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청와대·국회

김철민, 산림자원 조성·관리법 개정안 대표발의

2017-06-02 10:01:03

[로이슈 김주현 기자] 산림인증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김철민 의원
김철민 의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철민 의원은 2일 산림청장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대한 산림경영인증과 산림에서 생산된 임산물의 우수한 품질을 증명하는 제품인증 등 산림인증을 실시할 수 있도록 법적근거를 마련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로 산림의 보호와 효과적인 관리·보존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림경영과 목재 등 임산물의 생산·유통 등 과 관련하여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산림을 건강하게 관리·보존하기 위한 노력들이 확산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국내 산림에서 생산된 임산물 등을 수출하려는 경우 수입국에서 불법채취에 따른 목재의 식별 등을 위해 산림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법적 근거에 기반한 산림인증제도가 없어 국제적인 신뢰도 저하와 수출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이 손실되고 기후변화가 심해 산림 가치를 보전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FSC(국제산림관리협의회), PEFC(국제산림인증연합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산림인증제도들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추세다.

산림인증은 독립적인 제3자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미리 정해 놓은 생태적·사회적·경제적 기준들을 얼마나 잘 충족시키는가를 평가하여 산림이 지속가능성의 원칙에 따라 관리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절차 혹은 그 결과물로서 발생된 증명서로 정의되고 있는데, 산림인증은 산림경영인증(FM)과 제품인증(CoC)으로 구분된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통해 산림을 건강하게 관리하고, 보존하며 해당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원료로 하는 제품을 제작시 이에 대해 식별할 수 있도록 인증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흐름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산림인증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대한 국제적·사회적 요구 증가 추세 속에서 도입된 것이다. 유럽에서는 산림인증시스템이 보편화되어 목재를 원료로 하는 제품들의 상당수가 산림인증을 받고 있다.

캐나다, 미국, 핀란드, 일본 등 주요 임업선진국은 해외 시장에서 자국 임산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국 국가산림인증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38개 국가에서 자체 산림인증제도를 시행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목제품 주요 수입·수출국가들은 거의 대부분 자체 국가산림인증제도를 구축하여 PEFC(국제산림인증연합 프로그램)에 승인을 받아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산림 및 임업 실정에 맞지 않아 한국형 산림인증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12년에 설립된 한국임업진흥원을 중심으로 한국형 산림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준비가 마련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산림인증제도 시행, 확산을 위한 걸림돌로 국가산림인증제도 운영을 위한 법적 기반이 현재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김 의원은 법률개정안을 통해 산림청장은 산림인증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문인력과 시설을 갖춘 기관이나 단체를 운영기관과 인증기관으로 지정해 산림인증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또한 산림인증의 유효기간은 5년의 범위에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도록 했고, 필요한 경우에는 2년의 범위에서 한번만 그 기간은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산림인증의 대상·기준·절차, 운영기관과 인증기관의 지정 기준·절차, 산림인증의 표시, 그 밖에 산림인증 제도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도록 했다.

김 의원은 “국내 민간인증에 대한 소비자들의 낮은 인식 수준을 감안할 때 인증의 신뢰성 보장에는 한계가 있고, 민간인증의 조기 정착과 확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산림인증이 국제인증이며, 수출조건이 강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산림인증을 실시할 수 있도록 법적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주현 기자 law2@lawissue.co.kr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