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서울반도체, ‘Micro Clean LED (마이크로 클린 LED)’ 선보여
글로벌 LED 전문 소재 기업 서울바이오시스㈜(대표이사 이영주)와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는 1월 7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에서 신개념 디스플레이 제품인 ‘Micro Clean LED (마이크로 클린 LED)’를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서울바이오시스가 주도적으로 개발한 신개념의 Micro Clean LED는 해상도 4K TV 42인치부터 220인치까지를 1개의 픽셀(pixel)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양산 준비를 마침과 동시에 이번 CES 2020을 통해 선보인다.서울바이오시스는 RGB 3색 모두의 EPI기판 성장을 위한 MOCVD부터 그동안의 난제였던 소형 마이크로(µ) 단위의 RGB 칩(Chip)을 전사(Transfer) 하는 기술까지 확보하고
-
서울반도체 자연광 스펙트럼 LED ‘썬라이크(SunLike)’ 블루투스 기반 유럽 스마트 조명 브랜드에 탑재
글로벌 LED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무선제어시스템 전문기업인 유럽 소재 카삼비 테크놀로지스(Casambi Technologies Oy)와 기술 협력해 자연광 스펙트럼 LED ‘썬라이크(SunLike)’가 적용된 스마트 조명 설계를 개발, 이탈리아 조명 브랜드 ‘포마 라이팅(Forma Lighting Ltd.)’의 신규 제품라인에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반도체 썬라이크 칩온보드(COB, Chip on Board) LED 패키지가 적용된 포마라이팅 스마트 조명은 트랙 장착형 스포트라이트(Spotlight)이다. 모델 ‘모토-제로 40 콤파소(Moto-Zero 40 Compasso)’는 세계 유일의 초소형 전동식 조명이며, ‘모토-제로 66 줌(Moto-Ze
-
서울반도체, 5G 통신용 반도체 및 스마트폰 카메라 관련 특허경매 마감기한 내년 2월 28일까지 연장
글로벌 LED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는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반도체, 스마트 조명 및 고출력 LED 패키지 특허 포트폴리오의 경매기한을 2020년 2월 28일까지 연장한다고12일 밝혔다. 서울반도체 이정훈 대표이사와 세티 김재헌 대표이사는 “올해 11월 경매 시작과 함께 관련 업계 참여율이 높은 가운데, 리스트에 포함된 250여 개 특허기술을 면밀히 검토할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잇달았다”며 “이에 회사는 시장의 요청에 따라 당초 마감기한을 올해 12월 16일에서 내년 2월 28일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첫 번째 경매에 오른 특허는 5G 통신용 반도체 응용기술로,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
-
서울반도체, 5G 통신용 반도체 및 스마트폰 카메라 관련 특허 경매
글로벌 LED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는 5G 송수신 모듈 등에 적용되는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반도체, 스마트 조명 및 고출력 LED 패키지 특허 포트폴리오를 독일 지적재산권 플랫폼인 ‘굿아이피’를 통해 공개 경매한다고 26일 밝혔다.첫 번째 경매에 오르는 특허기술은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반도체 부품인 질화갈륨(Galium Nitride) 기반의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 등과 관련된 55개 미국 특허를 포함한 총 98개이다. 그중 3개 특허는 미국 육∙공군이 라이선스를 부여받은 기술로 그 실용화를 이미 검증한 바 있다.해당 특허는 서울반도체 관계사인 미국 UV LED 전문기업 ‘세티(SETi, Sensor
-
서울반도체, 日 광확산렌즈 제조기업 상대로 특허 싸움에서 최종 승리
글로벌 LED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는 2013년부터 진행된 일본 렌즈 제조기업 엔플라스(Enplas Corporation)와의 TV 백라이트유닛(BLU)용 광확산렌즈에 대한 특허소송에서 최종 승리했다고 21일 밝혔다.미국연방대법원은 최근에 엔플라스의 상고를 기각하고, 엔플라스가 서울반도체의 렌즈 특허기술을 고의로 침해했다며 연방항소법원의 판결을 확정했다. 이번 판결은 지난 6년 동안 이어온 한국과 일본 기술 전문기업 간의 특허소송에서 미국연방대법원이 최종적으로 서울반도체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광확산렌즈 기술이 서울반도체의 원천특허이며 엔플라스가 고의침해했음을 인정받았다는 점이 주목할만하다.서울반도체 이정훈
-
서울반도체, 3분기 경영 실적발표...매출 2834억원, 영업이익 120억원
