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슈

검색

종합

참여연대 “변호사자격 소지자만 대법관 되는 법원조직법 개정해야”

“대법원을 정책법원화 하려면 대법관 자격 요건 풀어야…대법관 다양성 확보를 위해 비법조인에게도 문호 개방해야”

2014-11-19 20:33:06

[로이슈=신종철 기자] 대법원이 폭주하는 상고사건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상고법원을 설치해 대법원의 기능을 ‘정책법원’을 지향하겠다는 구상과 관련, 참여연대는 “대법원을 정책법원화 하려면 판사 순혈주의에서 벗어난 인사를 해야 한다”며 “대법관 자격 요건을 풀어, 변호사자격 소지자만 대법관이 될 수 있는 법원조직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쉽게 말해 변호사자격이 없는 법학교수 또는 공직자 중에서도 사회적 존경을 받는 이는 대법관이 될 수 있게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법관전원이참여하는대법원전원합의체모습(사진=대법원)
▲대법관전원이참여하는대법원전원합의체모습(사진=대법원)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소장 서보학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19일 논평을 통해 “대법관 14명으로는 도저히 정상적 검토가 어려울 정도로 상고사건이 누적되고 있는 현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감한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다만 부장판사급 20명 정도로 구성되는 상고법원을 설치하는 방안대로 간다면, 대법원은 재판실무 효율성 압박에서 벗어나 ‘정책법원’ 기능에 충실하도록 해야 하고, 이는 대법관 구성에 큰 변화가 동반돼야 가능한 일임을 분명히 지적한다”고 환기시켰다.

이어 “대법관 구성을 현직 판사 또는 판사에서 퇴직한 변호사로 충원하는 현재 방식을 고수한다면,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흐름을 종합할 수 있는 정책법원 기능은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며 “재판실무 효율성 논리를 내세우며 현직 판사나 판사 출신이 우선될 수밖에 없다는 대법원의 변명이 설 자리는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향후 대법원이 정책법원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판사 순혈주의에서 벗어난 인사를 해야 한다”며 “재야에서 실력과 사회적 덕망을 쌓은 변호사들과 다른 공공분야에서 사회발전에 기여한 법조인들이 대법관으로 더 많이 선발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나아가 현재 변호사자격 소지자로 대법관 임명 자격을 제한해 둔 법원조직법 42조를 개정해, 변호사자격을 갖추지 않아도 일정기간 이상 재직한 법학교수 또는 공직자 중에서도 사회적 존경을 받는 이는 대법관이 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여연대는 “대법원에서도 대법관 14명 중 최소 3명은 변호사나 교수 등 법원 외부인사가 임명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하지만, 이 제도를 풀지 않는 한 변호사자격 소지자 중에서 충원하는 한계를 넘어서지는 못한다”며 “이제는 대법원의 문호를 확실히 넓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참여연대는 지난 11일 새누리당 장윤석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원조직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참여연대는 “이 법안은 대법관 수의 절반을 판사가 아닌 검사나 변호사, 변호사자격을 소지한 법학교수 등에서 임용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현직 판사 출신 일색의 현재 대법관 구성을 기계적으로라도 다양화한다는 점에서 얼핏 들으면 그럴듯하지만, 석연치 않은 점도 있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현직 판사가 아니라면, 결국 대법관의 절반을 검사, 변호사로 의무적으로 채우겠다는 것인데, 이는 자칫 법조삼륜이라 일컫는 판사, 변호사, 검사의 자리 나누어 먹기를 제도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대법관 구성을 다양화하는 것은 참여연대도 동의하는 방향이지만, 기계적으로 비율을 배분하는 방식은 자칫 적임자가 아닌 이를 대법관으로 임명하게끔 유도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동의할 수 없는 방식”이라고 개정안에 반대했다.

참여연대는 “장윤석 의원이 법개정 취지에서 언급한 것처럼 국민의 상식과 법 감정에 상반된 사법부의 판결은 문제이고, 막말 판사 등과 같이 함량 미달의 법관도 문제”라며 “하지만 권력의 시녀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검찰과 스폰서, 성추행 등 함량미달 검사, 사욕에 물든 대형 로펌의 변호사들에 대해서도 국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고 환기시켰다.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반론·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 law@lawissue.co.kr 전화번호: 02-6925-0217
리스트바로가기
상단으로 이동