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셀리버리, 코로나19 영장류 효능시험서 폐조직 면역폭풍 억제증거 확보
㈜셀리버리가 개발중인 '내재면역제어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가 코로나19 바이러스 (SARS-CoV-2) 감염 영장류모델에서, 피 혈장 (plasma) 뿐만 아니라 폐 기관지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에서 촉발되는 싸이토카인스톰 (면역폭풍) 까지도 억제한다는 결과를 서던리서치社 (Southern Reasearch, 알라바마주, 미국)로 부터 수령했으며, “본 분석보고서는 원숭이 2차효능평가시험 중 마지막 분석데이터이고, 최종 시험종료보고서를 수령하는 즉시 글로벌 임상대행社 코방스 (COVANCE, 프린스턴, 뉴저지, 미국) 측에 전달하여 미국에서의 임상시험계획 파일링 (FDA IND Filing)이 될것” 이라고 밝혔다. 셀리버리 코로나19 치료
-
셀리버리, 영장류 추가시험 필요없이 코로나19 치료제 미국 임상진입
(주)셀리버리는 '내재면역제어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의 미국 FDA 임상시험 진입을 위해 계약한 글로벌 임상대행社 코방스 (COVANCE, 프린스턴, 뉴저지, 미국) 측으로부터 서던리서치 (Southern Research, 버밍햄, 알라바마주, 미국) 에서 진행중인 코로나19 영장류 치료효능 평가시험을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미연방식품의약국 (FDA)을 설득하기에 충분하다는 평가결과를 공식 전달 받았다고 밝혔다.코방스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비임상과 임상시험을 모두 진행할 수 있는 글로벌 임상시험 수탁기관으로, 셀리버리가 최단기간 내에 미국 FDA 에서 임상에 진입하기 위하여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의 프리-임상시험 종합전략자문부터 FDA에
-
셀리버리, 다케다로부터 선천적 유전질환 치료효능 평가시험 긍정적 통보 수령
㈜셀리버리는, 세계10위권 글로벌 제약사 다케다 (TAKEDA)와 공동으로 개발한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 (Friedreich Ataxia: FRDA) 치료신약의 최종 치료효능 평가시험이 현재 긍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중간보고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셀리버리 TSDT 플랫폼기술이 적용되어 개발된 세포/조직투과성 프라탁신 단백질 (CP-FXN) 치료신약은 셀리버리 내부실험에서, 선전적 프라탁신 단백질 결핍으로 인해 심장이 비대해지고, 심장근육이 탄력을 잃어, 피를 제대로 뿜어 내지 못하는 형질전환 동물모델에서 생명연장 치료효능이 확인된 바 있다. 이 유전병은 일반 정상인의 10 ~ 15% 수준의 생존기간을 나타내어, 결국 청소년기를 넘기지 못하는 치명
-
셀리버리,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 돌아가는데 3년 소요”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KSBMB)가 'COVID-19 예방과 치료의 과학적 기초와 임상적 전망'을 주제로 9월 16일 (수)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하고 9월 22일 (화) KSBMB 국제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코로나19 토론회’ 에서 미국 출장 중인 셀리버리의 조대웅 대표는 온라인 화상회의로 참석하여, '내제면역 제어에 의한 코로나19 치료 (COVID-19 Therapy By Regulating Innate Immunity) ' 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대하여, 셀리버리는 현재 미국에서 개발 중인 「내제면역 제어 면역염증치료제 iCP-NI」가 코로나19 바이러스 (SARS-CoV-2)의 영장류 감염으로 촉발되는 싸이토카인폭풍 (cytokine-storm) 및 주요 장기
-
셀리버리, 코로나19 치명률 핵심 싸이토카인폭풍 억제능력 영장류시험에서 최초 입증성공
㈜셀리버리가 미국에서 개발중인 '내재면역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가 코로나19 감염 영장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SARS-CoV-2) 감염으로 촉발되는 싸이토카인폭풍 (cytokine-storm) 억제 효능이 있음을 증명한 시험보고서를 미국 알라바마주 버밍햄에 위치한 서던리서치社로부터 수령했다고 15일 밝혔다. 서던리서치측은 코로나19를 감염시킨지 24시간이 지난 영장류에 면역치료신약 iCP-NI를 단 1회 투여함으로써, 주요 염증성 싸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이 폭풍과 같은 수준으로 분비되어 내재면역 세포군과 폐 기관지를 포함한 주요장기를 무차별 공격하는 싸이토카인 폭풍을 제어할 수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
-
셀리버리, 파킨슨병 치료신약의 알츠하이머병 치료효능 발견 및 치매치료제로서 대량생산 계약체결
