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안랩 V3, AV-TEST의 PC부문(개인기〮업사용자) 모두 진단율 만점으로 인증 획득
안랩의 엔드포인트 통합 보안 솔루션 V3가 글로벌 보안제품 테스트 기관 'AV-TEST'가 실시한 6월 PC부문 2개 인증평가에서 모두 인증을 획득하고 각각 'Top Product(우수제품)'로 선정됐다. AV-TEST의 이번 6월 PC부문 인증 평가는 윈도우10 환경에서 실시됐다. 안랩은 ‘홈 유저(개인 사용자)’와 ‘비즈니스 유저(기업 사용자)’ 2개 테스트에 동시에 참가해, 최신 악성코드 탐지율을 평가하는 ‘진단율(Protection)’ 항목에서 모두 만점(6점 만점)을 얻으며 인증을 획득했다.또, V3는 ‘홈 유저’ 테스트에서 총점 만점, ‘비즈니스 유저’ 테스트에서 17.5점(18점 만점)을 각각 거둬, 성적 상위권 제품을 의미하는 ‘Top Product(우수제품)’
-
안랩, 신규 하이엔드급 차세대방화벽 ‘안랩 트러스가드 20000B’ 선보여
안랩이 하드웨어 성능을 한층 강화한 신규 하이엔드급 차세대방화벽 모델 ‘AhnLab TrusGuard(이하 트러스가드) 20000B’를 선보인다.안랩 관계자는 "이번에 선보인 ‘트러스가드 20000B’는 자사의 기존 하이엔드급 차세대방화벽 ‘트러스가드 10000B’에서 하드웨어 성능을 업그레이드 했다. ‘트러스가드 20000B’는 직전 모델 대비 ▲방화벽 트래픽 처리 성능 20% 증가 ▲최대 처리 세션 수 1.5배 향상 등 주요 성능을 강화해 엔터프라이즈급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고성능 차세대방화벽 기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안랩은 이번 출시로 SMB 등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부터 데이터센터/통신사/대형 금융사 등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까지 지원하는
-
안랩, 채용 제안(Job Invitation)메일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주의 당부
안랩이 채용 제안(Job Invitation) 이메일을 위장해 유포되는 정보유출 악성코드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공격자는 악성 메일에 ‘Team Lead(팀장)’라는 발신자 이름과 ‘Our Team Job Invitation(팀원 채용 제안)’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 메일 본문은 ‘우리의 채용 제안을 첨부했다(Hello, our invitation is attached to this message)’는 내용으로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했다. 특히, 공격자는 첨부파일 압축해제 암호를 함께 기재하며 수신인만을 위한 메일인 것처럼 ‘당신의 개인 비밀번호(Your personal password)’라는 문구를 사용해 메일 수신자의 의심을 피하는 수법을 썼다.수신자가 무심코 비밀번호를 입력해 압축 파일
-
안랩, 정보보안 꿈나무 고등학생 위한 온라인 ‘라이브(Live) 견학’ 진행
안랩이 8월 6일(금) 서울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과 성북구청이 주관하는 <성북미래학교>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라이브(Live) 견학을 실시했다.이번 견학은 <성북미래학교> 참여 고등학생들의 평소 관심사에 맞춰 정보보안 분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내 악성코드 분석 전문가를 초청해 진행됐다. 학생들은 보안 업계 진출에 필요한 구체적인 역량, 업계 전망, 실제 업무 환경 등 실시간으로 궁금한 점을 문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문가와 함께하는 비대면 온라인 멘토링 이외에도 안랩은 학생들이 다양한 보안 직무를 배울 수 있는 가이드 자료와 업무 공간을 생생하게 경험하는 랜선
-
안랩, 차세대방화벽 ‘트러스가드 3.0’ 업그레이드로 보안 성능 고도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트래픽 증가로 네트워크 보안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안랩이 자사의 차세대방화벽 ‘안랩 트러스가드(AhnLab TrusGuard)’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여 차세대방화벽 기능을 고도화(안랩 트러스가드 3.0)했다고 밝혔다. 차세대방화벽 기능을 고도화한 ‘안랩 트러스가드(AhnLab TrusGuard) 3.0’은 ▲자사(안랩)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들과의 연동 강화로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였고 ▲멀티팩터 인증 기능 강화, SSL VPN 기능 고도화, 알려지지 않은 애플리케이션(Unknown Application) 인지 기능 제공, 디바이스 상태정보 기반 제어 기능 제공 등 비대면 환경 하 보안성을 강화한 것이 주요 특징
-
안랩, 2021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898억, 영업이익 81억
안랩은 2021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898억원, 영업이익 81억원(별도기준 매출 878억원, 영업이익 85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2020년 상반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은 46억원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억원 감소한 수치다. 별도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매출 53억원, 영업이익은 5억원 증가했다.2021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474억원, 영업이익은 4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2020년 2분기) 대비 매출은 26억원 증가, 영업이익은 9억원 감소한 수치다. 별도기준으로는 매출은 466억원, 영업이익 51억원으로 전년 동기(2020년 2분기) 대비 매출 34억원, 영업이익 1억원 증가했다.
