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차바이오텍, ‘중배엽 세포 분화 유도 방법’ 특허 획득
차바이오텍이 지난 3일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중배엽(mesoderm) 세포로 균일하게 대량으로 분화하도록 하는 용기 제작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차바이오텍의 이번 특허는 배양 용기 안에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수준인 미세한 구멍(nanopore, 나노포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 배양 용기 안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중배엽(mesoderm) 세포로 분화를 유도해 배양하게 된다.차바이오텍의 특허 기술을 이용하면 특별한 공정이나 첨가물, 세포 조작 없이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 특허를 활용한 나노포어가 삽입된 세포 배양용기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에 영향을 줘 균
-
분당서울대병원-강스템바이오텍, MOU 체결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지난 28일 강스템바이오텍과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재생의약품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양 기관은 첨단재생바이오법의 시행에 따라 재생의학센터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첨단재생의료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하던 중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제반 인프라 구축에 협력하고, 강스템바이오텍의 제대혈 줄기세포치료제를 이용한 공동연구에 대해서도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생의학센터는 지난해 4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
-
차바이오텍, 퇴행성 허리디스크 세포치료제 임상 2a상 첫 환자 투여
차바이오텍은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퇴행성 허리디스크 세포치료제 'CordSTEM-DD'에 대한 임상 2a상 첫 환자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7일 밝혔다.차바이오텍에 따르면 2a상 임상시험에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CordSTEM-DD’의 유효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2a상 임상시험에는 분당차병원을 비롯해 경희대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아주대병원 등 국내 주요 병원의 신경외과 교수가 참여한다.차바이오텍은 임상2a와 투여용량 결정을 위한 임상 2b와 3상을 거쳐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품목허가와 더불어 기술수출(Licence out), 해외임상 등 해외진출도 적극적으로 병행할 예
-
플랜트건설노조 울산지부,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북항사업 문제 해결 촉구 천막농성 돌입
전국플랜트건설노동조합 울산지부는 4월 27일 오후 2시 울산시청 정문 앞에서 "울산지역민 고용배제, 울산시민 죽어난다"며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북항사업 문제 해결을 위한 천막농성 돌입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밝혔다.기자회견은 이문세 지부장의 기자회견문 낭독, 울산건설기계지부 장현수 지부장의 연대발언, 북항사업 건설현장 지역민 고용관련 문제점 설명 등으로 진행됐다.울산지역 플랜트 건설노동자의 일자리는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울산지역의 공사가 무기한 연기되면서 건설일용직 노동자들은 일거리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려운 울산경제 여건 속에서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북항사업은 울산 건설노동자의 일자
-
‘판교 제2테크노밸리 판교IT센터’ 5월 분양 예정
미래형 디벨로퍼(부동산 개발회사) HMG의 모태가 되는 프런티어마루가 시행하고, 금호건설이 시공하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 판교IT센터’가 5월 분양에 돌입한다. 판교 제2테크노밸리 판교IT센터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판교 제2테크노밸리 산업용지 E2-1블록에 연면적 3만8323㎡, 지하 4층~지상 6층 규모로 조성된다.판교 제2테크노밸리 판교IT센터는 미래가치 높은 판교 제1·2·3테크노밸리의 중심 입지를 선점하면서 산업 연계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인근 KT, 차바이오텍, 인터파크 등 유수 기업과 I-Square, 경기기업성장센터, 판교기업성장센터, 글로벌ICR융합 플래닛, 글로벌비즈센터 등도 들어설 예정이다. 향후 판교 테크노
-
차바이오텍, 퇴행성디스크 세포치료제 임상 1상 완료
차바이오텍은 탯줄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한 퇴행성디스크 세포치료제 'CordSTEM®-DD'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이번 1상 임상시험에서 차바이오텍은 퇴행성 요추 추간판으로 인한 만성 요통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을 평가해 ‘CordSTEM®-DD’가 안전한 세포치료제임을 확인했다.차바이오텍은 1상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4월 중 ‘CordSTEM®-DD’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2a상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2a상 임상시험에는 분당차병원 한인보 교수를 비롯해 경희대학교병원 김승범 교수, 고려대학교구로병원 김주한 교수, 서울성모병원 김진성 교수, 서울아산병원 전상용 교수,
-
차바이오텍-SCM생명과학, 세포치료제 생산 및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차바이오텍은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인 SCM생명과학과 골수유래 세포치료제 완제품 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차바이오텍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자회사인 차바이오랩의약품제조시설을 통해 SCM생명과학이 개발중인 ‘SCM-AGH’, ‘SCM-CGH’ 품목을 생산하게 된다. 이번 위탁생산 계약으로 앞으로 출시되는 상업용 제품까지 확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해당품목은 현재 2상 임상시험중인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SCM-CGH) 및 2a상 임상시험중인 급성췌장염(SCM-AGH)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아 임상 2상 종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 유력한 치료제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SCM생명과학은 자체 상
-