(주)셀리버리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신약인 iCP-Parkin의 빠른 임상개발 진입을 위해 우수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cGMP)에 부합하는 재조합단백질 제제 전문위탁생산기관 (cGMP CMO)인 KBI 바이오파마 (KBI Biopharma, 더햄, 노스 캐롤라이나, 미국)와 비임상/임상시료 대량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9월 4일 밝혔다.셀리버리의 파킨슨병 (PD) 치료신약인 iCP-Parkin은 파킨슨병에서 운동능력 (motor function)을 발병 이전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치료효과 (Top 1% SCI급 저널 Science Advances 5월 발표)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파킨슨병에서 유래되는 인지능력 (cognitive function) 상실 회복효능 (95%)과, 또 다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
-
셀리버리,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들에게 면역치료제 반드시 투여해야”
㈜셀리버리가 미국 전문위탁연구기관 (CRO)인 써던리서치 (Southern Research, 버밍햄, 알라바마주)에서 진행중인 내재면역 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의 효능평가시험의 조직병리학적 분석결과 (폐 조직 사진)를 공개했다. 이번 결과는, 앞서 써던리서치社에서 결과보고서 제출 후, 실제 폐 조직 병변 데이터를 전달받은 것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화순전남대병원장 및 대한혈액학회 이사장을 역임한 김형준 전남대 의대교수 (혈액종양내과)는 “코로나19 감염 영장류의 폐 조직에서는 출혈 (hemorrhage)이 관찰되었고, 콜라겐 생성으로 인한 비가역적 폐 손상인 폐 섬유화 (fibroplasia)가 발견되었으나, iCP-NI를 투
-
셀리버리, 선천적 유전질환 - 비대성 심근증 치료신약 다케다에 최종 물질이전
㈜셀리버리는 다케다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 (Friedreich Ataxia: FRDA) 치료 신약후보물질 개발' 프로젝트의 최종 마일스톤 3단계인 비대성 심근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질환동물모델에서의 치료효능 평가를 위해 셀리버리가 개발한 세포/조직투과성 FXN 단백질 (CP-FXN)을 물질이전계약 (MTA)에 의거 다케다 쇼난 연구소에 최종 전달했다고 31일 밝혔다. 에너지 합성에 관여하는 FXN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에 결핍되면 운동실조증 (Ataxia)이 발병하고 심장 근육세포에 부족하면 비대성 심근증을 일으켜 조기 사망 (평균 수명의 ~15%)에 이르게 하는 무서운 선천적 유전병이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이다. 이에 세
-
셀리버리, 내재면역 제어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 독성시험에서 안전성 입증
㈜셀리버리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중인 「내재면역 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면역치료제 iCP-NI」의 안전성 평가시험결과의 중간보고서를 수령하였다고 밝혔다. 사람에게 투여하는 효력농도 이상의 고농도를 소동물 (랫드)에 반복투여 하였는데, 조직병리 분석결과 어떠한 독성의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해당 독성평가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전문시험위탁기관 (CRO)인 미국 코방스 (Covance, 서머셋, 뉴저지주) 에서 진행한 것으로, 지난 5월 계약 이후 첫 중간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독성시험을 주관한 코방스 측 시험책임자 (Study Director) 미셸 트로이 박사 (Michelle Troy, Ph.D)는 “저농도 부터 고농도의 iCP-NI를
-
셀리버리, 골형성촉진제 바이오베터 CP-BMP2 미국, 유럽 특허 등록 성공
㈜셀리버리는 바이오베터 (Bio-Better) 세포투과성 골형성촉진제 CP-BMP2 (Cell-Permeable BMP2)가 유럽 특허상표청 (EPO) 에서 골재생 효능과 안정성에 대해 신규성 및 진보성이 인정되어 유럽연합 (EU) 특허 등록이 완료 되었다고 8월 18일 거래소 공시를 통해 밝혔다. BMP2는 뼈조직을 만드는 세포 (osteoblast)에 뼈를 구성하는 단백질 및 무기질 생산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켜 재생을 유도하는 성장인자 (growth factor) 로서, 이미 FDA의 승인을 받아 골형성 촉진제로 개발된 재조합단백질이다. 그동안 사용되던 기존 BMP2 단백질 제재들은 BMP2 자체의 짧은 반감기로 인해 체내 안정성 (stability)이 낮기 때문에, 뼈가 부
-
셀리버리, 먹는 고도비만/제2형당뇨병 캡슐신약 개발 본격 진입
