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한빛소프트, '오디션 IP' 13억 인도 시장 진출
한빛소프트는 아시아소프트 자회사인 CIB Net Station Sdn. Bhd(이하 CIB)를 통해 클럽오디션을 인도 시장에 선보이기로 계약 체결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오디션' IP로 인도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식 출시 목표시점은 올해 4분기다.아시아소프트는 한빛소프트의 오랜 파트너사로서, 현재 클럽오디션의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서비스 및 PC 온라인 오디션의 태국 서비스를 맡고 있다.한빛소프트는 CIB와 긴밀히 협업해 현지 맞춤형 음악, 의상, 댄스모션 등 특화 콘텐츠로 인도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계획이다.인도는 중국에 이어 차세대 게임 시장으로 급 부상 중이다. 인도 13억 인구 중 게임 이용자
-
DL이앤씨, 말레이시아 라텍스 공장 1500억원대 수주
DL이앤씨가 해외에서 연이은 수주 소식을 전했다. DL이앤씨는 말레이시아에서 약 1500억원대 규모의 NBL(Nitrile Butadiene Rubber Latex) 공장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지난 12일 러시아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에 이은 해외 수주로, DL이앤씨는 2주 만에 약 5000억 규모의 해외 플랜트 따냈다.이번 사업은 LG화학과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케미칼그룹의 합작법인인 LG PETRONAS Chemicals Malaysia Sdn. Bhd.가 발주하는 첫 프로젝트다. NBL은 부타디엔을 주원료로 하는 합성고무 소재로 의료용 장갑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우수한 착용감과 내구성 등을 갖추고 있어 의료, 산업, 조리 등 사용 분야가 점점
-
아토리서치, 영우디지탈과 단일 총판 계약 체결
아토리서치(대표 정재웅)가 종합 IT 솔루션 전문기업 영우디지탈(대표 정인욱, 이호준, 김범수)과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총판 계약은 서울 서초구 아토리서치 본사에서 16일 진행됐다. 현장에는 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사진 왼쪽 다섯 번째)와 영우디지탈 이호준 대표(사진 오른쪽 다섯 번째) 등이 참석했다.아토리서치는 AI, 클라우드,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등을 제공 중인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 전문기업이다. 정부에서 선정한 ‘DNA 혁신기업’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선정됐다. 영우디지탈은 종합 IT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글로벌 IT 벤더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영우디지탈 이호준
-
동서발전, 최첨단 지능형 클라우드 통합 데이터센터 조성
한국동서발전이 재난·재해 상황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ICT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능형 클라우드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섰다.동서발전은 올해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DDC)’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조성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회사가 보유한 ICT 전체 자원을 유연하게 구성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재난·재해 등 비상 상황에도 업무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해 국가 기반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된다.SDDC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데이터센터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소프트웨어 기반의 가상화 기술로 구성해 지능화된 방식으로 ICT 인프라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사
-
LG U+, 컨테이너 기반 코어장비로 5G SA 준비 완료
LG유플러스는 컨테이너 기반 5G 코어 장비(이동교환기ㆍ패킷교환기)의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컨테이너란 어디서나 실행 가능한 소형의 독립 운영체제를 말한다. 기타 IT 장비와 마찬가지로 통신 인프라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미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IT 업계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이미 컨테이너의 개념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최근 스마트 팩토리, 가상/증강현실(AR/VR), 클라우드 게임,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5G 네트워크의 서비스 민첩성, 확장성, 자원 효율성, 안정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
증권플러스, 10월 한 달 주식 급상승 테마 발표
증권플러스를 운영 중인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10월 한 달간 모바일 주식 투자자들의 인기를 얻은 분야별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태양광 △해운 △벤처캐피탈(VC) 테마 등이 상위 랭크를 차지했다고 4일 발표했다. 10월 상승률 1위 테마는 16.32%로 가장 많이 오른 태양광 관련주가 차지했다. 친환경 에너지 확대 트렌드에 맞춰 태양광·풍력을 포함해 2조 달러 규모의 친환경 인프라 투자 계획을 공약으로 발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후보의 지지율 상승으로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자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SDN,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등이 수혜 기대감에 상승했다.2위는 7.12% 오른 해운 테마가 차지했다. 글로벌 컨테이너
-
KT, 4대 융합 AI 엔진으로 산업 AI 시장 공략 나선다
KT가 4대 ‘융합 AI 엔진’을 공개하며 이를 바탕으로 통신∙제조∙교통∙물류 등 산업용 AI 시장을 공략 하겠다고 14일 밝혔다. KT의 4대 AI엔진은 ‘네트워크 AI’, ‘기가트윈(Giga Twin)’, ‘로보오퍼레이터(Robo-Operator)’, ‘머신닥터(Machine Doctor)’다. KT는 AI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B2C(Business to Customer)’ 서비스 중심에서 기업이 기업에게 솔루션을 제공하는 ‘B2B(Business to Business)’ 시장으로 확산되면서 비즈니스적인 기회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보 기술 서비스 및 컨설팅 회사 Atos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들은 2021년 AI와 인지 자동화 시스템(Cognitive Sy
-
에치에프알, 말레이시아 KUB Telekomunikasi에 21억원 투자
