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엔지켐생명과학, 美 FDA에 코로나 치료제 개발 Pre-IND 미팅 신청
엔지켐생명과학이 美 FDA에 신약물질 'EC-18'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Pre-IND 미팅을 신청, 미국 임상2상이 본궤도에 진입했다.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신약물질 'EC-18'의 COVID-19 작용기전 치료제 개발에 앞서, 임상 및 신약개발 전반에 걸친 시험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 첫번째 단계인 Pre-IND 미팅을 신청했다고 21일 밝혔다. 'Pre-IND 미팅'은 임상시험계획(IND) 신청 전에 미국 FDA와 개발 준비 상황 및 관련 임상계획, 시험 디자인 등이 적응증에 적합한지, 인체 대상 임상시험 개시에 충분한 자료를 확보했는지 등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내용을 검토, 조율하는 절차다
-
엔지켐생명과학, 코로나19 美 임상시험책임자(PI)로 듀크大 임상의학 '울프' 교수 전격 영입
엔지켐생명과학이 미국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핵심오피니언리더(KOL)로 코로나19 및 호흡기 바이러스 분야의전문가인 美 듀크大 '카메론 로버트 울프' 교수를 전격 영입, 코로나19 글로벌 치료제 개발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신약물질 'EC-18'의 코로나19 글로벌 치료제 美 FDA 임상을 위해 미국의 COVID-19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 및 치료제 개발을 지휘하고 있는 美 듀크 의대 '카메론 로버트 울프'(Cameron Robert Wolfe) 교수를 영입, 코로나19 글로벌 치료제 개발 임상 핵심오피니언리더(KOL)와 임상시험책임자(PI)로 임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울프' 교수는 현재 듀크 의과대학 임상의학전공
-
엔지켐생명과학, 코로나19 치료제 식약처 임상2상 IND 승인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EC-18'(PLAG)이 제약-바이오 업체 가운데 국내에서 첫 번째로 first-in-class의 단독 치료물질 후보로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코로나19(COVID-19) 치료제 임상2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식약처가 EC-18이 코로나19 환자의 사망을 초래하는 1위 합병증 '사이토카인 폭풍'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잡는다는 점에 주목해, 이번 코로나19 치료제 IND를 신속하게 승인해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함께 급성폐손상, 패혈증,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Efferocytosis(대식세포에 의한 죽어가는 세포 제거 과정) 작용기전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논문과 효능을 입증하는 다양한 실험 데이터가
-
엔지켐생명과학, EC-18 코로나19 치료제 美 임상 추진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이 신약물질 'EC-18'의 코로나19(COVID-19) 제거 작용기전효과를 기반으로, 美FDA에 EC-18의 IND 신청을 서두르는 등 한국과 미국에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준비에 본격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 미국법인 조도현대표는 “NASA 우주건강중개연구소(TRISH) 의료대응조치 연구 일환으로 EC-18의 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의 여러 대학 연구기관들과 공동연구를 실시, 예비 연구결과에서 ‘클로로퀸’ 보다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등 코로나19 감염병 치료제로서 기대감이 높아 미국 현지에 '코로나19 전담 TF팀'을 구성하고 美 FDA에 IND 제출을 준
-
엔지켐생명과학, EC-18 항COVID-19 작용기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본격화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신약물질 EC-18 항COVID-19 작용기전의 치료제로서 신약물질 EC-18의 효과에 대해 국내 치료제 임상, 미국 정부 관계기관들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3일 미국 보건성(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산하 생의학연구개발청(BARDA)의 의료대응조치(MCM) COVID-19 프로그램에 참여 신청했다. 또 코로나바이러스의 피해가 큰 중국과 한국 등의 정부기관 및 연구기관들과 EC-18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도 활발히 추진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COVID-19은 사람을 통한 높은 전염력과 발열, 호흡기증상
-
엔지켐생명과학 'EC-18', 美암학회서 면역항암제 병용효과 발표
엔지켐생명과학이 오는 4월 열리는 미국 암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신약물질 EC-18의 면역항암제 병용효과 및 항암방사선 유발 구강점막염 개선효과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183490)은 4월 24~29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의 '2020 AACR Annual Meeting' 학회에서 신약물질 EC-18의 면역항암제 병용효과 및 항암방사선 유발 구강점막염의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성과 등 2건이 발표 연제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AACR)는 전세계 4만여명의 암관련 의료인, 제약계 전문가를 회원으로 거느린 세계 최고 권위의 암학회로, 매년 미국에서 전세계 2만여명의 암
-
엔지켐생명과학, JP모건 컨퍼런스서 '2020년 글로벌 신약 개발 성과 마일스톤' 제시
엔지켐생명과학이 JP모건 컨퍼런스에서 세계적인 빅파마들과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하는 등 EC-18(피엘에이지)의 글로벌 라이센싱 결실이 구체화 되고 있다.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1월 13일부터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바이오 투자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다수의 빅파마들과 EC-18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기술이전을 위한 비밀유지협약(CDA)을 체결, 이 중 일부는 세부적 기술실사(due diligence) 단계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글로벌 제약, 바이오업계 대표기업을 초청해 투자자들에게 지난해 성과와 올해 계획을 발표하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행사로,
-
엔지켐생명과학 EC-18, 美 정부 수행 방사선 피폭 연구서 5배~13배에 가까운 생존율 입증
