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5일 15:30)
[로이슈 지미옥 기자] 5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267.51p, -2.43p, -0.11%)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운수,창고업(0.93%), 유통업(0.78%)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비금속광물(-2.30%), 의약품(-1.77%)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490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686개, 10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평화홀딩스(+16.05%), 조광피혁(+11.47%)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한국특수형강(-13.88%), 페이퍼코리아(-11.21%)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5일 12: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5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260.80p, -9.14p, -0.40%)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보험업(0.78%), 기계(0.68%)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금속광물(-3.18%), 종이,목재(-2.3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28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71개, 10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동원수산(+14.73%), 한성기업(+11.54%)이며, 하락 종목은 한국특수형강(-12.13%), 서울식품우(-10.11%)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4일 15:30)
[로이슈 지미옥 기자] 4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274.49p, -36.57p, -1.58%)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통신업(1.78%), 은행(1.16%)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화학(-4.96%), 철강,금속(-4.75%)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290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915개, 7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한국내화(+20.00%), 동성제약(+18.69%)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한국특수형강(-18.16%), 아모레G(-14.59%)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4일 12:00)
[로이슈 지미옥 기자] 4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283.13p, -27.93p, -1.21%)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통신업(1.58%), 은행(1.17%)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학(-4.44%), 철강,금속(-4.33%)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300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887개, 80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한국내화(+17.80%), 인디에프(+13.95%)이며, 하락 종목은 한국특수형강(-15.57%), 아모레G(-13.08%) 이다.
-
[15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1일 15:30)
[로이슈 심준보 기자] 1일 오후 3시 35분 기준 개장가 대비 코스피(2,338.88p, -10.76p, -0.46%) 하락세로 마감했다.업종별로는 건설업(0.95%), 기계(0.80%)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통신업(-2.32%), 섬유의복(-1.49%)는 하락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476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702개, 104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개장가 대비 상승 종목은 성지건설(+11.00%), 락앤락(+9.97%)이었으며, 하락 종목은 퍼스텍(-9.65%), 한국특수형강(-9.04%) 이었다.
-
[12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10월 1일 12:00)
[로이슈 한정아 기자] 1일 12시 5분 기준 3시간전 대비 코스피(2,340.55p, -9.09p, -0.39%)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업종별로는 기계(1.02%), 건설업(0.83%)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통신업(-2.31%), 의약품(-2.29%)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현재 47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674개, 112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3시간전 대비 상승 종목은 이수페타시스(+8.30%), 코스맥스비티아이(+8.06%)이며, 하락 종목은 오리엔트바이오(-10.79%), 한국특수형강(-9.36%) 이다.
-
[9시 시황] 오늘의 코스피 (6월 19일 9:00)
[로이슈 심준보 기자] 19일 오전 9시 5분 기준 코스피(2,373.12p, -3.12p, -0.13%) 하락세로 출발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0.94%), 전기,전자 (0.58%)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은행(-1.48%), 통신업(-1.46%)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308개 종목이 상승중인 가운데 하락 종목은 490개, 213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전일 대비 상승 종목은 국보(+9.38%), 동방(+9.22%)이며, 하락 종목은 HSD엔진(-30.28%), 한국특수형강(-7.93%) 이다.
-
부산상의, 전국 매출 1000대기업 내 부산기업 41곳
2015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중 부산기업은 41곳, 부산 매출 1위 기업은 르노삼성자동차㈜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조성제)는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한국컨텐츠미디어, 나이스 신용평가사 등의 기업정보를 토대로 한 ‘2015년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5년 41개의 전국 1000대 기업내 부산기업은 2014년의 49개에 비해 8개 사가 줄어든 것. 이는 부산 주력 제조업이 성장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철강, 화학 등 주력 제조업에서 전년대비 5개 업체가 전국 1000대 기업에서 이탈했다.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중소·협력업체가 대다수인 지역의 기업구조도 중요 원인으로 꼽혔다. 2015년 기준 1000대 기업 밖으로 밀려난 기업은 ㈜동아지질, ㈜한성기업, 부산교통공사, 한국특수형강㈜, 강남제비스코㈜, 한국콩스버그마리타임㈜, ㈜화승, STX마린서비스㈜, 현진소재㈜, ㈜동일 등 무려 10곳이며, 모두 매출부진이 잔류 실패의 원인이다. 반면, 기업에 신규 진입한 업체는 ㈜화승인더스트리, ㈜협성건설 2개 기업에 불과했다. ㈜화승인더스트리는 베트남 현지 최대 규모 생산기지를 활용, 납기, 품질, 생산성 확대를 통한 글로벌 브랜드 아디다스와 리복과의 파트너십 강화로 매출이 상승했다. ㈜협성건설은 분양 시장 호황에 맞춰 2015년 부산과 대구, 경북지역에서 창사 최대인 약 7000세대를 성공적으로 분양하면서 1000대 기업에 진입했다. 한편, 2015년도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41개체)의 총 매출액은 38조2396억원을 기록했으며, 매출액 전국 비중은 1.8%로 전국 17개 시․도 중 9위를 차지했다. 전국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내 부산기업 수(41개체)는 서울(514개체), 경기(159개체), 경남(44개체), 인천(42개체)에 이어 5위지만, 기업 당 평균 매출액이 낮아, 매출액 전국 비중이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