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제이엘케이, ‘뇌 백질변성 정량 분석 AI 연구’ 국제 저널 게재
의료 AI 1호 상장기업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는 자사가 개발한 대뇌백질변성분석 AI 솔루션(JLK-WMH)의 급성 뇌졸중 환자 대상 뇌백질변성 정량 분석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출판됐다고 22일 밝혔다.제이엘케이에 따르면 해당 논문에는 급성 뇌졸중 환자 8,421명의 MRI 데이터를 AI가 학습하는 방식으로 개발해 만성 뇌허혈 병변에 해당하는 백질 변성(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 영역을 시각화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JLK-WMH’의 개발 과정과 성능 연구 등이 담겼다.논문은 국제 저명 학술지이자 美 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학술지인 아메리칸 저널 오브 뉴로라디올로지(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에 게재됐다.논문에
-
제이엘케이, 美 진출 본격화에 AP 통신 등 해외 언론서 주목
코스닥 상장사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내 유력 매체인 AP통신이 제이엘케이의 미국 진출을 다룬 기사를 보도했다고 밝혔다. 17일 제이엘케이에 따르면 이 매체는 해당 기사에서 제이엘케이를 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첫 의료 AI 기업으로 소개하며 AI 뇌졸중 진단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평가했다.또 뇌졸중 진단 인공지능 'MEDIHUB STROKE' 11개 솔루션을 언급하며 출혈성 뇌졸중(뇌출혈)과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의 급성기부터 만성기까지 모두 커버하는 세계 최초의 전주기 토탈 솔루션임을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은 뇌졸중 오진율이 높아 후유장애 및 사망률도 높다는 존스 홉킨스 연
-
[IT이슈] 리본카, 우파TV와 ‘벤츠 C클래스’ 중고차 경매 이벤트 진행 外
비대면 직영인증중고차 플랫폼 리본카가 110만 유튜버 ‘우파푸른하늘TV(이하 우파TV)’와의 협업을 통해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벤츠 C-클래스 중고차 경매 이벤트를 진행한다. 경매 차량은 인기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의 C-클래스(4세대) C220d 아방가르드로 연식은 2019년 4월이며 주행거리는 18,000km대이다. 리본카가 자랑하는 중고차 품질 관리 프로세스 AQI(Autoplus Quality Inspection)를 통해 주요 항목 진단을 마친 무사고 차량이다. 또한, 업계 최초 도입한 특허받은 ‘냄새 케어 시스템'으로 조향사가 정밀 측정한 결과 실내 냄새등급도 "쾌적"으로 평가됐다.또한, 리본카의 점검 이후 유튜버 ‘우파TV’가 직접 튜닝을 진행해 보
-
제이엘케이, 뇌졸중 진단 AI 솔루션 FDA 인허가 신청
제이엘케이(322510, 대표 김동민)가 지난 24일(한국 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자사 AI 솔루션 JLK-LVO의 인허가 신청을 완료하며 미국 시장의 본격적인 진출을 예고했다.제이엘케이 관계자는 "FDA에 신청한 JLK-LVO는 혈관조영 CT 이미지를 통해 대혈관 폐색(Large Vessel Occlusion, 이하 LVO)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FDA 최종 승인으로 미국 보험 수가 시장에 안착해 매출과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라며 "특히 미국의 LVO 검출용 AI 솔루션 보험수가가 국내 보다 수십 배 이상 높은 회당 $1,040(한화 142만원)로 책정된 만큼 퀀텀 점프 수준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
[IT이슈] 제이엘케이, 뇌졸중 관류 영상 AI 분석 솔루션 검증 성공 外
제이엘케이(322510, 대표 김동민)는 지난 15일 국제 의료 학술지 프론티어스(Frontiers)에 발표된 CT 관류영상(CT Perfusion, 이하 CTP) AI 솔루션 성능 비교 논문에서 뇌관류 영상 진단 AI 솔루션의 의료현장 임상 성능 입증에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CTP는 전 세계적으로 한해 1,500만 명 이상이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 중 뇌경색의 시술 결정을 위해 꼭 필요한 검사다. 뇌손상 부위 시각화, 정량적 부피 분석 등에 꼭 필요하며 뇌경색 환자의 골든타임을 증상 발생 24시간으로 연장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CTP의 AI 분석 기술은 미국 기업이 개발한 독점적 솔루션에 의존하던 상황이었지만, 금번 제이엘케
-
[IT이슈] 제이엘케이, ‘국내 최대 규모’ KMI 한국의학연구소에 의료 AI 솔루션 공급 外