-
안랩, OT 보안 솔루션 전문기업 ‘나온웍스’ 인수
안랩이 OT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을 인수하며 OT(Operational Technology, 운영기술)보안 역량을 강화한다.안랩은 28일 판교 안랩 사옥에서 OT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 나온웍스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 Stock Purchase Agreement)을 체결했다.이번 계약 체결로 안랩은 나온웍스의 지분 60%를 인수한다. 안랩은 인수절차 완료 후에도 현재 이준경 대표 경영체제를 유지하며 나온웍스를 독립된 자회사로 운영한다.안랩은 이번 인수로 자사의 축적된 통합보안 역량과 나온웍스의 OT 보안 기술력을 결합해 OT 보안 영역의 기술 전문성과 사업적 시너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랩은 나온웍스와 ▲OT 보안 분야 공동 연구개발 ▲OT
-
안랩, 미국 유명 은행 사칭한 이메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 주의 당부
안랩이 최근 미국의 유명 은행인 BOA(Bank of America)의 ‘입금 확인 요청’ 자동 메일로 위장해 원격제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공격자는 BOA의 자동발송 메일로 위장하기 위해 메일 주소에 ‘donot_reply(회신금지)’를 쓰고 BOA의 이름을 사용한 악성 엑셀파일을 첨부했다. 메일 본문에는 “당신의 계좌에 $9849가 전자자금이체(EFT, Electronic Fund Transfer) 방식으로 지급됐다. 자동 발송 메일이니 회신하지 말고 첨부파일을 확인하라”고 기재해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했다.사용자가 무심코 첨부된 악성 엑셀 파일을 실행하면 매크로 실행을 유도하는 내용의 문서 파일이 열린다. 해당 파일 상단에
-
안랩, 중복 맞아 임직원 대상 치킨 기프티콘 증정 이벤트 진행
안랩이 중복(21일)을 기념해 임직원에게 치킨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안랩이 쏜닭’ 이벤트를 진행했다. ‘복날 이벤트’는 안랩이 2003년부터 이어온 복날 임직원 사기 진작 이벤트로, 임직원들은 휴대전화로 증정받은 기프티콘을 사용해 각자 원하는 때와 장소에서 ‘1인 1닭’ 할 수 있다.안랩은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동참하기 위해 그동안 사옥에서 치킨이나 보양식을 먹던 ‘복날 이벤트’를 작년부터 비대면 이벤트로 탈바꿈시켰다.안랩은 “이어지는 폭염과 코로나19로 지친 임직원들이 이번 이벤트로 안전하고 건강하게 중복 더위를 이겨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IBK기업은행, 초대 직원권익보호관에 외부전문가 임용
IBK기업은행(은행장 윤종원)은 개방형직위 공개채용을 통해 이현주 직원권익보호관(Ethics Officer)을 임용했다고 16일 밝혔다.직원권익보호관으로 임용된 이현주 前 한국인성컨설팅 이사는 약 27년 경력의 임상심리학 박사로, 삼성전자, 넥슨, 안랩, 정부기관 등 다양한 조직에서 풍부한 고충상담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이다.이현주 직원권익보호관은 개인적 갈등부터 성희롱, 직장 내 괴롭힘, 정신과적 질환 등 여러 상황을 내담자의 입장에서 수용하고 일관적인 원칙을 적용해 직원권익보호관에 적합한 인재라는 평가다.국내 은행 최초로 도입한 직원권익보호관(Ethics Officer, EO)은 윤종원 은행장이 IMF 상임이사로 재직 시 눈여겨본 IMF의
-
안랩, ‘2021년 상반기 주요 보안위협 트렌드 Top 5’ 발표
안랩이 올 상반기 주요 보안 위협 트렌드 5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안랩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주요 보안위협 트렌드 Top 5’는 ▲타깃형 랜섬웨어 공격 증가 ▲조직 인프라 솔루션을 악용한 공격 지속 ▲업무 메일을 위장한 정보유출형 악성코드 유포 ▲사회적 이슈를 사이버공격에 적극 활용 ▲국가지원 추정 해킹그룹 활개 등이다.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 한창규 센터장은 “공격자는 사이버 공격의 전 과정에서 시스템 취약점부터 사용자까지 가장 ‘약한 고리’를 노리고 있다"며 "점차 정교해지는 보안 위협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기관과 기업, 사용자 등 모든 주체의 대응 방안 준비와 보안수칙 준수가 필수적
