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세종텔레콤 스노우맨, 젊은 층 지지로 우체국 판매실적 1위 수성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의 알뜰폰 브랜드 스노우맨이 지난 9월 기준 19.3%의 점유율로 우체국 판매실적 1위를 달성했다.세종텔레콤의 우체국 알뜰폰 월별 가입자 현황에 따르면 우체국 입점 첫 달인 올해 1월 대비 신규 가입자 수가 9월에는 약 3.2배 증가했다.스노우맨 우체국 신규 가입자의 연령별 누적비율은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기간을 기준으로 40대가 25.7%로 가장 높았고, 30대(23.1%), 50대(11.2%), 20대(10.8%), 60대(10.3%), 70대 이상(8.9%), 10대(6.2%), 10대 미만(3.8%)의 순으로 집계됐다.우체국에 입점한 지난 1월과 9월 수치를 비교한 결과, 20대와 30대 젊은 층의 수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8월
-
왈라뷰 ‘찜켓팅’ & 캐시슬라이드 초성퀴즈 이벤트 진행
동영상 기반의 뷰티(VIEWTY) 커머스 브랜드 ‘왈라뷰’가 16일, 총 3,500만원 상당의 뷰티 제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찜켓팅’과 캐시슬라이드 초성 퀴즈 이벤트를 진행한다.16일 단 하루, 오후 4시, 6시, 8시까지 총 3회에 걸쳐 정각마다 진행되는 ‘왈라뷰 찜켓팅’ 이벤트는 추석 연휴가 끝나고 본격적인 가을 시즌을 맞이해 피부 보습 및 관리에 집중하고자 하는 뷰티족들을 위해 기획됐다.‘찜켓팅’ 이벤트에는 ▲셀라랩 LED마스크 ▲셀라랩 EMS마사지 기기 ▲랑방 메리미 ▲지미추 블러썸 ▲머지 더 퍼스트 쿠션 ▲머지 더 퍼스트 펜 아이라이너 ▲머지 바이트더비트 섀도우 팔레트 등 국내외 11곳의 메이크업 브랜드 제품과 퍼퓸 라인이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9월 6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6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닥(637.33p, +4.34p, +0.69%)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3.30%), 종이·목재(3.19%)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KOSDAQ 기술성장기업(-2.38%), 기타서비스(-2.10%)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335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76개, 86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디케이티(+25.44%), 세종텔레콤(+17.00%)이며, 하락 종목은 상상인인더스트리(-28.91%), 케이비제10호스팩(-10.21%) 이다.
-
세종텔레콤 왈라뷰(wallaVU), 크리에이터 위크& 행사 참여
동영상 기반의 뷰티(VIEWTY) 커머스 브랜드 ‘왈라뷰’가 예비 크리에이터들을 만나기 위해 이번 주말 출격한다.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이 런칭한 뷰티(VIEWTY) 커머스 브랜드 ‘왈라뷰(wallaVU)’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개최되는 <2019 크리에이터 위크&> 행사에 참여한다.왈라뷰는 1824세대들의 다양한 뷰티 일상과 함께, 피부관리, 발색 확인부터 제품 비교, 메이크업 노하우까지 생생하게 영상으로 제안하는 신개념 뷰티(VIEWTY) 커머스 플랫폼이다. 보다 직관적인 정보 확인이 가능한 영상 콘텐츠로 고객의 구매의사 결정 과정을 지원하는 한편, 하나의 크리에이터 툴로써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공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7월 30일 9:00)
[로이슈 한정아 기자] 30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닥(620.33p, +1.55p, +0.25%) 상승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KOSDAQ 기술성장기업(1.03%), 기타서비스(0.85%)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종이·목재(-1.40%), 기타 제조(-1.08%)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193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16개, 231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다믈멀티미디어(+7.99%), 럭슬(+7.69%)이며, 하락 종목은 케이피티유(-8.02%), 세종텔레콤(-7.83%) 이다.
-
세종텔레콤 커머스 신규사업 진출, 뷰티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 '왈라뷰(wallaVU)' 오픈
유무선 종합 통신 기업 세종텔레콤(대표 김형진)이 커머스 신규사업에 진출하며, 그 첫번째 프로젝트인 V-커머스(비디오 커머스) 뷰티 플랫폼 ‘왈라뷰(wallaVU)’를 오픈했다.왈라뷰는 본인을 꾸미는데 관심이 많고 관련 영상을 많이 시청하는 1824세대들을 겨냥해 탄생한 동영상 기반 뷰티 커머스 플랫폼이다. 유튜브로 정보를 검색하고 콘텐츠를 제작, 소비하는 것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들의 다양한 뷰티 일상을 공유하고, 재미있고 객관적인 뷰티 지식을 소개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쇼핑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보자는 취지 하에 기획됐다.‘왈라뷰(wallaVU)’ 브랜드 명칭은 현재 개발 중인 풀필먼트(Fulfillment) 서비스인 ‘왈라비(wa
-
세종텔레콤, 스마트 학사정보 관리…NIPA '블록체인 기술개발 지원사업' 수주
유무선 종합 통신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추진하는‘블록체인 기술검증 지원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 됐다.세종텔레콤 주관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그로비스인포텍 등이 협력해 추진해 나가는 이 사업은 ‘미래형 대학교육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학사정보 관리’를 주제로 오는 11월까지 진행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학사 정보 유효성 검증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미래형 대학교육에 적합한 학사정보시스템 및 서비스를 구축하겠다는 게 목표다.세종텔레콤은 주관사로서 사업관리와 블록체인 기술 연구개발을 주도하며 블록체인 인프라 환경을 구축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BaaS형 프라이빗 블록
-
두나무 카카오스탁, 11월 한 달 급상승 테마 발표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11월 한달 간 모바일 주식 투자자들의 인기를 얻은 테마로 △결제서비스, △저비용항공사(LCC), △유가하락투자상품(ETF·ETN), △화장품-브랜드샵 등이 꼽혔다고 5일 발표했다.카카오스탁 내 ‘테마별 토픽’에 따르면, 결제서비스 관련 종목들의 주가는 11월 한달 간 24.43% 상승했으며, 이어 저비용항공사 23.43%, 유가하락투자상품 19.95%, 화장품-브랜드샵 16.56%, 화장품-OEM·ODM 15.55%, 제4이동통신이 14.10%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결제서비스는, 최근 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및 부가서비스 축소 등의 여파로 전자지급결제(PG), 간편결제 등을 주력으로 하는 종목들이 반사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28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28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닥(702.99p, +2.32p, +0.33%)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5.25%), 통신장비(2.52%)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비금속(-3.34%), 운송장비·부품(-2.59%)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505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702개, 5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기산텔레콤(+29.58%), 세종텔레콤(+28.29%)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넥스턴(-15.79%), 강스템바이오텍(-12.90%)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닥 (11월 28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28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닥(702.99p, +2.32p, +0.33%)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4.40%), 통신장비(2.59%)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금속(-2.17%), 종이·목재(-1.72%)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487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682개, 94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세종텔레콤(+23.46%), 텔레필드(+21.23%)이며, 하락 종목은 넥스턴(-11.51%), 헝셩그룹(-8.80%) 이다.
