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교육

국내 연구진, 손상된 난자 DNA 복구 기전 규명

2023-04-20 19:48:56

감수분열 동안 난자에서 일어나는 DNA 손상 복구 반응 모델. 사진=한국연구재단이미지 확대보기
감수분열 동안 난자에서 일어나는 DNA 손상 복구 반응 모델. 사진=한국연구재단
[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연구진이 난자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해 DNA 손상으로 인한 난자의 질 저하를 예방하고, 보조생식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성균관대학교 오정수 교수 연구팀이 난자에서 특이적으로 일어나는 DNA 손상 복구 기전을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여성은 평생 사용할 난자를 난소에 품고 태어난다. 난자는 난소에서 오랜 기간 감수분열 초기 단계에 멈춰 있기 때문에 체세포에 비해 DNA 손상에 취약하다. 또한 보조생식술 시 난자의 체외배양 과정에서 활성산소가 증가돼 DNA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손상된 DNA를 가진 난자는 배아 발달이 저해되고, 난임과 불임, 유산, 기형아 출산 등의 위험이 높다.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는 유전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손상된 DNA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난자도 DNA 손상을 감지하고 복구하는 기전이 있음을 보고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난자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기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연구팀은 난자의 성숙 과정에서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MDC1과 TOPBP1 단백질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이들 인자들이 평소에는 난자의 방추극에 모여 있다가 DNA 손상이 가해진 후에 염색체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면서 난자에서 특이적으로 발생하는 DNA 손상 복구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난자가 성숙 과정에서 DNA 손상이 발생하면, 염색체와 방추사가 상호작용하여 DNA 복구에 필요한 인자들을 방추극에서 방추사-동원체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염색체로 이동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DNA 손상복구 인자의 이동이 CIP2A 단백질을 매개로 일어나며, PLK1 인산화 효소를 통해서 제어됨을 규명했다.

오정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여성의 생식력을 보존하기 위한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며 “앞으로는 난자의 DNA 손상 복구 능력을 제어하여 난자 노화 및 질 저하를 예방하고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보호연구사업과 대학중점연구소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핵산 연구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액시드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에 3월 31일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