제이엘케이(332510, 대표 김동민)와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살루스케어(대표 황현정)는 건강검진 기관에 최적화된 의료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국내 최대의 건강검진센터를 보유한 재단법인 KMI 한국의학연구소(이하 KMI)에 의료 AI 솔루션을 전격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제이엘케이가 솔루션을 공급하게 된 KMI는 최신 의료 장비와 기술을 갖춘 8개의 직영 건강검진 센터를 보유한 국내 최대의 건강검진 전문 의료 재단이다.공급되는 솔루션은 CXR(흉부 X-RAY) 기반 AI 솔루션 JVIEWER-X다. 의료진이 질병을 정확하고 빠르게 검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제이엘케이와 살루스케어는 이번 납품을 계기로 연간 약 2200만 명 규모로 성장한 국
-
[IT이슈] 제이엘케이, 인도네시아 최대 병원에 의료 AI 솔루션 공급 外
제이엘케이가 의사 3천여 명과 간호사 등 보조 인력 8천여 명을 보유한 인도네시아 최대 병원 체인과 손잡고 의료 AI 소프트웨어 공급을 추진한다. 국내 1호 상장 AI 의료 기업 제이엘케이(332510, 대표 김동민)는 지난 29일 서울 강남구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의료 컨설팅 기업(PT Kind Communication, 이하 PT)과 인도네시아 공공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의료 AI 소프트웨어 수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제이엘케이는 이번 협약으로 병원 41개와 진료소 30개를 운영하고 있는 실로암 병원(Siloam hospitals)에 자사가 개발한 뇌출혈 검출(JLK-ICH), 뇌동맥류 검출(JLK-UIA) 등 의료 AI 솔루션을 납품하고, 인도네시아 디
-
[IT이슈] 제이엘케이, 뇌졸중 진단 AI 탑재된 국내 첫 의료 네트워크 서비스(MNS) ‘스냅피’ 출시 外
제이엘케이가 뇌졸중 진료에 혁신을 가져올 새로운 의료 네트워크 서비스(MNS, Medical Network Service)를 출시했다. 의료 AI 1호 상장기업 제이엘케이(322510, 대표 김동민)는 뇌졸중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뇌졸중 진료 원스톱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스냅피(Snappy, Stroke Network APPlication for You)’를 전격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스냅피’는 제이엘케이가 개발한 국내 최초의 의료용 네트워크 서비스로 11개의 뇌졸중 풀 AI 솔루션이 탑재됐다. PC, 모바일 환경에서 구동 가능하며,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뇌졸중 관련 임상 및 영상 정보와 AI가 해석한 정량적인 분석 값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해 빠른 치료 방침 결정에 큰 도움을
-
[IT이슈] 글로벌 시장 이끌 K-디지털 헬스 기업 '주목' 外
인공지능(AI) 기술이 전세계적으로 질환 진단, 신약 개발 등 의료 분야에 적극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정부기관 및 기업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26일부터 29일까지 미국식품의약국(FDA)과 공동으로 ‘국제 AI 의료제품 규제 심포지엄(AIRIS 2024)’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AI를 활용한 의료제품 개발 동향에서부터 미래전망, 글로벌 규제 방향까지 7개의 세션이 준비되어 있으며, 주요 국가 규제기관, 국내외 업계·학계 관계자 등 약 3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식약처는 내년 1월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에 앞서 디지털의료기기·디지털융합의약품 등에 대한 새로운 규제지원 체계도 정립할 방침이
-
[산업 이슈] 두산, CES 2024에서 프레스 컨퍼런스 개최 外
두산이 CES 2024 현장에서 전세계 미디어를 대상으로 컨퍼런스를 열고, 지속가능하고 더욱 안전한 미래를 위한 기술을 선보였다. 두산그룹(박정원 회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 개막에 앞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전세계 미디어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Mandalay Bay)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됐다. 두산밥캣 스캇박 부회장, ㈜두산 지주부문 CSO(최고전략부문) 김도원 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부사장 등이 연사로 나서 무탄소 토털 에너지솔루션과 AI 로봇 및 무인자동화를 적용한 소형 중장비 등 두산만의 차별화된 기술을 소개했다. 두산밥캣
-
