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에이치엘사이언스, 2분기 사상 최대 잠정실적 기록
에이치엘사이언스(대표이사 이해연)는 2분기 매출 375.03억원, 영업이익 74.29억원, 순이익 61.13억원으로 각각 사상 최대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2018년 2분기) 대비 매출 139.8%, 영업이익 151.2%, 순이익 140.4% 각각 증가한 수치이다. 상기 2분기 실적은 직전분기(2019년 1분기) 대비 매출 53.6%, 영업이익 36.5%, 순이익 33.4% 각각 증가하였다.상반기 잠정실적은 매출 619.26억원, 영업이익 128.74억원, 순이익 106.95억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동기(2018년 상반기) 대비 매출 117.8%, 영업이익 122.6%, 순이익 112.4% 각각 성장한 것이다. 2분기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한 주요 원인은 주력제품인 석류농축액
-
우슬시크릿(HL-Joint100) 본격적인 판매 개시
에이치엘사이언스(대표이사 이해연)는 연골 및 관절 기능성 신제품인 “우슬시크릿(HL-joint100)”을 7월 27일(토) 오전 09:20부터 1시간 동안 홈앤쇼핑 TV홈쇼핑에서 본격적인 판매방송을 진행한다. 지난 6월말 런칭 성공한 우슬시크릿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별인정형원료인 “우슬등 복합물(HL-Joint 100™)”로 만든 첫 공식 신제품이다. “우슬등 복합물(HL -Joint 100™)”은 에이치엘사이언스만의 연골 및 관절건강의 차별화된 우수한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약 7년여의 노력으로 개발되었다.“우슬등 복합물(HL-Joint 100™)”은 동물실험을 통한 기전연구에서 염증활성억제 및 연골건강관련 지표개선을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무릎
-
새싹보리 대장균·쇳가루 논란에 에이치엘사이언스 "우린 안전하다" 자료 배포
새싹보리분말의 대장균·쇳가루 검출 논란이 불자 에이치엘사이언스가 품질관리를 강조하는 보도자료를 배포하면서 자사 제품이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에이치엘사이언스(대표이사 이해연)는 ‘현재 높은 인기 속에 판매되고 있는 “유기농 새싹보리 착즙분말”은 철저한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매우 안전하고 차별화된 제품이다.’고 말했다. “유기농 새싹보리 착즙분말’은 에이치엘사이언스의 엄격한 원료기준과 까다로운 품질관리에 더해 획기적인 기술로 만든 매우 차별화된 유기농 제품으로, 유기공법으로 원물을 재배해서 첨단기술의 착즙과 건조공정을 통해 제조한 제품이다. “유기농 새싹보리 착즙분말’ 원료는 대한민국과 미국
-
지친 직장인을 위한 영양제
4월은 공휴일이 하나도 없는 달이고, 올해는 지난해보다 법정공휴일 수가 적어 아쉽기만 하다. 주말을 제외하고 쉬는 날이 없어 이맘때쯤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는 직장인이 많다. 실제로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2030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직장인 건강관리 현황’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6명 정도가 현재 ‘강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봄이면 찾아오는 ‘춘곤증’과 겹쳐 더욱 피곤함이 느껴지는 직장인의 4월, 건강을 챙기기 위해 가장 편하게 선택하는 방법은 영양제 섭취다. 개인의 식습관, 혹은 현재 몸 상태에 따라 섭취해야 하는 건강기능식품도 달라진다.■ 면역력 강화와 장 건강을 챙기는 ‘프로바이오
-
현대홈쇼핑, 베트남서 1,232만 달러 수출 상담 실적 올려
현대홈쇼핑(사장 강찬석)이 지난달 말 베트남 호치민에서 진행했던 ‘중소기업 제품 해외시장 현지화 조사단’ 프로그램을 통해 1,232만 달러(약 139억원)의 수출 상담 실적을 올렸다고 12일 밝혔다.‘중소기업 제품 해외시장 현지화 조사단’은 중소기업 해외시장 판로개척의 일환으로, 현대홈쇼핑이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함께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현대홈쇼핑은 해외 진출 문턱을 낮추기 위해 지난 태국 프로그램부터 업계에서 유일하게 참여 기업의 왕복항공료와 숙박비를 지원해 오고 있다.이번 호치민 프로그램에는 PN풍년·드림셰프 등 주방업체, 에이피알·다올코스메틱 등 뷰티업체, 비엠인터내셔널·엘더블유 등 생활업체, 보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0월 30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30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닥(623.33p, -6.37p, -1.01%)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일반전기전자(6.25%), 운송장비·부품(5.80%)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방송서비스(-1.44%), 통신방송서비스(-0.47%)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1121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119개, 1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팍스넷(+39.09%), 바이오로그디바이스(+38.57%)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에이치엘사이언스(-17.50%), HB테크놀러지(-15.82%)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0월 30일 12:00)
[로이슈 한정아 기자] 30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닥(623.33p, -6.37p, -1.01%)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1.85%), 반도체(1.68%)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컴퓨터서비스(-1.67%), 디지털컨텐츠(-1.65%)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952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69개, 34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파인테크닉스(+30.20%), 상지카일룸(+29.41%)이며, 하락 종목은 에이치엘사이언스(-21.15%), 한송네오텍(-13.47%) 이다.
-
연말 술자리 지킴이는 누구?…'간 건강식품 vs 숙취해소제' 격돌
연말을 앞두고, 간 건강식품과 숙취해소제 시장이 격돌하고 있다. 송년회 등 특히 잦아지는 술자리로 인해 연말 시즌 직장인들 중심으로 간 건강 관리에 대한 니즈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수에 발맞춰 소비자들을 잡기 위한 두 업계의 연말 맞이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간 건강식품 시장은 ‘밀크씨슬 추출물’이 간 건강를 넘어서,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시장 전체의 대세 원료로 부상하면서 활력을 띄고 있다. 한편, 간 건강 관리 시장의 또 다른 축인 숙취해소제 시장 또한 기존 마시는 형태에서 탈피, 환∙분말∙젤리 등 이색 제형의 제품들을 잇따라 선보이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간 건강식품의 대명사인 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