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금융

암호화폐 강경대응은 중국자본 때문?…SNS 통해 주장 확산

2018-01-17 20:29:05

암호화폐 강경대응은 중국자본 때문?…SNS 통해 주장 확산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편도욱·심준보 기자] 암호화폐거래소 폐쇄 등 암호화폐 관련 정부의 강경한 대응이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 투자된 중국자본의 철수를 막기 위한 조치라는 글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해당 글에 대한 진위여부와 함께 글을 쓴 의도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16일 직장인 익명 SNS ‘블라인드’에 암호화폐 관련 글이 최초로 올라왔다. 자신을 은행 직원이라 밝힌 작성자는 "암호화폐 관련 최근 초 강경기조를 보이고 있는 정부 정책의 목적은 신규가입 차단이 아니라 '외국인 거래 금지'"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13일 미성년자·외국인의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시킨 바 있다.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 투자된 중국자본의 철수를 막기 위함이 정부 조치의 실제 목적이라는 것이 작성자 주장의 핵심이다.

해당 글의 작성자는 국내에서 암호화폐 이상열기로 생긴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의 원인이 중국 거래소 폐쇄 때문"이라고 전제하고 "중국 거래소 폐쇄로 인해 지리적으로 가깝고 규제 없으며 조선족을 통해 투자가 용이한 한국 암호화폐거래소로 중국 투기자본이 몰렸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 투기자본은 중국에서 채굴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가져와서 김치 프리미엄을 통해 가치를 상승시켰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가격이 정부 발표가 있던 15일을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다. 사진=빗썸이미지 확대보기
암호화폐 가격이 정부 발표가 있던 15일을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다. 사진=빗썸

실제로 지난해 12월 3일 암호화폐 비트코인을 이용한 신종 환치기 범죄를 벌인 일당이 검찰수사를 통해 검거된 바 있다. 일당들은 중국 환전상이 의뢰인으로부터 위안화를 받아 중국에서 비트코인을 사들인 뒤 국내로 전송하면, 국내 환전상이 이를 판매하고 받은 대금을 의뢰인에게 보내는 수법을 쓴 것으로 파악됐다. 즉 외국보다 30~40% 더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 국내 암호화폐의 김치 프리미엄을 이용한 신종 환치기 범죄인 것.

이같은 중국자본이 지난 11월부터 철수를 하기 시작했다고 작성자는 주장했다. 이에 따라 국내 원화는 중국으로 빠져나가고 시중에서 유통되어야 할 수조원의 자금이 암호화폐거래소에 묶이게 된 것. 이같은 상황을 감지한 정부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타격을 줄이기 위해 암호화폐 관련 강경조치를 취하게 됐다는 것이 작성자의 해석이다.

작성자는 "코인은 지금보다 가격이 더 떨어져 바닥을 형성한 후 우상향하게 될 것"이라고 글을 맺었다.

해당 게시물은 하루 만에 조회 수 2만5000회를 기록하고 400여 개의 댓글이 달렸다. 그뿐만 아니라 코인판, 뽐뿌 등 커뮤니티에 퍼져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진위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빗썸 관계자는 “실제로 중국 거래업자들이 은행 지점마다 중국으로 송금을 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업비트 관계자는 “법무부 발표 이전에도 업비트 내 해외 거주 외국인은 거래가 금지됐으며, 국내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카카오톡 계정・본인 명의 국내 핸드폰・본인 명의 국내 은행 계좌가 있어야 거래가 가능했다”며 “당시에도 외국인의 거래 비율은 전체 거래량의 0.05% 미만으로 자체 집계됐었다”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는 해당 글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의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이른바 '기획성 정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당 글은 정부의 암호화폐 관련 강경대응 방침이 보여주기식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며 "이는 정부의 정책 방향이 발표되면서 하락한 암호화폐들의 가치가 향후 상승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작성자는 ‘암호화폐 가격은 한번 바닥을 친 후 우상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을 통해 암호화폐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손절매를 막고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저지하는 것이 해당 글의 목적이라는 것이 금융업계 일각의 시각이다.

또다른 금융업계의 관계자는 "연일 암호화폐 관련 루머가 계속 확산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요망된다"고 조언했다.

편도욱 기자 toy1000@hanmail.net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