가하여 비염치료제의 졸음 유발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슈도에페드린, 벨라돈나, 글리시리진산을 함
-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 임상결과 발표...전체 생존율은 'SB3' 100.0%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고한승 사장)가 유방암 치료제 SB3(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트라스투주맙, 유럽名: 온트루잔트, 한국名: 삼페넷)의 투약 완료 후 1년 추적 임상결과를 공개 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에 발표된 임상결과는 기존 임상시험1)이후 5년간 진행되는 추적 임상시험 중 최초 1년의 결과로서, 6월 1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18 미국 임상 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의 홈페이지2)를 통해 공개됐다.삼성바이오에피스는 SB3와 허셉틴 투약 완료 환자 367명을 대상으로 6개월 마다 추적 검사를 실시했고, 추적 관찰 기간의 평균은 SB3는 30.1개월, 허셉틴은 30.2개
-
대웅제약 나보타, 美 FDA 제조처 cGMP 및 Health Canada GMP 승인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지난 1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보툴리눔톡신 제재 나보타 제조 시설에 대한 승인을 명시한 실태조사보고서(Establishment Inspection Report, EIR)를 받았다. 또한, 24일에는 캐나다 연방보건부 (Health Canada) 로부터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인 GMP 인증을 받으며 본격 선진국 진출을 기대하게 됐다고 29일 밝혔다. ◇ cGMP 획득, 단순한 허가 아닌 세계 최고 수준의 시설과 관리기준 인정대웅제약은 미국 FDA의 제조처 승인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자체 공장이 cGMP 획득을 받은 것도 창립이래 최초의 일인데다, 실사 당시 관찰사항이 나열된 Form 483 이슈를 이번 cGMP인증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해결하
-
대웅제약, '나보타공장 캐나다' GMP 승인 획득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의 나보타공장이 지난 15일 미국 FDA의 cGMP 승인을 획득한 데 이어, 18일 캐나다 연방보건부(Health Canada)의 GMP 승인을 획득 했다고 24일 밝혔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자체개발 보툴리눔톡신 나보타의 캐나다 허가신청 절차와 관련해 지난 5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진행된 캐나다 연방보건부의 공장실사 결과, 18일 GMP 적합판정(C: Compliant)을 받았다고 전했다. 대웅제약의 나보타 품목허가신청은 지난해 7월 캐나다 연방보건부에 NDS(New Drug Submission)를 제출한 후, 10월 허가신청을 접수완료(Filing acceptance) 하면서 현재 본격적인 품목허가 심사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캐나다 GMP 승인은 캐나다 허가를
-
대웅제약, '삼성 글로벌 인베스터즈 컨퍼런스'서 미래 성장동력 알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지난 1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제 15회 삼성 글로벌 인베스터즈 컨퍼런스 2018'에서 회사소개 및 신약 파이프라인 등 미래 신 성장동력을 알리는 자리를 가졌다고 18일 밝혔다. ‘삼성 글로벌 인베스터즈 컨퍼런스’는 국내외 기관투자가 500여명을 비롯해 90여개 각 산업 대표 기업이 참가한 IR 컨퍼런스로 대웅제약은 전세계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전승호 사장이 CEO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박성수 나보타사업본부장, 유종상 바이오센터장, 박준석 신약센터장이 패널로 참가했다. 직접 프리젠테이션을 한 전승호 사장은 ‘Daewoong's strategic Dynamics and its Midway’를 주제로 약 1시간동안 회사를 소개하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약업 ISO 37001 1차 기업군 6월 이내 인증 완료 전망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국내 제약기업의 윤리경영 수준을 세계표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취지로 지난해 도입을 결정한 ISO 37001 인증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대웅제약, 대원제약, 동아ST, 유한양행, 일동제약, 코오롱제약, GC녹십자, JW중외제약 등 9개사로 구성된 ISO 37001 도입·인증 1차 기업군이 6월 이내 인증을 완료할 전망이다. 지난 2017년 10월 ISO 37001을 도입하기로 결정한 지 7개월만에 한미약품과 유한양행, 코오롱제약 등 3개 제약사가 인증을 취득했다. 여기에 GC녹십자가 1차, 2차 심사를 완료해 이달중으로 ISO 37001을 획득할 예정이며, 1차 기업군 가운데 나머지 5곳
-
대웅제약, 나보타 제조처 美 FDA cGMP 승인 획득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나보타(Prabotulinumtoxin A, DWP-450) 제조 시설에 대한 승인을 명시한 실태조사보고서(Establishment Inspection Report, EIR)를 받았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은 자체개발한 보톨리눔톡신 나보타의 미국 FDA 허가를 위한 본궤도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미국 FDA는 지난 2017년 5월 대웅제약이 제출한 나보타의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Biologics License Application)’에 대한 심사 절차로 지난 11월 8일부터 17일까지 약 열흘간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나보타 공장을 방문하여 미국 FDA에 제출한 허가서류를 기반으로 제조시설, 품질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실사를 진행했다.실사 이후
-
대웅제약, 미용안티에이징학회 ‘AMWC asia’ 참가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지난 5일과 6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개최된 제 1회 ‘AMWC asia(세계미용안티에이징학회 아시아)’에서 보툴리눔톡신 나보타의 우수성과 임상연구 결과를 아시아 미용성형의사들에게 소개했다고 15일 밝혔다. AMWC asia는 아시아 지역에서 처음 개최되는 세계미용안티에이징학회의 학술 행사로, 60여개 기업과 약 1,500여명의 아시아 미용성형 닥터 및 관련업계 종사자가 참석해 미용 안티에이징 관련 제품과 미용성형분야 최신 지식 및 견해를 공유하는 자리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행사에서 나보타의 대만 파트너사인 OEP(Orient Euro Pharma)社와 공동부스 전시를 진행하며 필리핀의 아시안 스템셀 인스티튜트 원장인
-
현대약품, K-Pharma Fair에서 HD-6277의 개발 현황 및 파이프라인 발표
현대약품이 지난 10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8 바이오코리아의 부대행사인 K-Pharma Fair에 참가해 자체 개발중인 경구용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HD-6277의 개발 현황을 11일 밝혔다.이번에 열린 K-Pharma Fair는 국내 제약 산업의 우수성 및 공신력 있는 해외 인허가 기관에서 허가를 취득해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있는 제약사 4곳의 파이프라인과 기업을 소개하는 자리로, 현대약품과 아이큐어, 제넥신, 대웅제약이 참가했다.이 날, 현대약품은 HD-6277을 비롯해 복약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서방형 제재로 개발하고 있는 설포라제 CR, 레보투스 CR정에 대해 발표했다.현대약품은 당뇨병이 2040년까지 유병율 6억 이상의 수준으로 지속적인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