㈜에치에프알(230240, 대표이사 정종민)은 말레이시아 및 동남아 통신시장 진출을 위해KUB Telekomunikasi Snd. Bhd.(이하, KUBTel)에 7,200천MYR(한화 약 21억원)을 투자하고 지분율 40%를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KUBTel은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Bursa Malaysia)에 상장한 KUB Malaysia Bhd.의 자회사인 KUB Ekuiti Sdn. Bhd.가 100% 소유하고 있는 회사로 1991년 설립되었으며, 전자부품과 전자통신장비 도매유통사업은 말레이시아의 대표 유무선사업자인 TM(Telekom Malaysia)이 주요 고객사이며, 설치 및 유지보수 용역사업은 글로벌 벤더인 Nokia, ZTE, Huawei 등이 주요 고객사이다.에치에프알은 자사 제품 및 솔루션인 Broadband Access,
-
우리넷, 과기정통부 차세대 광통신시스템 연구개발 주관기관 선정
㈜우리넷(115440)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16 Tbps급 패킷 광 전달망(POTN)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에 개발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본 과제의 규모는 기업 부담금을 포함해 총 80억 원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코위버 등 국내 연관기업과 협업하여 2022년 12월 완료를 목표로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우리넷은 16 Tbps급 POTN 상용화를 추진하여 초연결 지능화 유선 네트워크와 전국 규모의 백본 네트워크 고도화 사업,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구축, 공공망 고도화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 R&D 정책을 실현하고, 민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미래 선도형 핵심 원천기술
-
노키아∙LG유플러스, 5G 완전자동 IP전송 네트워크 구축
노키아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사업자 가운데 하나인 LG유플러스와 5G 서비스용 IP 전송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키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LG유플러스가 새로운 5G 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선보이는 것은 물론, 5G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더 빠른 속도와 최고의 품질과 안정성 및 보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자동화(Software-defined networking automation)는 5G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으로, LG유플러스는 이번 솔루션 구축을 통해 일반 가입자와 기업 고객 모두에게 한단계 진화한 5G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대규모로 신속하게 제
-
필로시스헬스케어, 코로나19 진단키트 ‘Gmate COVID-19’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공급
필로시스헬스케어는 이탈리아, 스위스, 이집트, 말레이시아에 코로나19 진단키트인 ‘Gmate COVID-19’를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Biogenic S.A(스위스, 이탈리아 건), A&B Health Supplies SDN. BHD(말레이시아 건), MED CARE EGYPT(이집트 건)와 각각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최소주문금액 기준으로 3년 총액 115억 원이다.이번 계약을 포함한 필로시스헬스케어의 Gmate COVID-19의 공급계약 누적 금액은 181억으로, 지난 13일 Gmate COVID-19 출시 이후 가파른 추세로 공급 규모를 늘려가고 있다.회사 측에 따르면, 획득한 CE-IVD 인증을 통해,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 내 국가들에서 간단한 등록절차 후 판매가 가능하다. 해외업
-
한국남동발전·SDN, 불가리아 42MW 태양광 리프라이싱 성사
한국남동발전은 국내 태양광전문기업인 SDN과 공동투자로 추진하고 있는 불가리아 42MW 태양광사업의 파이낸싱 조건개선 계약(Repricing)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한국남동발전에 따르면 현지시각 29일 불가리아에서 배영진 한국남동발전 신사업본부장, 한준규 SDN 전무, 대주단의 유니크레딧 불뱅크(UniCredit Bulbank), 익스프레스 뱅크(Express Bank), 디에스케이 뱅크(DSK Bank)의 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리프라이싱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남동발전과 SDN은 이번 리프라이싱 계약으로 이자율 0.5%p를 인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를 통해 올해 1백억원 이상의 배당을 기대하는 등 향후 6년내 투자금의 조기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29일 15:30)
[로이슈 심준보 기자] 29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닥(632.93p, -8.79p, -1.37%)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인터넷(0.25%), 디지털컨텐츠(0.24%)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3.63%), 운송장비·부품(-3.01%)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341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887개, 6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KPX생명과학(+27.09%), 소프트센우(+19.01%)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뉴프라이드(-23.90%), SDN(-23.63%)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19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19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닥(669.11p, -0.23p, -0.03%)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일반전기전자(0.85%), 건설(0.17%)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운송장비·부품(-3.17%), KOSDAQ 기술성장기업(-1.44%)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356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69개, 72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파버나인(+31.19%), SDN(+21.33%)이며, 하락 종목은 인트로메딕(-27.81%), 데코앤이(-18.52%)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4일 15:30)
[로이슈 지미옥 기자] 4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닥(668.45p, +1.25p, +0.19%)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건설(3.56%), 운송(2.41%)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통신장비(-3.38%), 일반전기전자(-1.34%)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760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473개, 65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SDN(+27.72%), 우원개발(+23.91%)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세원(-17.02%), 케이엠더블유(-14.47%) 이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