글로벌 LED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가 2019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서울반도체에 따르면 3분기 매출액은 2834억 원, 영업이익은 120억 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 326억 원을 기록했다.매출액은 회사가 제시한 매출 가이던스 범위 2800~3000억 원을 충족했다. 영업이익은 지난 2018년(281억원) 동기 대비 57% 감소한 120억 원을 기록했고,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326억 원을 달성했다고 전했다.IT 부문은 TV 대형화와 디스플레이 슬림화 추세에 따른 WICOP 제품의 공급 확대가 매출 방어에 기여했다. 일반조명 부문은 업계의 재고 누적에 따른 가격 하락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알려
-
[로&스탁] 서울반도체 "필립스 TV 미국에서 영구 판매금지 판결"
글로벌 LED 기술 리딩기업인 서울반도체는 미국 텍사스 법원에 프라이즈일렉트로닉스(Fry's Electronics)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소송에서 업계 TOP 브랜드인 필립스 TV 제품과 미국 3대 조명사인 파이트(Feit)의 제품 등의 영구 판매금지 승소 판결을 받는 쾌거를 이뤄냈다고 22일 밝혔다.서울반도체에 따르면 이번 소송에는 LED 광원의 효율과 신뢰성 등 제2세대 기술 중심의 19개의 특허가 사용됐다. 해당 기술이 사용된 제품들은 필립스 외에도 다수의 TV는 물론 벌브 등 조명 제품 등이다.이 소송에 사용된 특허는 LED TV 및 전구 제조에 사용되는 총 19개의 핵심기술이다. 0.5W~3W급의 미드 파워 패키지(Mid-Power Package), 범용 기술인 ‘
-
키움증권 “서울반도체, 베트남 공장 비용으로 상반기는 과도기”
키움증권은 서울반도체(046890, 전일 종가 1만9450원)가 베트남 공장의 비용 요인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상반기 실적을 거둘 것이며, 하반기 이전까지는 과도기적 상황이라고 20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3만4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서울반도체의 1분기 영업이익은 144억원(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 전 분기 대비 29% 감소)로 시장 기대치인 203억원을 하회할 전망이다. 베트남 공장 본격 가동과 더불어 고정비 부담이 커진 가운데 초기 생산 안정화 비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베트남 공장에 기반해 일반 조명 매출이 확대되는 대신, 고부가 사업인 자동차 조명
-
키움증권 “서울반도체, 지난 분기 부진에도 올해 최대 성과 기대”
키움증권은 서울반도체의 지난 4분기 실적이 시장기대치를 하회했지만 매출액이 성장한 점을 들어 올해 양호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31일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3만4000원을 유지했다. 서울반도체의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은 200억원(전년 대비 2% 하락)으로 시장 기대치였던 260억원을 하회했다. 키움증권은 일반 조명과 TV부문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환율 변동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이로 인해 영업외적으로 대규모 외환손실이 일어나 세전이익이 소폭 적자로 전환했다고 평했다. 그럼에도 매출액이 2827억원(전년 대비 17% 상승)로 고성장세를 기록하며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는
-
서울반도체, 아크리치 기술 도용 기업에 특허 소송 제기
서울반도체와 자회사인 서울바이오시스는 자사의 아크리치(Acrich) 기술을 침해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미국의 LED 조명회사 아치펠라고(Archipelago Lighting, Inc)사를 상대로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반도체는 소장에서 아치펠라고가 판매하는 필라멘트 LED전구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LED전구들이 서울반도체의 아크리치 관련 특허 12개를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침해된 서울반도체의 아크리치 특허들은 고전압 (High Voltage) 구동 LED 드라이버 기술, 멀티 칩 제조 및 실장 기술(MJT: Multi-Junction Technology), LED 패키징, 필라멘트 LED 제조기술, LED 에피층 성장 및 칩 제조기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