엔지켐생명과학의 신약물질 'EC-18'이 美 정부가 수행한 방사선 피폭 실험에서 실험 동물들의 생존율을 5배~13배 가까이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지난 7월부터 미국 국립보건원(NIH)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연구원 (NIAID)의 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을 통해 방사선 피폭에 대한 대응실험이 진행돼 왔으며, 이를 통해 방사선 피폭 실험쥐들의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5배 개선되는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특히 암컷 실험쥐에서는 생존율이 13배까지 개선되는 결과가 도출됐다. 이 정도의 개선효과는 해당 영역에서는 대단히 획기적인 것으로 받아들
-
엔지켐생명과학, EC-18 호중구감소증 치료법 美 특허 등록
엔지켐생명과학이 신약물질 EC-18의 호중구감소증(CIN) 치료방법에 대한 미국 특허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EC-18의 '호중구감소증(CIN) 치료방법'에 대한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특허로 엔지켐생명과학은 2035년까지 미국에서 EC-18을 이용한 호중구감소증 치료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보장받게 됐다. 기존 호중구감소증 치료제는 암세포에 많이 발현되는 G-CSF 수용체 문제를 풀지 못한 상태로, 혈액암, 방사선 병합치료시의 엄격한 사용제한이 있어, 경구용 치료제로 적용가능한 새로운 기전의 신약물질 'EC-18'이 유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엔지켐생명과학, EC-18 호중구감소증 치료법 美 특허 등록
엔지켐생명과학이 신약물질 EC-18의 호중구감소증(CIN) 치료방법에 대한 미국 특허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EC-18의 '호중구감소증(CIN) 치료방법'에 대한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특허로 엔지켐생명과학은 2035년까지 미국에서 EC-18을 이용한 호중구감소증 치료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보장받게 됐다. 기존 호중구감소증 치료제는 암세포에 많이 발현되는 G-CSF 수용체 문제를 풀지 못한 상태로, 혈액암, 방사선 병합치료시의 엄격한 사용제한이 있어, 경구용 치료제로 적용가능한 새로운 기전의 신약물질 'EC-18'이 유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엔지켐생명과학, 美 국방부 방사선 피폭치료제 개발기업에 선정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이 한국 제약사로는 이례적으로 미국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가 바이오테러, 핵발전소 사고 등 긴급의료대응체계를 위해 개발비를 지원하는 방사선피폭 치료제 개발기업으로 선정됐다. 코스닥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183490)은 급성방사선증후군(ARS) 글로벌 임상2상을 진행중인 신약물질 'EC-18'이 미국 국방부(DoD)와 미군 방사선 생물학 연구소(AFRRI)가 바이오 테러, 핵발전소 사고 등 위급상황에 대비해 긴급의료용 신약개발을 지원하는 美 국방부 의료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됐다고 AFRRI의 보고게재 승인을 득해 18일 공식 발표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AFRRI 심의위원회(ISPC)에서
-
엔지켐생명과학 '록피드' 건강식품박람회 '비타푸드'서 20여 기업 러브콜 받아
엔지켐생명과학의 피엘에이지(PLAG) 면역조절 기능식품 '록피드'가 건강식품업계 최고 전시회로 손꼽히는 '2019 비타푸드 아시아'에서 전세계 20여 바이오, 식품, 유통사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다. 코스닥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183490)은 지난 9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비타푸드 아시아'에 면역조절 기능식품 '록피드'를 출품, 탁월한 면역조절 기능과 효능을 앞세워 이틀만에 20여 해외기업으로부터 상담 및 샘플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비타푸드'(Vitafoods)는 매년 5월과 9월에 스위스 제네바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 최고의 건강기능식품 B2B 전시회로, 향후
-
엔지켐생명과학, 신약물질 'EC-18' 췌장 베타세포 보호 기전에 의한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효과 확인
엔지켐생명과학의 신약개발물질 'EC-18'이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해 인슐린 분비를 정상화하며, LPL 활성을 유지해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신약개발물질 ‘EC-18’이 당뇨 및 지방간 유발동물모델에서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해, 비정상적인 혈중 인슐린과 당의 수준을 정상으로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베타세포가 파괴되면 당뇨는 물론 지방간 등과 같은 대사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연구결과는 엔지켐생명과학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것으로, 국제적 학
-
엔지켐생명과학, 美 방사선연구학회 논문 등재 'EC-18' 방사선 피폭 치료제로 주목
엔지켐생명과학의 신약개발물질 'EC-18'이 급성 방사선 조사 후 생존율과 혈액학적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비임상 연구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인 美 방사선연구에 등재됐다.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183490)은 지난 20일 신약개발물질 'EC-18'이 급성 방사선에 노출된 후의 생존율과 혈액학적인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비임상 연구 논문을 세계 최고 권위의 美 방사선연구학회 공식 저널인 '방사선 연구'誌에 등재됐다고 26일 발표했다. 미국방사선연구학회(RADRES, Radiation Research Society)는 1953년 설립된 세계 최고 권위의 방사선 관련 학술단체다. 생물학, 화학, 물리학 분야의 방사선 연구를 총망라하며, 산하에
-
엔지켐생명과학 NASH 비임상결과 미국간학회 발표 선정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 손기영,183490)은 오는 11월 8~12일에 걸쳐 보스턴에서 열리는 미국간학회(AASL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에 신약개발물질 EC-18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과 간섬유화(Hepatic fibrosis) 치료 효과가 발표 연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발표 연구 제목은 ‘Novel 염증해결촉진자 EC-18, 비알코올성 지방간염과 간섬유화 개선(EC-18, A NOVEL IMMUNE RESOLUTION ACCELERATOR, IMPROVES NASH AND LIVER FIBROSIS)’이다.미국 간학회는 간에 대한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진보해 사람들의 간 건강과 간 질환 치료를 발전시킨다는 미션 아래 1950년 설립된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