[IT이슈] 증권플러스, 2023년 증시 결산…상승률 1위 종목은 ‘포스코DX’ 外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국민 증권 애플리케이션 증권플러스에서 2023년 상승률 1위 종목에 ‘포스코DX’가 올랐다고 20일 발표했다. 올해 신규 상장주 중 공모가 대비 상장 당일 가장 많이 오른 종목으로는 'LS머트리얼즈'가 꼽혔다. 2023년 한 해 동안 증권플러스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종목은 717.6% 급등한 ‘포스코DX(포스코디엑스)’다. 포스코DX는 포스코그룹 계열 IT·엔지니어링 전문 업체다. 지난 3월 사업 확장성과 미래가치를 담고자 기존 ‘포스코ICT’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로봇,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Digital Twin), 메타버스(Metaverse) 등의 기술을 적용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며 2030년까지 매출 4조
-
[IT이슈] 업비트, 버그바운티 3차 참가자 모집 外
업비트가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버그바운티) 3차 참가자를 모집한다. 최대 포상금은 2억원으로 대폭 인상됐으며, 신청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상시 모집으로 운영된다.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티오리와 ‘업비트 버그바운티 프로그램’ 3차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버그바운티는 서비스 또는 제품의 보안 취약점을 발굴해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다.두나무는 티오리와 함께 2022년 12월부터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3차 업비트 버그바운티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12월 14일 오전 10시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다.3차 업비트 버그바운티는 보안 전문
-
[IT이슈] 플레이오토, 카카오톡스토어에 셀러를 위한 전용 웹솔루션 공급 外
이커머스 전문기업 커넥트웨이브(119860 대표집행임원 이건수)는 쇼핑몰 통합관리 솔루션 '플레이오토'가 카카오톡스토어에 셀러를 위한 전용 웹솔루션을 공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웹솔루션 공급의 핵심은 카카오스토어의 셀러들이 상품 등록과 재고관리, 상품수정 등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플레이오토가 카카오톡스토어 전용 웹솔루션을 개발해 서비스하는 데 있다.이에 따라 카카오톡스토어 셀러들은 카카오톡스토어 어드민을 통해 플레이오토가 공급한 웹솔루션에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반복 작업이나 프로그램 사용 없이 상품 자동 등록, 재고관리, 상품수정 등이 가능해졌다. 플레이오토의 웹솔루션은 이미 쿠팡, 지마켓,
-
[IT이슈]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이사, ‘국회의장 공로장’ 수상 外
디지털헬스케어 전문 기업 라이프시맨틱스의 송승재 대표이사가 국회의장 공로상을 수상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지난 5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올해의 벤처상’ 행사에서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선진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송승재 대표가 국회의장 공로장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송승재 대표는 그동안 규제 산업 분야인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발전을 위해 벤처기업협회 내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위원회'를 구성하고 정책기반 마련 및 규제개선에 있어 위원장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벤처기업 발전 기반 조성에 큰 기여를 해 왔다. 이어 AI 및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해 국
-
[IT이슈] 메이크샵, 딥픽셀과 가상 피팅 업무협약 外
이커머스 전문기업 커넥트웨이브(119860 대표집행임원 이건수)의 전자상거래 통합 솔루션 메이크샵이 가상 피팅 솔루션 스타일AR 전문기업 딥픽셀과 가상 피팅(Virtual Fitting)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파크원에 위치한 커넥트웨이브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메이크샵 김상혁 사업대표와 딥픽셀의 이제훈 대표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했다.국내외 이커머스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개인화된 새로운 쇼핑 경험 갈망에 따른 가상피팅 시장 규모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상 피팅(Virtual Fitting)은 소비자가 가상으로 의류, 신발, 모자 등 다양한 상품을 적용해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