분당차병원 연구진, 재발성 교모세포종 면역세포치료법 개발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본원 신경외과 조경기∙임재준 교수팀이 환자의 혈액에서 배양한 NK면역세포치료제 CBT101로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이 연장된 것을 확인하고 혈관을 통해 활성화된 면역세포치료제가 종양 주변으로 이동해 면역반응을 증진, 비정상적인 암세포를 제거한다는 치료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임상의학 국제학술지 플러스 원(PLOS ONE)에 3월 10일자로 게재됐다.뇌종양의 일종인 재발성 교모세포종은 기존 치료제가 잘 듣지 않고 암 진행이 빨라 평균 생존기간이 6~8개월 정도에 불과한 난치암이다. 분당차병원 조경기∙임재준 교수팀은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 14명에게 자가
-
차바이오텍 美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 텍사스 A&M 대학과 공동연구협약 체결
차바이오텍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마티카 바이오)는 미국 텍사스 A&M대학교 제조개발혁신센터와 포괄적 공동연구협약(Master Research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마티카 바이오는 이번 공동연구협약을 통해 세포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바이럴벡터를 비롯해 플라스미드 DNA, 단백질 등에 대한 공동연구를 텍사스 A&M대학교 제조개발혁신센터와 진행하게 된다.마티카 바이오에 따르면 텍사스 A&M대학교 제조개발혁신센터는 유행병을 비롯한 국가적 차원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필요한 백신이나 치료제 등을 개발, 생산하는 기관이다. 텍사스 A&M대학교 는 생명공학 분야 평가에서 미국 내 4위를 기록
-
[사회공헌활동] 권광석 우리은행장, 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챌린지 참여
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은 지난 24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권광석 우리은행장이 직원들과 함께‘어린이 교통안전 릴레이 챌린지’에 참여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공익 캠페인은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참여자가 교통안전 슬로건을 SNS에 게시하고 다음 릴레이 참여자를 지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권 행장은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의 지명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동참했으며, 직원들과 함께‘1단 멈춤! 2쪽 저쪽! 3초 동안! 4고 예방!’교통안전 슬로건을 들고 사진을 찍어 우리은행 공식 SNS에 게시했다.더불어, 권 행장은 다음 릴레이 참여자로 우리은행 대표 고객인 홍종식 금전기업 회
-
차바이오텍, 美 바이럴벡터 생산시설 구축
차바이오텍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 Inc., 이하 마티카 바이오)’는 현지시간 23일 오전 10시 cGMP 시설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미국 FDA가 인정하는 의약품 품질관리 기준으로 '선진GMP'다.미국 텍사스 칼리지스테이션 시에 위치한 생산시설 부지에서 개최된 이 날 기공식에는 칼 무니(Karl Mooney) 칼리지스테이션 시장, 매트 프로차스카(Matt Prochaska) 브라조스 밸리 경제개발조합 대표 등 지역사회 및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마티카 바이오는 지난해 12월 칼리지스테이션 시 텍사스 A&M 대학교 캠퍼스 존(zone)에 공장 부지
-
차바이오텍 계열사 서울CRO, 박관수 대표이사 영입
차바이오텍의 계열사이자 임상시험 전문수탁기관인 서울CRO는 박관수 신임 대표이사를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박관수 대표이사는 중앙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약물학을 전공했다. 이후 LG생명과학, 대웅제약, 현대약품 등 국내외 제약사에서 의약품 개발 및 임상을 포함한 제약분야에서 37년 동안 근무한 임상연구 분야 전문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KCROA(한국임상CRO협회) 회장을 지냈다.박관수 대표이사는 "인적자원 개발, 전문역량 강화,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축, 능동적 커뮤니케이션 등을 통해 국내외 임상시험, 허가 등의 분야에서 요구되는 의약품 개발사들의 다양한 요청에 부응해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
-
유한양행–삼성서울병원–아임뉴런 공동협력 MOU 체결
유한양행은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아임뉴런바이오사이언스와 신개념 치료기술 및 혁신신약 개발 연구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이번 MOU는 희귀 난치 질환 분야 환자에 대한 맞춤형 정밀의학 실현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세 기관은 ▲뇌질환, 유전자질환, 암 등 난치질환의 환자 맞춤형 정밀의학 관련 의료 및 보건학술 , 기술정보 교류 ▲신개념 치료기술을 통한 과제발굴 및 공동연구 ▲혁신신약 공동개발 상호협력을 추진한다"며 "‘병원•바이오벤처•제약회사’의 공동 협력 목표인 희귀•난치질환 분야 환자 맞춤형 신개념 치료법의 제시는 기초연구부터 중개•임상연
-
김정문알로에, 모발 분석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
김정문알로에가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진출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5일, 김정문알로에는 자회사인 의학·약학 연구개발기업 케이제이엠바이오와 모발 분석 전문기업인 건세바이오텍과 함께 ‘개인별 모발 분석 서비스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의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 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은 각 사가 보유한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및 사업화 역량, 모발 분석 기술 등에 대한 상호 교류 체계를 구축하고, 공동연구개발 및 업무협력 등을 통해 세분화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
-
에이치엘비의 이뮤노믹,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행사 참가
에이치엘비의 자회사 이뮤노믹 테라퓨틱스(Immunomic Therapeutics, Inc.)가 1월 11일(현지시간)부터 14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2021’에 참가하고, 1월 11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으로 열리는 ‘BIO Partnering at JPM(BIO@JPM)’과 ‘바이오텍 쇼케이스 2021’에도 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행사를 통해 교모세포종(악성 뇌종양) 파이프라인에 대한 구체적인 진행 계획을 밝힐 계획이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