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26일 9: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26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120.20p, -1.44p, -0.07%) 하락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전기,전자 (0.57%), 의료정밀(0.50%)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섬유의복(-0.59%), 증권(-0.5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277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502개, 232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국동(+6.76%), 한성기업(+5.17%)이며, 하락 종목은 사조대림(-6.15%), 나노메딕스(-5.67%)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20일 15:30)
[로이슈 지미옥 기자] 20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131.29p, +9.51p, +0.45%) 상승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2.57%), 전기,전자 (1.04%)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종이,목재(-1.08%), 은행(-1.05%)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736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456개, 10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한성기업(+9.48%), 진양화학(+6.76%)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대창(-9.79%), 동부건설우(-9.76%) 이었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13일 15:30)
[로이슈 심준보 기자] 13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102.20p, -2.26p, -0.11%)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2.46%), 음식료품(1.64%)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종이,목재(-1.40%), 전기,가스업(-1.09%)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677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507개, 11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한성기업(+16.47%), 하나니켈2호(+13.51%)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영화금속(-11.46%), 진흥기업우B(-9.21%)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13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13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087.70p, -16.76p, -0.80%)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1.26%), 비금속광물(0.92%)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은행(-1.75%), 종이,목재(-1.71%)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405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755개, 12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하나니켈2호(+10.81%), 한성기업(+7.25%)이며, 하락 종목은 동부건설우(-6.68%), 영화금속(-6.59%) 이다.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월 8일 9: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8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038.68p, +1.58p, +0.08%) 상승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의료정밀(2.26%), 전기,가스업(1.00%)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전기,전자 (-1.66%), 은행(-0.9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572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227개, 194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한성기업(+8.66%), KODEX 미국S&P바이오(합성)(+6.47%)이며, 하락 종목은 트러스제7호(-5.93%), 에이프로젠 KIC(-4.78%) 이다.
-
전국 매출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38곳 뿐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나이스 신용평가사 등의 기업정보를 토대로 한 ‘2017년도 매출액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2017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은 38곳이며 부산 매출 1위 기업은 르노삼성자동차로 확인됐다.신규 진입한 기업은 엘시티PFV, 경동건설, 김해센텀2차PFV, 에스엠상선, 한국특수형강 등 5개사인데, 부동산 분양물량 증가에 따른 건설업체의 진입이 눈에 띈다. 또한 에스엠상선은 건설과 물류 분야의 계열사 합병 이슈로 매출이 증가했고, 한국특수형강은 주력제품의 단가 상승으로 새롭게 1000대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5일 12: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5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260.80p, -9.14p, -0.40%)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보험업(0.78%), 기계(0.68%)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금속광물(-3.18%), 종이,목재(-2.3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28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71개, 10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동원수산(+14.73%), 한성기업(+11.54%)이며, 하락 종목은 한국특수형강(-12.13%), 서울식품우(-10.11%)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7월 12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12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285.06p, -0.87p, -0.04%)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의약품(2.14%), 종이,목재(1.25%)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비금속광물(-1.92%), 은행(-1.56%)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643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489개, 109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남선알미우(+31.92%), 한성기업(+24.69%)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동원(-11.36%), 웰바이오텍(-9.91%) 이었다.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22일 9: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22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323.08p, -14.75p, -0.63%) 하락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0.83%), 전기,가스업(0.53%)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증권(-1.36%), 통신업(-1.07%)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250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577개, 19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경농(+7.97%), SG충방(+5.14%)이며, 하락 종목은 CJ씨푸드1우(-6.70%), 한성기업(-3.76%)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21일 15:30)
[로이슈 한정아 기자] 21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337.83p, -26.33p, -1.11%)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통신업(1.68%), 의료정밀(0.29%)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종이,목재(-3.21%), 비금속광물(-3.10%)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302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881개, 67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동원수산(+27.54%), 한성기업(+24.69%)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아티스(-23.08%), 웅진에너지(-17.89%) 이었다.
-
올가홀푸드-해양관리협의회 'MSC 인증' 수산물 유통 확대 MOU
풀무원 올가홀푸드가 비영리 국제기구인 해양관리협의회(MSC·Marine Stewardship Council)와 손잡고 '지속가능한 수산물' 유통 확대에 나섰다.올가홀푸드는 올가 방이점에서 올가홀푸드 남제안 대표이사, MSC 패트릭 칼레오(Patrick Caleo) 아시아태평양 총괄 디렉터, MSC 서종석 한국 컨설턴트(부경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속가능한 수산물' 유통 확대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올가는 이번 협약을 통해 MSC 인증 수산물 공급을 확대하고 올가에서 자체 제조, 유통하는 가공, 수산식품에 대해 MSC 인증 원재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매장에서의 ‘MSC 에코라벨’ 홍보를 통해 소비자들이 지속 가능한 수산물 활용
-
부산상의, 전국 매출 1000대기업 내 부산기업 41곳
2015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중 부산기업은 41곳, 부산 매출 1위 기업은 르노삼성자동차㈜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조성제)는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한국컨텐츠미디어, 나이스 신용평가사 등의 기업정보를 토대로 한 ‘2015년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5년 41개의 전국 1000대 기업내 부산기업은 2014년의 49개에 비해 8개 사가 줄어든 것. 이는 부산 주력 제조업이 성장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철강, 화학 등 주력 제조업에서 전년대비 5개 업체가 전국 1000대 기업에서 이탈했다.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중소·협력업체가 대다수인 지역의 기업구조도 중요 원인으로 꼽혔다. 2015년 기준 1000대 기업 밖으로 밀려난 기업은 ㈜동아지질, ㈜한성기업, 부산교통공사, 한국특수형강㈜, 강남제비스코㈜, 한국콩스버그마리타임㈜, ㈜화승, STX마린서비스㈜, 현진소재㈜, ㈜동일 등 무려 10곳이며, 모두 매출부진이 잔류 실패의 원인이다. 반면, 기업에 신규 진입한 업체는 ㈜화승인더스트리, ㈜협성건설 2개 기업에 불과했다. ㈜화승인더스트리는 베트남 현지 최대 규모 생산기지를 활용, 납기, 품질, 생산성 확대를 통한 글로벌 브랜드 아디다스와 리복과의 파트너십 강화로 매출이 상승했다. ㈜협성건설은 분양 시장 호황에 맞춰 2015년 부산과 대구, 경북지역에서 창사 최대인 약 7000세대를 성공적으로 분양하면서 1000대 기업에 진입했다. 한편, 2015년도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41개체)의 총 매출액은 38조2396억원을 기록했으며, 매출액 전국 비중은 1.8%로 전국 17개 시․도 중 9위를 차지했다. 전국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내 부산기업 수(41개체)는 서울(514개체), 경기(159개체), 경남(44개체), 인천(42개체)에 이어 5위지만, 기업 당 평균 매출액이 낮아, 매출액 전국 비중이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