-
안랩, 디지털 직무 교육 사회공헌 프로그램 ‘안랩샘(SEM)’ 12기 온라인 수료식 개최
안랩이 15일(목) 디지털 직무 교육 사회공헌 프로그램 '안랩샘(AhnLab SEM(Software Education Manager)아카데미, 이하 안랩샘, 보충자료 참조)' 12기의 수료식을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흐름에 발맞춰 신규 디지털 활용 직무 교육을 추가한 안랩샘 12기에서는 ▲파이썬∙AI 교육 강사 ▲아두이노∙AI 교육 강사 ▲AR/VR 실감 콘텐츠 기획자 과정 ▲프로젝트 매니저 과정 ▲소셜벤처 창업 과정 ▲소셜미디어 마케터 과정 ▲웹퍼블리셔 과정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 퍼실리테이터 과정 ▲PR/커뮤니케이터 과정 등 9개 교육과정에서 출석률, 과제수행, 모의수업 등 수료기준을 모두 충족한 110명의 수료생을
-
안랩,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솔루션 도입 지원 사업’ 보안 솔루션 공급기업으로 선정
안랩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원태)이 주관하는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솔루션 도입 지원 사업(보충자료 참조)’의 보안 솔루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 안랩은 제품 우수성, 가격 적정성, 서비스 역량, 기업 안정성 등에 대한 종합 평가를 거쳐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시스템(단말) 보안 솔루션 부문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안랩은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부문에서 차세대 방화벽 ‘안랩 트러스가드(AhnLabTrusGuard)’를 공급한다. 안랩 트러스가드는 고도화된 애플리케이션 컨트롤(Application Control)과 C&C 서버(공격자가 악성코드를 원격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
안랩, 유명 웹사이트 주소 오타를 악용한 랜섬웨어 유포 주의 당부
안랩이 유명 웹사이트의 주소를 잘못 입력할 경우 접속되는 사이트로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먼저 공격자는 유명 포털과 소셜미디어 사이트의 주소를 잘못 입력하는 사용자를 노려 정상 주소와 매우 유사한 주소로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만약 사용자가 실수로 해당 주소로 접속하면 공격자가 미리 만들어둔 웹사이트로 이동한다. 이 웹사이트는 아무 내용도 없는 백지 상태로, 사용자 PC 내 IE(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의 최신 보안패치 여부와 윈도우 버전 등 공격자가 설정한 랜섬웨어 감염 조건 확인만 진행된다.만약 사용자 PC가 감염이 가능한 환경일 경우, 수차례 자동 리다이렉션(재이동)을 거
-
안랩, 마이데이터 서비스 제공 기업 정보보호컨설팅 사업 수주
안랩은 최근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보충자료 참고)’ 사업의 본허가를 받은 핀테크 기업의 정보보호컨설팅 신규 사업을 수주하고 마이데이터 분야 보안 컨설팅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설팅으로 안랩은 해당 고객사에 대해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필수로 받아야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을 수행한다. 안랩은 고객사의 웹서버, 정보보호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DB) 등 마이데이터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시스템 전반에 대한 보안취약점 점검과 미비항목 조치를 지원할 예정이다.안랩은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마이데이터 보안요구사항 점검, 서비스인허가 관련 컨설팅,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등 마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