(주)셀리버리는 먹는 고도비만 치료신약 (cell-permeable SOCS3 69-96 peptide: CP-SP)을 개발하기 위해, 글로벌 캡슐전문 위탁생산기관 (CMO)인 미국 캐탈런트 (Catalent, 소머셋, 뉴저지주)社 와 CP-SP의 캡슐化 생산을 프랑스 빈하임 (Beinheim) 사이트에서 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고도비만 환자들은 체내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 (leptin) 농도가 높지만, 이에 반응할 수 있는 생리적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 즉, ‘렙틴 저항성’ (leptin resistance) 때문에 과식, 폭식을 하게 된다. 이러한, 렙틴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혈뇌장벽 (BBB)을 투과하여 뇌 시상하부 (hypothalamus) 부위의 뇌세포 내의 렙틴 수용체 (leptin rece
-
셀리버리, 코로나19 치료제 iCP-NI의 임상개발 위한 컨퍼런스 개최
㈜셀리버리가 서울소재 상급 대학종합병원과 함께 코로나19 치료제 iCP-NI의 임상개발을 위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컨퍼런스에는 코로나19 환자를 직접 치료하고 있는 감염면역내과, 호흡기내과, 임상약리학과의 임상의사들과 대학병원장을 역임한 백혈병 및 혈액염증 전문 의대교수 등 코로나19 전문의들이 참석했다. 코로나19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감염면역내과 전문의는 “코로나19 초기 클로로퀸 등 많은 약제를 사용하였으나, 유효한 결과를 보인 것은 없었다. 몇몇 항바이러스제제가 권고에 따라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것도 없다. 따라서, 직접적인 치료 효능을 보일 수 있는 확실한 코로나19 치료제가 필요하다
-
[로&스탁] 셀리버리, 미국 암학회에서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 세계 최초 보고
㈜셀리버리가 한국시간, 7월 21일 미국 암학회 (AACR) 주관 「코로나19와 암 (COVID-19 & CANCER)」 특별 컨퍼런스에서 「내재면역 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를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이번 코로나19와 암 컨퍼런스에는 미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 NIAID) 앤서니 파우치 (Anthony Fauci) 소장이 기조연설자로 참여하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일반 감기 그 이상』 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등, 현재 전세계적인 판데믹인 코로나19 관련 최신 치료제와 백신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이번 학회는 얀센 (미국, 글로벌 1위 존슨앤존슨의 신약부분자회사),
-
[로&스탁] 셀리버리,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 영장류 시험에서 바이러스 양 감소 확인
셀리버리가 미국 전문위탁연구기관 (CRO)인 써던리서치社에서 「내재면역 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로 개발 중인 iCP-NI의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 감염 영장류 치료효능 평가시험에서 바이러스 숫자가 최대 99.8% 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셀리버리 조대웅 대표는 “바이러스 숫자 또는 양이 많다고 코로나19 증상이 중증이 되고 적다고 경증 또는 무증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적은 수의 바이러스로도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교란시켜 중증패혈증 즉, 싸이토카인폭풍을 초래할 수 있고, 이것이 우리 몸 곳곳을 공격하여 돌이킬 수 없는 비가역적 염증성 세포, 조직 파괴를 불러오면 중증을 넘어 생명을 잃을 수도
-
[로&스탁] 다케다, 셀리버리와 공동개발 운동실조증 신약물질 뇌, 심장 전송 (Delivery) 입증 성공
㈜셀리버리는 글로벌 10위권의 다국적 제약사인 다케다와의 '뇌신경질환 치료 신약후보물질 개발' 프로젝트의 마지막 마일스톤 3단계에서 운동실조증 (ataxia) 및 비대성 심근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치료효능 평가에 있어서 최대 관심사였던 약동학/약력학 (PK/PD) 분석결과를 다케다 측으로부터 전달 받았다고 밝혔다. 제3의 위탁연구기관 (CRO) 에서 객관적으로 진행된 약력학 (PD) 효능평가 결과, 심장의 생물학적 활성도가 단 1회 투여만으로 20%나 상승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약동학 (PK) 결과 심장뿐만 아니라 뇌조직 깊숙한 대뇌피질까지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에 의해 뇌기능을 정상화 시키고, 심장기능을 되살릴 수 있는 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