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제노포커스, 항산화 효소 SOD기반 COVID-19 감염증 치료제 특허 출원
제노포커스는 신약으로 임상개발중인 항산화효소 SOD(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Superoxide dismutase)와 그 변형체로 COVID-19 감염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COVID-19 감염동물 모델인 시리안 햄스터 실험에서 확인하고 특허를 출원하였다고 24일 밝혔다. 제노포커스는 GF423 균주에서 유래된 항산화효소 SOD의 항염증 기능을 입증하였고, SOD 변이체인 GF-103을 활용하여 노인성 황반변성(Wet-AMD), 염증성 장질환(IBD) 등 다양한 병증에 대해 신약개발을 진행중이다. 또한 지난 8월에는 SOD에 대해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미국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승인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금번 특허 출원은 SOD와 그 변
-
제노포커스, 코로나 진단용 필수 효소 Proteinase-K 개발 완료
제노포커스는 코로나19 분자진단에 사용되는 필수 효소로써,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Proteinase K 생산기술을 개발하였다고 26일 밝혔다.코로나19는 ‘실시간 역전사 유전자 증폭검사(RT-PCR,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를 통해 진단하게 되는데, 의심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에서 총 RNA를 추출하고 역전사 효소(RTase, Reverse Transcriptase)로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한 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증폭·검출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한다. 진단 키트 내의 프라이머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cDNA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유전자를 증폭하므로 검체 내
-
제노포커스, 자체 개발 항산화 효소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OD) 미국 GRAS승인
제노포커스(187420, 대표이사 김의중)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미생물 유래의 항산화 물질인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OD, Superoxide Dismutase)의 미국 메디컬푸드 시장 진입을 위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승인을 받았다고 3일 밝혔다. SOD는 체내 존재하는 효소로써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와 함께 인체의 배기가스라 불리우는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제거하여, 신체의 항산화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활성산소는 담배, 스트레스, 약 부작용, 오염된 음식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데 현대인의 급속한 생활패턴 변화로 인해 그 요인이 다양하고 세부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활
-
[로&스탁] 제노포커스, 110억원 규모 공급 계약 체결
제노포커스(187420, 대표이사 김의중)는 영국 최대 유제품 업체인 D사와 갈락토올리고당(GOS, galacto-oligosaccharides) 합성용 효소인 락타아제 (Lactase)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7월 14일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5년으로 제노포커스는 올해 7월부터 공급을 시작해 2025년까지 향후 5년간 최소 약 110억원(912만달러) 규모의 효소를 공급하게 된다. 제노포커스의 락타아제인 락타자임B(Lactazyme B) 제품은 모유내 올리고당 (HMO, Human milk oligosaccharide)와 유사한 갈락토올리고당을 유당(lactose)으로부터 높은 수율로 전환하는 바이오 촉매이다. 2016년 11월 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먹어도 안전한 수준의 GRAS 로 인정받았으
-
제노포커스, 코로나 백신 컨소시엄 구성
바이오전문기업 제노포커스(KOSDAQ 187420)가 카이스트, 연세대학교, 국제백신연구소 등 국내 대표 연구기관과 손잡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 백신개발에 나섰다. 6월 1일 제노포커스는 국제백신연구소, 옵티팜, 휴벳바이오, 와이바이오로직스, 바이넥스, 제넨바이오, 카이스트, 연세대분자설계연구소 등 8개 기관과 함께 코로나19 점막면역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통상 백신은 주사로 항원(원인 병원균 또는 관련 물질)을 투여해 병원균에 대응하는 IgG(면역글로불린 G) 중화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병원균을 막아낸다. 인체 내 면역체계가 ‘병원균 대응 모의전쟁’을 치르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