-
‘카카오페이 청구서’, 고지서 QR납부 서비스 확대
카카오페이(대표 류영준)가 종합ICT전문기업인 ㈜더존비즈온과 협력해 시간·장소 제한 없이 고지서 내 QR코드를 스캔하여 카카오페이로 편리하게 공과금과 생활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QR납부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카카오페이는 먼저 더존비즈온의 제휴사 9곳에 QR납부 서비스를 오픈하며, 대상은 점차 확대해나갈 예정이다.더존비즈온은 다양한 ICT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현재 국세청의 국세와 서울, 부산 등 전국 14개 지자체의 지방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4대 사회보험료, 전기요금, 도시가스 요금, 통신비, 신문 구독료 등의 종이 고지서에 QR코드 납부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양사의 협력에 따라 2400만 카카오페
-
변화하는 도시개발 모델, 자족도시 내 부동산 ‘눈길’
대규모 산업단지 혹은 대기업 입주가 예정된 ‘자족도시’ 내 수익형 부동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족도시모델이 지지를 얻으면서 업무시설 조성이 성공적인 도시개발의 열쇠로 평가 받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수도권 신도시 개발사업의 경우 주거시설 계획에 중점을 두다보니 주변부 난개발 및 교통·생활 인프라 시설 불균형 등 문제가 발생했다. 때문에 초창기 신도시는 베드타운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가 많았다. 최근에는 도시 안에 주거와 생활시설은 물론 직장까지 균형적으로 갖춘 복합도시가 조성되고 있다.업무시설이 입주하면 도시의 장기적인 성장에 기여한다. 많은 근로 수요를 바탕으로 상권이 확장되고 지역 경제 발전을 촉
-
주택 거래 절벽 속 신도시 지식산업센터 ‘눈길’
계속되는 주택시장 규제 여파로 지식산업센터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양도세 중과 시행, 보유세 개편안 등 각종 규제로 주택 시장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투자 대안으로 지식산업센터에 더 많은 수요가 몰릴 전망이다. 여기에 대표적인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의 수익률이 점차 하락세를 보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지식산업센터가 틈새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다.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2016년 지식산업센터 거래량은 총 4987건으로 2006년 751건에 비해 6배 이상 증가했다. 1㎡당 평균 거래가도 2007년 213만원에서 2017년 6월 332만원으로 10년만에 100만원 이상 상승했다.최근에는 지자체에서 주도적으로 신도시 내 테크노밸리
-
동양건설산업, ‘미사역 파라곤’ 아파트·상가 4월말 동시분양
동양건설산업이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에 최고급 주상복합 ‘미사역 파라곤’ 아파트와 상업시설인 ‘파라곤 스퀘어’를 4월말 동시 공급한다. 미사지구 C1블록에 지어지는 ‘미사역 파라곤’은 지하 3층∼지상 30층, 8개동, 총 925가구의 아파트가, 지하 1층∼지상 2층까지는 판매시설인 ‘파라곤 스퀘어’, 지상 3층∼지상 8층까지는 업무시설이 각각 들어선다.아파트의 경우 전용 102㎡형 462가구, 107㎡형 229가구, 117㎡형 232가구, 195㎡형 2가구 등 모두 925가구로 미사강변도시에서 희소성 있는 중대형 최고급 아파트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지하 1층∼지상 2층에 들어서는 ‘파라곤 스퀘어’는 연면적 5만4061㎡규모로
-
지난해 유상증자 987건 23조1971억원… 건수는 늘고 액수는 줄고
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유상증자 건수가 총 987건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지만 금액은 23조1971억원으로 전년 대비 20.2%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유가증권시장은 95건, 10조6623억원으로 전년(124건, 10조2249억원) 대비 건수는 29건(23.4%) 감소한 반면, 금액은 4374억원(4.3%) 증가했다. 코스닥시장은 312건, 4조973억원으로 전년(349건, 4조8262억원) 대비 건수는 37건(10.6%), 금액은 7289억원(15.1%) 감소했다. 코넥스시장은 66건, 1921억원으로 전년(49건, 2035억원) 대비 17건(34.7%) 증가했으나 금액은 114억원(5.6%) 감소했다. 비상장사(K-OTC, 예탁지정법인)의 증자규모는 514건, 8조2454억원으로 전년(430건, 13조8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