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일반사회

울산지법, 부서이동 조건 강성 대의원 불출마 회유 대기업 간부 벌금 400만 원

2022-01-18 06:30:00

울산지법 전경.(사진=전용모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울산지법 전경.(사진=전용모 기자)
[로이슈 전용모 기자] 울산지법 형사6단독 김도영 판사는 2022년 1월 13일 강성 대의원으로 활동했고 제29대 대의원 선거 당선이 유력했던 조합원 E와 면담을 하던 중 부서이동을 조건으로 노조 대의원 선거에 출마하지 않도록 회유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피고인 A에게 벌금 400만 원을 선고했다(2021고단1087).

김도영 판사는 이 사건 범행은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3권을 제약하거나 침해하는 것으로서 이에 상응하는 처벌이 필요하다. 다만, 피고인이 처벌전력 없는 초범인 점 등을 참작했다.
회사측에서는 강성파인 E의 대의원 활동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므로, E가 대의원 선거 후보에서 사퇴하게 하도록 할 유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보면 피고인 A의 행위는 노동조합의 운영에 개입한 것으로 충분히 평가 할 수 있다며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했다.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된다. 벌금에 상당한 금액의 가납을 명했다.

울산 동구에 소재지를 둔 선박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인 피고인 B주식회사는 무죄. 종업원 등이 부당노동행위로 처벌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를 고용한 법인에게 아무런 면책사유 없이 형사처벌(벌금형 양벌규정)하도록 한 것은 헌법상 법치국가원리로부터 도출되는 책임주의원칙에 반하여 헌법에 위반(위헌) 된다는 헌재의 결정 때문이다.

검사는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94조(양벌규정), 제90조(벌칙), 제81조(부당노동행위) 제1항 제4호(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 또는 운영하는 것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행위...) 를 적용하여 공소를 제기했으나, 공소사실 범행일시 및 행위시법 등에 의할 때 이 사건 공소사실에는 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1997. 3. 13. 법률 제5310호로 제정된 것) 제94조, 제90조, 제81조 제4호 본문 전단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헌법재판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1997. 3. 13. 법률 제5310호로 제정된 것) 제94조 중 ‘법인의 대리인·사용인 기타의 종업원이 그 법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90조의 위반행위를 한 때에는 그 법인에 대하여도 해당 조의 벌금형을 과한다’는 부분 가운데 제81조 제4호 본문 전단(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 또는 운영하는 것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행위)에 관한 부분은 헌법에 위반된다.”라는 위헌결정을 선고했다(헌법재판소 2019. 4. 11. 선고 2017헌가30 결정).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위 결정으로 인해 위 법률조항 부분은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단서에 의하여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했다.

사용자는 근로자가 노동조합(이하 ‘노조’라고 함)을 조직 또는 운영하는 것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노조법 제81조 제4호 전단).

피고인 A는 2011. 9.경부터 2017. 6.경까지 C 주식회사 조선사업본부 선행도장부 부서장으로 재직하며 소속 근로자의 인사, 노무관리 등의 업무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책임을 위임받아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이다.

피고인은 선행도장부 과장으로 재직하면서 노조 대응 업무의 일환으로 매년 실시되는 노조 대의원 선거에 앞서 조합원 성향, 대의원 예상 출마자, 부서의 정서 및 후보자 개별 평판 등을 분석하고 사측에 우호적인 조합원(이하 ‘합리파’라고 함)이 대의원에 당선될 수 있도록 대의원 선거 관련 전략 및 목표를 수립해 왔다.

피고인은 2017. 1. 31. 실시 예정인 제29대 대의원 선거를 앞두고 합리파 후보가 대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도록 하기 위해 제27대 및 제28대 선행도장부 강성 대의원으로 활동했고 제29대 대의원 선거 당선이 유력했던 조합원 E와 면담을 하던 중 E에게 ‘부서이동을 검토하고 있는데, 바로 답을 주긴 어렵다. 시간이 필요한데 일단 네가 대의원 선거는 안 나가야 한다.’, ‘다음 주까지 안 되면 대의원 출마를 하진 말고. 대의원 불출마로 인한 공격은 네가 좀 버텨내야 한다.’, ‘회사 입장에서 부서 이동을 위해서는 네가 조합원 탈퇴 조건을 내밀어라’, ‘회사에서는 전향해서 돌아온 사람들을 챙기는 것이 기본적인 관례다. 네가 조직에 대한 배신자지 회사의 배신자는 아니다.’는 등으로 말해 E으로 하여금 제29대 대의원 선거 후보에서 사퇴하도록 했다.

결국 피고인은 소속 부서 이동을 조건으로 E으로 하여금 대의원 선거에 출마하지 않도록 회유하는 방법으로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운영하는 것에 개입하는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피고인 A과 그 변호인은 "피고인 A와 E가 공소사실 기재와 같은 대화를 나눈 것은 사실이나, E가 부서이동을 희망하면서 상담을 요청하여 그와 같은 대화를 나눈 것에 불과하므로, 피고인 A에게 노동조합 운영에 대한 지배개입의 범의가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도영 판사는, E는 제29대 대의원 선거 후보에서는 사퇴했으나, 이후 제30대 대의원 선거에 출마해 다시 대의원으로 선출됐고, 이 법정에서 ‘자신이 대의원이 되면 회사에 안전문제 등으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것이 많으니, 다시 대의원을 해서 회사에 자신이 현 부서에 있는 것에 부담을 느끼도록 하여 부서이동을 하려고 했다’는 취지로 진술했고, 이후 자신이 원하던 대로 타 부서로 전출된 점,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보면 회사측에서는 강성파인 E의 대의원 활동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므로, E가 대의원 선거 후보에서 사퇴하게 하도록 할 유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보면 피고인 A의 행위는 노동조합의 운영에 개입한 것으로 충분히 평가 할 수 있다며 피고인의 주장을 배척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