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월 21일 15:30)
[로이슈 암호화폐 시황분석팀] 21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239.69p, -20.12p, -0.89%)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종이,목재(1.52%), 통신업(0.14%)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의료정밀(-2.00%), 운수,창고업(-1.82%)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334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873개, 99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깨끗한나라우(+30.14%), 깨끗한나라(+29.31%)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한올바이오파마(-25.81%), 백광소재(-10.91%)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월 21일 12:00)
[로이슈 암호화폐 시황분석팀] 21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247.86p, -11.95p, -0.53%)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종이,목재(0.43%), 건설업(0.09%)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운수,창고업(-1.63%), 의료정밀(-1.5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32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30개, 12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신풍제약우(+20.77%), KCC(+20.73%)이며, 하락 종목은 한올바이오파마(-11.50%), 백광소재(-7.21%) 이다.
-
대웅제약, 오픈콜라보레이션 통한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로드맵 제시
대웅제약이 2020년 가시화되는 R&D 성과를 공개해 전세계 헬스케어 산업 관계자들의 관심이 주목됐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15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전승호 대표가 글로벌 사업전략과 신약 개발 현황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올해 대웅제약의 R&D 성과로 가장 눈에 띄는 ‘펙수프라잔(Fexuprazan)’의 글로벌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펙수프라잔은 지난 해 국내 임상 3상 시험이 완료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가 신청된 상태로, 올해 그 성과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2020년에는 미국과 중국에서 임상시험에 진입하고, 향후 약 40조원의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2월 20일 9:00)
[로이슈 암호화폐 시황분석팀] 20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205.57p, +9.01p, +0.41%) 상승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섬유의복(0.91%), 화학(0.60%)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보험업(-0.38%)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510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38개, 245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주연테크(+7.37%), 성안(+5.34%)이며, 하락 종목은 한올바이오파마(-5.98%), DB하이텍1우(-4.09%)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7일 15:30)
[로이슈 지미옥 기자] 7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021.73p, -9.80p, -0.48%)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약품(1.76%), 음식료품(0.33%)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비금속광물(-2.52%), 기계(-2.39%)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426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770개, 10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이연제약(+27.34%), 한올바이오파마(+11.33%)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대양금속(-10.27%), 화천기계(-9.70%) 이었다.
-
SK증권 “한올바이오파마, 자가면역·안구건조증치료제로 마일스톤 유입이 실적 견인”
SK증권은 한올바이오파마(009420, 전일 종가 2만5250원)가 자가면역치료제 HL161과 안구건조증치료제 HL036 두 가지 파이프라인을 기대할 수 있다고 31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신규 제시, 목표주가는 4만1000원을 신규 제시했다. SK증권에 따르면 한올바이오파마의 올해 연간실적은 매출액 1084억원(전년 대비 +18.0%), 영업이익 158억원(전년 대비 +189.2%)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실적성장의 주요 원인은 마일스톤 유입으로, 올 1분기에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이 중국 임상 2상에 진입하면서 마일스톤 11억원을 인식해 호실적을 기록했다. HL036의 중국 임상 2상은 3분기 중으로 결과발표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임상 3상이 올
-
대웅제약, 차세대 APA 항궤양제와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 3상 지속 순항 중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의 신약개발이 순항 중이다고 21일 알려왔다. 전승호 대웅제약 사장은 지난 5월 중순 열린, 대웅 R&D 위원회에서 연구본부 박준석센터장으로부터 하반기 예정된 주요 해외학회의 구두 및 포스터 성과발표에 대해 보고받고 지속적인 노력을 당부했다. 대웅 R&D 위원회는 대웅제약의 신약개발 방향성, 향후 계획을 포함한 연구 전반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위해 진행중인 의결체로 지난 2010년부터 대표이사를 비롯한 대웅제약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센터장, 개발본부장이 주축이 되어 매월 1회 진행된다. 나보타의 연구개발 또한 R&D위원회가 거둔 대표적인 성과다. 대웅 R&D위원회에서 논의중인 대웅제약 신약과제 중 가장
-
㈜대웅, 대웅제약 주식 매입 통한 자회사 지분 확대
(주)대웅은 대웅제약의 주식 26,455주(50억원)를 매입한다고 13일 공시했다. 윤재춘 (주)대웅 대표이사는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미국 진출 시작과 함께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의 고른 성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R&D 파이프라인 확대와 임상 결과 도출을 통해 지속성장 가능성을 입증해 나가고 있어 자회사의 주식을 매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 해 1조 클럽에 첫 입성한 이래, 올해 1분기 나보타 수출 등 자사의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고른 매출 증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0.3% 성장한 2,381억원의 매출을 거둔 바 있다. 특히 나보타는 전년 동기 대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3월 21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21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184.88p, +1.77p, +0.08%)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전기,전자 (2.41%), 제조업(0.74%)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섬유의복(-2.01%), 건설업(-1.72%)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417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806개, 72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BYC우(+32.14%), 성신양회2우B(+28.13%)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필룩스(-7.49%), 한올바이오파마(-7.18%) 이었다.
-
대웅제약, 2018년 연간매출 1조 314억원을 기록..."최대 매출 경신"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2018년 연간 매출액(연결 기준) 1조 314억원을 기록하며 자사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개별 기준 연간 실적 결과로는 매출 9,435억원, 영업이익 308억원, 당기순이익 15억원을 기록한 경영실적을 잠정 공시했다. 특히 대웅제약의 2018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8.9%(개별 기준) 증가한 수치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대웅제약은 이와 같은 매출성장이 병원처방약(ETC)와 일반의약품(OTC)의 지속 성장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ETC부문은 전년 6,001억원 대비 12.3% 성장한 6,74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우루사, 나보타, 안플원 등 자체개발 제품의 지속적인 매출과 더불어 도입상품인 제미글로, 릭시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3월 6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6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173.11p, -4.00p, -0.18%)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섬유의복(2.52%), 운수장비(0.84%)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의약품(-0.93%), 전기,전자 (-0.7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459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698개, 11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태경화학(+15.81%), 백광소재(+13.47%)이며, 하락 종목은 한국주강(-4.67%), 한올바이오파마(-4.46%) 이다.
-
제약바이오협, 제2회 ‘KPBMA Bio Open Plaza’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오는 29일 오후 2시 서울 방배동 협회 4층 강당에서 제2회 ‘KPBMA Bio Open Plaza’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9월에 이어 두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제약기업과 바이오벤처 간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약개발 활성화와 건강한 바이오벤처 투자 촉진을 위해 열린다. 이날 발표는 ‘바이오의약품과 방사성의약품의 오픈이노베이션’ (강주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을 시작으로 △바이오텍 이슈Ⅰ-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카스9(이정민 툴젠 연구소장) △바이오텍 이슈 Ⅱ-NK 세포 면역 항암제(강정화 이뮤니스바이오 연구소장)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Ⅰ-네스프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수출(고여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